- b5rL-vkfz0p62s8OywI69Sl3zOBMTy_gXT0LWMwwBMUbY3ACRvAF_6UrkKoqKdcbymEhKJh1vKjKNO3a7Ud-NvIj-HRgf6exUrBX.jpg (66.9KB)
- M73-ykoKWzBtys1Jga59dxZ04Ix6g02AMvQOZXKCMaGGcVf74H__VKWve8cdgOQ1NRhwyCseaXzyGCC9YGja8CntpwPVyVlT0s-e.jpg (57.8KB)
- HXvhtaR4TCt0MaB8eqfkUhKoqwtBmeneit6yFXOEavjiIQlBhFDms1Nd-1SJNAfzd9B2F8K6g4nIs_FTIagWcntTLQjGhktLhHLy.jpg (80.1KB)
- 5coB9EjiuEAU5ZsU7bg4UZejLWFO03cGYreEXeKD30toc1xyaK-MYC-RAyC1eA7R70zFU-xV_75Y9lLS5764fR7b7GjylCrU6tQN.jpg (75.9KB)
- w6ChTBEMmK74MZPxvMuTcI73M2ve4AczSe1flztivnrm38DUnJ7iQPPbhLpCDyko5aSPHlIGQ9G_JmEZ3PWYrLvBLIEwAqE2v13U.jpg (63.1KB)
(* 실제 김사복 씨의 모습과 그가 소유했던 포드 20M 차량의 사진.)
2017년 8월경에 개봉한 영화 "택시운전사(A Taxi Driver, 2017)"는 독일의 사진기자 "위르겐 힌츠페더(Jürgen Hinzpeter, 1937.07.06.~2016.01.25.)와 녹음기자 "헤닝 루모어(Henning Rumohr, 생몰년도 불명, *영화에서는 등장하지 않음)", 그리고 그들을 광주까지 태워주었던 택시 기사 "김사복"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입니다.
작중에 등장하는 주인공 김사복의 경우, 본명은 김만섭이고 김사복은 이 이름이 가명이라는 가설에 따라 작중 마지막에 힌츠페더를 김포 공항에 내려주며 이별하기 직전에 성냥갑에서 찾은 단어로 급조한 가명으로 묘사되었습니다. 영화가 개봉한 후 얼마 뒤, 그의 아들을 자칭하는 사람이 영화에 등장한 김사복이 자신의 아버지라고 주장하였고, 이런저런 내용을 교차검증한 결과 이 사람은 그의 장남 김승필 씨(1959년생)로 확인되었고 그의 아버지인 김사복 또한 실제로 영화의 그 본인이 맞음이 증명되었죠.
그렇게 37년만에 비로소 세상에 드러난 진짜 택시 운전사의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1932년 10월 3일에 함경남도 덕원군 적전면 신풍리, 지금의 강원도 원산시 신풍동에서 태어난 그는 초등학교 때 월남한 실향민으로 부모님은 월남 중 배가 뒤집히는 사고로 사망하여 고아가 되었지만 이후 부산에 사는 친척에 의해 자랐다고 합니다. 이후 이런저런 사업을 하며 좌절을 겪다가도 서울에서 호텔 소속 기사로 근무하였고, 1980년 5월 힌츠페더 일행과 접촉해 서울-광주를 왕복하며 당시 상황을 목격하였죠. 결국 그로 인한 폭음이 원인이 되어 1984년 12월 19일에 간암으로 돌아가셨다고 전해집니다. 생전에 알던 지인의 말로는 "당시 사나흘 정도 차와 함께 자리를 비우고 있었고, 이후 돌아온 그와 식사를 하며 광주에 갔었다는 이야기를 전해들었다"고 이야기 하셨죠.
영화에서는 그 시기에 힌츠페더와 처음 만났고, 원래 다른 기사의 손님인 것을 김만섭이 멋대로 태워 광주에 두번 들어갔다 나와 김포 공항에서 헤어진 이후 그 길로 소식이 두절된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힌츠페더 일행과도 이미 구면(1975년 10월 경 같이 촬영한 사진이 존재)이었고 원래부터 그가 태워줄 손님이었습니다. 광주에 다녀온 뒤로도 만났던 사실이 있었으며 힌츠페더가 그를 찾았을 때에는 1984년에 이미 돌아가신 뒤였고 더군다나 이때는 군사 정권 시기라 이야기를 꺼내기 어려운 시기였다보니 그렇게 소식이 잊혀진 것이었죠. 힌츠페더의 사진집에 1982년에 김사복 씨와 촬영한 사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1982년까지는 인연이 계속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생전 힌츠페더의 증언에 따르면 이때쯤 이미 건강이 별로 좋지 못하다는걸 알고 있었고, 소식이 두절된 이후로는 지병으로 사망하였는지, 정권의 희생양이 되었는지 늘 걱정하였다고 전했습니다.
그가 1984년에 이미 고인이었다는 점을 제외하더라도 어째서 찾지 못했는지에 대한 이유는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다름아닌 그가 택시운송사업조합 등에 소속된 정식 택시 기사가 아니라, 호텔 소속으로 VIP나 외국인 등의 귀빈을 호텔에서 목적지까지 태워주는 일종의 호텔 전속 기사(당시에 면허 자체는 일반 택시 기사와 동등한 면허로 취급)로 근무하던 사람이라 처음부터 택시 기사와는 연관이 없었기 때문이었죠. 이는 힌츠페더가 생전에 집필한 책에서도 "조선 호텔에서 '운전 기사(Driver)'가 운전하는 검은색 오펠(=새한) 세단을 탔다"로만 서술되는 것을 통해 일반적인 운전 기사로 봤다고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오펠(Opel)은 독일의 자동차 브랜드로 이 회사의 자동차인 레코드(Rekord, 독일어 발음으로는 레코르트)를 새한 자동차에서 라이센스 생산을 한 차량이 새한 레코드.)
또한 영화에서는 평범한 서민 자동차인 기아 브리사이고 외형도 그냥 택시라서 눈에 확 띄는 바람에 수색 대상이 되었다고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당시에는 최고급 자동차였던 검정색 포드 20M과 새한 레코드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이 차는 1970년대의 문학 작품에서 재벌이나 몰고다닐만한 차로 묘사되는 등 당시에 일반적으로 돌아다니던 현대 포니나 영화에서 김만섭의 애차로 등장한 기아 브리사와는 비교조차 안되는 고급차로 인식되었죠.
이에 따라 "한국에 비즈니스로 온 외국 회사원인데 부장과 광주에서 길이 엇갈려 데리러 간다."고 했던 힌츠페더 일행의 변명은 매우 강한 신뢰성을 줄 수 있었고, 딱 봐도 외국인들이 탑승한 고급 세단이다보니 군인들도 검문하기 껄끄러웠을 것이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극중의 긴장감을 위해 잠입한 외신 기자가 위르겐 힌츠페더 뿐인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소속의 외신 기자들이 잔뜩 파견나와 있었죠.
종합해보면 돈을 받고 기자들을 광주까지 태워줬다는 이야기에 지레짐작으로 택시 기사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호텔 소속으로 귀빈들을 태워주는 전속 기사였고 외견상으로는 평범한 검은색 고급 세단에 탑승했기에 별다른 검문도 받지 않았거나 검문에서도 사업을 위해 광주에 간다는 변명이 먹힐만큼 그럴싸했다고 볼 수 있죠. 다만 "검문 때 우리가 거짓말 하는 것을 알고도 보내준 군인이 있었다."는 힌츠페더의 증언을 보면 적어도 한번 정도는 짐 수색 정도는 받았던 모양이고 새한 레코드가 눈에 띄기 때문에 차를 바꿔 탔다는 증언도 있습니다.
영화에서의 김만섭은 택시업으로 하루 벌어 먹고 사는 평범한 소시민으로 나오고 외국어도 그렇게 잘 하는 편은 아니지만 일단 사우디아라비아에 일하러 나간 적이 있어서 간단한 영어 정도는 하는 것으로 묘사 되었지만, 실제 김사복 씨는 직업이 직업이다보니 외국어에도 능숙했고, 차도 그냥 차가 아니라 고급 세단 두대에 자가용까지 세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사회 운동에도 대단한 관심을 보였던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이유는 그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의 가설들 처럼 김사복 씨가 군부에 핍박을 받았거나 숨어 지낸 것(영화에서는 이쪽을 채택)이 아니라 이미 한참 전에 고인이었기 때문이었죠. 세간의 추측과는 다르게 아들 김승필 씨의 증언으로는 김사복은 아버지의 본명이 맞으며, 딱히 군부에서 관심을 가진 적도 없었다고 증언하였고 당시에는 군사 정권 시기 였기에 차마 말을 할 수 없었고, 그 이후로는 잊고 살다가 훗날 택시 운전사가 개봉되면서 이 기회에 아버지의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자고 마음먹었다고 합니다.
영화의 주인공 김만섭은 사실상 영화의 오리지널 캐릭터라고 할 수 있지만 이것은 고증이 문제가 아니라 이때까진 알려진 사실이 정말로 '힌츠페더를 광주 까지 대려다준 택시기사가 있었다' 밖에 없었기 때문에 나머지는 순전히 영화 제작진이 창작을 해야 했기에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고 할 수 있죠.
(1980년 8월경 촬영. 우측의 자동차가 그가 소유한 새한 레코드.)
(1984년 2월 촬영, 이 해 12월에 별세. 우측은 그의 둘째 아들.)
(당시 육군특수전사령부 소속으로 민감한 사항이기 때문에 얼굴은 공개하지 않았다고 밝힘.)
(위르겐 힌츠페더의 1982년 사진첩에서, 힌츠페더의 카메라를 들고 있는 김사복.)
(1975년 10월. 안경 쓴 남자가 위르겐 힌츠페더, 그 우측이 김사복. 힌츠페더의 좌측이 녹음기자 헤닝 루모어.)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191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58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1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43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6
|
2020-02-20 | 3945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57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39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51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65 | |
6054 |
베트남전쟁의 종식 50년을 맞아도 바뀌지 않은 것
|
2025-04-30 | 6 | |
6053 |
리차드 위트컴 준장 기념사업을 반대하는 "이념갈등"2
|
2025-04-29 | 26 | |
6052 |
37년만에 밝혀진 택시 운전사의 비밀3
|
2025-04-28 | 52 | |
6051 |
폴리포닉 월드 프로젝트 13주년8
|
2025-04-27 | 67 | |
6050 |
중국의 서해 구조물에 대한 침묵의 카르텔2
|
2025-04-26 | 32 | |
6049 |
개를 좋아하는 사람, 개가 좋아하는 사람
|
2025-04-25 | 28 | |
6048 |
중국의 전기차 제조사 BYD의 수평대향엔진 실용화
|
2025-04-24 | 34 | |
6047 |
"온스당 달러" 는 왜 단속하지 않을까4
|
2025-04-23 | 87 | |
6046 |
파킨슨병 치료가 실용화단계까지 근접
|
2025-04-22 | 36 | |
6045 |
결제수단에 대해 여행중에 느낀 것4
|
2025-04-21 | 72 | |
6044 |
생각해 보면 겪었던 큰 일이 꽤 오래전의 일이었네요
|
2025-04-20 | 40 | |
6043 |
오늘 쓸 글의 주제는 정해지 못한 채로...
|
2025-04-19 | 43 | |
6042 |
이제는 증기기관차도 디지탈제어시대2
|
2025-04-18 | 71 | |
6041 |
이유를 말못하는 개혁과 시장을 이긴다는 망상
|
2025-04-17 | 43 | |
6040 |
판소리풍 화법의 기사를 쓰면 행복할까2
|
2025-04-16 | 46 | |
6039 |
자칭 통일운동가들은 김일성 생일은 잊어버렸는지...2
|
2025-04-15 | 59 | |
6038 |
<죠죠의 기묘한 모험> 7부 <스틸 볼 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확정7
|
2025-04-14 | 154 | |
6037 |
엑스포 이야기 약간.4
|
2025-04-13 | 140 | |
6036 |
미국의 제조업 천시 마인드는 여전합니다3
|
2025-04-12 | 62 | |
6035 |
트럼프라면 중국에 대해 1000% 관세율을 적용할 듯?7
|
2025-04-11 | 108 |
3 댓글
마드리갈
2025-04-30 17:16:41
우선, 운영진 권한으로 등록일시 및 문서정렬순서 등을 정리했음을 알려드릴께요.
그리고 내용에 대해서는 별도의 코멘트를 작성할께요.
마드리갈
2025-04-30 18:18:25
미디어에서 실존인물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를 만들 때 여러모로 변형을 가하는 게 있기 마련이죠. 사실 행적의 여러 면모가 잘 알려진 인물이라도 그의 사생활의 모든 단면이 완벽하게 기록되어 매체에 옮길 수 있지는 않은데다 역사왜곡 등의 온갖 논란도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최근에 본 드라마 중에는 그런 것들이 NHK의 연속TV소설에 꽤 있었어요.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水木しげる, 1922-2015)는 본명이 무라 시게루(武良茂)였지만 드라마 게게게의 아내(ゲゲゲの女房)에서는 무라이 시게루(村井茂)로, 출판사 창업주 겸 경영자 오오하시 시즈코(大橋鎭子, 1920-2013)는 드라마 아빠언니(とと姉ちゃん)에서는 코하시 츠네코(小橋常子)로, 식물학자 마키노 토미타로(牧野富太郎, 1862-1957)는 드라마 란만(らんまん)에서는 마키노 만타로(槙野万太郎)로, 가수 겸 배우 카사기 시즈코(笠置シヅ子, 1914-1985)는 드라마 부기우기(ブギウギ)에서 후쿠라이 스즈코(福来スズ子)로, 일본에서 여성으로서 최초의 변호사 및 법관이 된 미부치 요시코(三淵嘉子, 1914-1984)는 드라마 호랑이에 날개(虎に翼)에서 사다 토모코(佐田寅子)로 개명되었고, 현재 방영중인 앙팡(あんぱん)에서는 호빵맨의 작가로 잘 알려진 만화가 야나세 타카시(やなせたかし, 1919-2013)가 야나이 타카시(柳井嵩)로 바뀌어서 나오고 있어요. 야나세 타카시의 한자표기는 柳瀬嵩이니까 한자 단 하나만 바꿀 정도로 변화가 작기는 하지만요. 게다가, 게게게의 아내의 경우 원안 작성자가 미즈키 시게루의 부인인 무라 누노에(武良布枝, 1932년생)로 본인 또한 드라마에서는 후미에(布美枝)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고 있어요.
서론이 길었는데, 운전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중에는 전속운전수인 쇼퍼(Chauffeur)도 있고 대중교통수단인 택시나 버스 등을 운전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니까 예의 영화에서의 변형은 적절하네요. 그리고, 창작물이라는 게 역시 그런 게 아닐까요. 있음직한 일이란 허구를 개연성 있게 풀어내는 것. 그래서 창작물에서 현실을 읽을 수 있기 마련이예요.
마키
2025-05-01 02:5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