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 한 마리가 땅에 떨어져서 족제비에게 잡혀 이제 막 목숨을 잃고 먹힐 참이었습니다. 박쥐는 놓아달라고 애걸했지요. 그러나 족제비는 모든 새들이 적이라는 원칙을 지키기 때문에 놓아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아 그러세요? 그런데 저는 전혀 새가 아닙니다. 전 쥐거든요."
박쥐가 말했습니다.
"그렇군. 자세히 보니 그래."
족제비는 박쥐를 놓아주었습니다. 얼마 후 그 박쥐는 다른 족제비에게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잡혔습니다. 그리하여 다시 전처럼 살려달라고 애원했습니다.
"안 돼. 난 무슨 일이 있어도 쥐는 놔주지 않아."
"하지만 전 쥐가 아닙니다. 전 새입니다."
박쥐가 말했습니다.
"아, 그렇군. 넌 새지."
그 족제비 역시 박쥐를 풀어줬습니다.
-------------------------------------------------------------------------------------------------
흔히 박쥐에 관해 가장 유명한 우화인 '새들과 짐승들과 박쥐'에선 짐승의 특징과 새의 특징을 모두 지닌 걸 이용해 이곳저곳에 붙었다가 외톨이가 되었단 내용이었는데 이 이야기에선 역으로 그 점을 이용해서 목숨을 지켜냈지요.
그 이야기처럼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식으로 줏대없이 구는 게 별로 좋은 행동은 아닙니다만 때때론 융통성이 있어야 손해보지 않을 수 있죠. 즉,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 전에 주변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을 먼저 살펴볼 필요도 있다 그것입니다.
일단 박쥐는 쥐에 가까우니까(실상 박쥐는 설치목이 아니라 익수목이지만 말이죠, 어쨌건.) 다음 족제비에게 잡혔을때 순순히 쥐라는 걸 인정했다면 아마 그 자리에서 잡아먹혔을지도 모릅니다.
동화 판본에선 이 이야기가 삭제된 것이 아마 앞서 언급한 '새들과 짐승들과 박쥐'에서 언급한 지조있어야 한다는 내용과 상반되어 어린이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서 그리 된 것이 아닐까 조용히 추측해 봅니다. 사실 완역본은 한 편의 동화책으로 내기에 내용이 너무 많기도 하고……
목록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371 |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53 |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80 |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1 | 2020-02-20 | 4096 |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129 |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132 |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728 |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45 | |
| 1114 | 흔히 말하는 성인물 중독의 심각성4 | 2013-09-24 | 847 | |
| 1113 | [이미지 많음] 심즈2 새마을 플레이 일지(3)2 | 2013-09-24 | 925 | |
| 1112 | [철도이야기] 일본 도호쿠 대지진 이후의 노선 이야기2 | 2013-09-24 | 286 | |
| 1111 | HNRY의 이솝우화 - 박쥐와 족제비3 | 2013-09-23 | 477 | |
| 1110 | 여고생들에게 주목(+놀림)을 받았습니다.6 | 2013-09-23 | 294 | |
| 1109 | 안돼!! 안돼!!! 으아아악!!2 | 2013-09-22 | 297 | |
| 1108 | [철도이야기] '사가미 철도'라는 곳이 왜 대형 사철로 꼽히나 궁금했는데2 | 2013-09-22 | 284 | |
| 1107 | 언어의 정원(言の葉の庭)6 | 2013-09-21 | 777 | |
| 1106 | 제가 와 무서워;; 라고 생각하는 괴담..2 | 2013-09-20 | 404 | |
| 1105 | 왠지 때가 늦은 괴담이야기를 듣는데1 | 2013-09-20 | 299 | |
| 1104 | 심심풀이 게임에서 최고기록 달성 ㅇㅅㅇ2 | 2013-09-18 | 421 | |
| 1103 | 폭소를 자아낸 대구광역시의 버스5 | 2013-09-18 | 337 | |
| 1102 | 집은 '내 쉴 곳' 이었습니다.2 | 2013-09-18 | 215 | |
| 1101 | 반문명주의...2 | 2013-09-18 | 396 | |
| 1100 | 재미있는 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필수요소~3 | 2013-09-18 | 539 | |
| 1099 | 의외로 세상이란 그렇게 쉽게 망하지는 않는 모양이에요2 | 2013-09-18 | 504 | |
| 1098 | angelhalo.org에서 링크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게시물 목록10 | 2013-09-17 | 567 | |
| 1097 | 안녕하세요~7 | 2013-09-17 | 248 | |
| 1096 | 음모론에 공통점이 있다면4 | 2013-09-16 | 201 | |
| 1095 | 변경사항 안내 (꼭 읽고 댓글달아 주세요)10 | 2013-09-16 | 305 | 
3 댓글
대왕고래
2013-09-23 22:50:41
박쥐녀석... 천재군요!!
그 두 족제비가 만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ㅇㅅㅇ
HNRY
2013-09-23 22:59:06
살면서 때때론 이런 요령도 필요한 법이지요.
그나저나 확실히 두 족제비가 속았다는 걸 깨닫는다면 엄청 창피하겠군요.;;;;;
마드리갈
2013-09-25 19:20:39
이 이야기는 뭐랄까, 처세에 대한 것을 말하는 것 같기도 해요.
그리고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어떤 기지로 그 상황을 모면할까에 대해서도 생각할 점이 충분히 있기도 하구요.
박쥐 이야기 하니 생각난 게 있어요.
과일을 좋아하는 여우박쥐 같은 것들이 멸종했다는 말을 들었어요. 안타까와요. 어릴 때 보던 그림책에 나왔는데, 지금도 가끔 펼쳐보면서 생각을 하고 있어요. 이 그림책에 나온 동물들은 더 이상 멸종하지 않았으면 좋겠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