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이 전기차기업의 대약진은 BEV 실용화의 선구자인 미국의 테슬라(TESLA)를 따라잡고 실적에서 눌러버리면서 증명되었어요. 2024년도의 생산실적은 4,304,073대로 같은 해의 자동차 생산량 5위의 국가인 멕시코의 4,202,642대를 넘어서고 있어요. 참고로 우리나라 전체의 2024년도자동차 생산량이 4,127,252대로 세계 6위니까 BYD의 생산력은 정말 가공할 레벨이라 봐도 무방하겠죠.
또한 위의 광고에 등장하는 ATTO 3은 사실은 중국내수시장에서는 원(元, Yuan/위안)으로 불리는 자동차로 속칭 왕조 시리즈 중 원나라에서 그 이름이 유래하는 크로스오버 SUV.
그런데 이런 BYD가 최근 수평대향엔진(Horizontally-opposed Cylinder Engine)을 자체개발하여 자사의 고급차 라인업인 양왕오토(Yangwang Auto)에 탑재했어요. 이 양왕의 한자표기는 앙망(仰望)으로, "우러러보다" 또는 "존경하다" 라는 의미. 여기서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어요. 왜 전기차 전문기업인 BYD는 최첨단 기술기조에 역행하는 내연기관을 신규개발했고 그것도 자동차기업 중에서는 4륜차에서는 일본의 스바루(SUBARU) 및 독일의 포르쉐(Porsche), 모터사이클에서는 일본의 혼다(HONDA) 및 독일의 BMW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소수파인 수평대향엔진인데다 더 나아가서 자사의 고급차 브랜드에 왜 그 엔진을 적용하기로 했을까요?
사실 이 영상 하나로 의문의 상당수는 풀리게 되어 있어요.
앞에서도 잠깐 언급한 스바루의 수평대향엔진에 대한 짧은 설명영상이 있으니까 소개할께요.
이 영상에서는 수평대향엔진을 박서엔진(Boxer Engine)이라고 표기하고 있어요. 크랭크샤프트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된 피스톤들이 움직이는 모습이 권투선수가 주먹을 날리는 듯하다는 데서 이 엔진은 박서라는 애칭으로 잘 알려져 있어요. 피스톤이 좌우로만 움직이니까 일반적인 직렬엔진이나 V형엔진처럼 위아래로 진동이 일어날 리도 없고, 엔진의 높이가 낮다 보니 무게중심이 낮아서 자동차의 운동성능 또한 매우 안정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어요. 독일의 발명가이자 오늘날의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의 창업주이기도 한 칼 벤츠(Karl Benz, 1844-1929)가 1897년에 벤츠 콘트라모터(Benz Contramotor)라는 이름으로 창안한 이 피스톤엔진은 자동차에서는 입지가 좁지만 항공기에서는 오늘날의 경비행기용 피스톤엔진의 절대다수가 미국의 컨티넨탈(Continental) 및 라이카밍(Lycoming)에서 생산된 수평대향엔진일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어요.
그럼 다시 BYD의 이야기로.
이미지 출처
EV時代に“ボクサーエンジン”復活。BYD、高級セダン「仰望U7」に独自の水平対向エンジン搭載へ
(EV시대에 "박서엔진" 부활. BYD, 고급세단 "앙망U7" 에 고유의 수평대향엔진을 탑재하기로, 2025년 4월 23일 36Kr Japan 기사, 일본어)
이 프리젠테이션에서 커다랗게 화면을 채운 것이 바로 수평대향엔진. 위에서 소개된 스바루의 박서엔진 영상에 나오는 것과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인 것이 보여요. 게다가 자사의 고급차 라인업에 이렇게 내연기관을 채택했다는 점에서 전기차 일원화에의 환상은 세계 1위의 전기차 제조사인 BYD의 행보로 완전히 부정되었어요. 특히 그 고급브랜드의 의미가 "우러러보다" 또는 "존경하다" 라는 데에서, 어떤 자칭 환경주의자들과 미래학자들이 경멸하고 하루빨리 없애버려야 할 것으로 매도해 온 내연기관에 대한 그들의 입장이 여전히 유효한지도 되묻고 싶어지네요. 그럼, 전기차 옹호를 위해 세계제일의 전기차 제조사인 BYD를 비판해야 할까요, 아니면 그 BYD를 옹호하기 위해 내연기관에 대한 입장을 뒤엎어야 할까요?
BEV가 미래라 하지만, 정작 그 BEV의 선구자에게는 미래의 BEV가 배터리 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가 아니라, 박서엔진차(Boxer Engine Vehicle)이었나 보네요. 이 역설이 낳을 파장은, 박서엔진의 저진동처럼 억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요.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241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376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26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60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19
|
2020-02-20 | 4000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75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64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68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182 | |
17 |
가입했습니다10 |
2013-02-28 | 226 | |
16 |
포럼의 규정을 나름대로 요약해보기5 |
2013-02-28 | 430 | |
15 |
일 베티사드(Ill Bethisad) 속의 한국21 |
2013-02-28 | 1056 | |
14 |
한낮의 포럼이 조용한것을 보고 벗헤드가 가로되....7 |
2013-02-28 | 180 | |
13 |
아아... 포럼에 글이 가득해...2 |
2013-02-28 | 251 | |
12 |
피곤하네요...3 |
2013-02-28 | 298 | |
11 |
다들 안녕하세요3 |
2013-02-28 | 259 | |
10 |
안녕하세요5 |
2013-02-27 | 300 | |
9 |
안녕하세요 대강당 운영진 하네카와츠바사입니다8 |
2013-02-27 | 355 | |
8 |
기지개 한번 잘못했더니 명치에 데미지 ㅇㅅㅇ2 |
2013-02-27 | 493 | |
7 |
설정을 시각화...그것도 대체 역사물이라면 가장 짜증나는게 있죠.5
|
2013-02-27 | 217 | |
6 |
야구팀 동물이름 이야기9 |
2013-02-27 | 534 | |
5 |
안녕하세요2 |
2013-02-26 | 212 | |
4 |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 lllOTL8 |
2013-02-26 | 229 | |
3 |
저 또한 초대 받아서 나타난 ㅇㅅㅇ!3 |
2013-02-26 | 230 | |
2 |
회원가입 감사인사 및 여러가지10 |
2013-02-25 | 367 | |
1 |
쪽지 받고 들어와봅니다.3 |
2013-02-25 | 208 |
3 댓글
대왕고래
2025-05-08 14:40:27
한 기술이 기존 기술을 구세대의 유물로 만들지만은 않네요.
기존 기술의 장점을 가져와서 더 좋은 기술로 만들 수 있음이 보여요.
전기차와 내연기관은 철기와 뗀석기의 관계가 아닌 거네요. 내연기관을 뗀석기마냥 대체가능하다고 보는게 잘못된 거고요.
마드리갈
2025-05-09 14:07:42
그럼요. 각종 미래예측은 얼마든지 틀릴 수 있고 또한 오래된 기술이라고 하더라도 여전히 발전의 여지는 계속 있는 법이니까요. 내연기관의 이야기 좀 더 하자면, 가스터빈의 경우는 항공기용 제트엔진에서의 고효율화, 발전설비 및 선박추진장치에서의 증기터빈 연동에 의한 코제네레이션(Cogeneration)으로 이미 63% 이상의 열효율 달성 등의 발전이 있고, 피스톤엔진의 경우는 일본의 마츠다에서 개발중인 스카이액티브 테크놀로지(SKYACTIV TECHNOLOGY) 중 가솔린엔진인 Skyactiv-G는 압축비 14:0을 상업적으로 달성한 데에 이어 기존의 가솔린엔진의 열효율 상한으로 여겨졌던 30%대 후반을 이미 넘어 40%대 후반으로까지 진입했고 장래적으로는 56%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어요. 이 기술이 하이브리드 구동계와 조합된다면 그 효율은 80%에 근접할 수도 있어요. 이렇게 무섭게 발전하고 있어요.
2024년의 노토반도지진 때 일본 현지에서 이런 일이 있었어요.
내연기관을 사용하면서 전기차 충전소도 이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는 전기가 끊겨도 가솔린이 배급되기 시작하자 발전기 역할을 톡톡히 해 냈어요. 만일 그 자동차가 엔진 없는 BEV였다면 가솔린을 앞에 두고도 전혀 활용할 수 없는 꼴이 되어 버렸을 건 자명해요.
마드리갈
2025-05-26 22:57:38
2025년 5월 26일 업데이트
중국의 전기차제조사 BYD에서 개발제조한 수평대향엔진에 대한 정보가 좀 더 공개되어 있어요.
예의 엔진은 BYD 4H20이라 불리는 배기량 1999cc의 수평대향 4기통 박서엔진으로 최고출력 245마력(=190kW), 최대토크 380Nm(=37.24kgf, 514lb-ft)로 상당히 준수한 성능을 기록하고 있어요. 또한 연소실의 중심분사 및 중심점화방식을 채택하여 연소실내에서의 치우침 없는 고른 연소로 열효율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보이고 있어요. 회사 차원에서의 열효율 공표는 없지만 대략 46% 정도로 이 또한 상당한 수준임에 틀림없어요. 연료탱크의 용량이 60리터인 점을 감안하면 하이브리드 모드에서의 항속거리는 1,000km 내외로 추정되어요.
또한 이 엔진의 제조에는 독일기업이 협력하고 있음은 물론 윤활유를 필요한 곳에 필요한만큼 펌프로 강제공급하는 드라이섬프(Dry Sump) 방식을 전면채택하고 있어요.
관련보도를 하나 소개할께요.
BYD 世界の頂点を狙うプレミアムブランド「ヤンワン」と水平対向4気筒ターボエンジンのPHEV
(BYD 세계의 정점을 노리는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과 수평대향 4기통 터보엔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025년 5월 26일 The Motor Weekly 기사, 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