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완전히 여성용으로 정착한 스커트와 하이힐은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흔히 있었죠.
이미 2020년에 쓴 글인 이상한 논리 - 나는 매일 성차별에 동의해 왔다? 에서 지적된 것처럼 치마가 여성에 대한 성차별로 여겨지는 풍조가 있기도 했고, 여성인권에 대해 선구자적인 국가인 미국에서는 대권후보가 여성인 경우에는 아예 복장에서 여성성을 드러내는 자체가 사실상 금기시되어 왔어요.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1947년)의 복장 또한 하의는 항상 긴 바지였어요. 현재의 부통령 카말라 해리스(Kamala Harris, 1964년생) 또한 그러하죠.

그런데 2024년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공화당 내에서 대권주자들이 경쟁중인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 및 국제연합대사를 역임한 니키 헤일리(Nikki Haley, 1972년생)는 복장에서 여성성을 뚜렷이 강조해 왔어요. 이런 식으로. 

71d3a42107-2000.jpg
이미지 출처
Nikki Haley’s Time for Choosing, 2021년 2월 12일 Politico 기사, 영어

본문에 첨부된 이 사진은 이미 2016년에 촬영된 것으로, 니키 헤일리는 오래 전부터 스커트정장과 하이힐을 고수하고 있는 게 이렇게 드러나는 것이죠.
그리고 이번에는 오늘 국내 언론에 보도된 것.

니키 헤일리는 자신의 속성을 억지로 숨기거나 말살해야 할 것으로 여기지 않아요.
그리고, 여성이기에 가능한 것을 다른 수식어가 필요없이 행동으로 관철할 뿐이죠. 페미니즘이 풍미했던 시대의 여파가 여성임을 드러내는 것을 죄악시했던 역설로 귀결되었던 공공연한 비밀은 이렇게 니키 헤일리의 복장을 통해 드러나고 또한 깨지고 있어요.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4 댓글

대왕고래

2023-11-20 21:44:49

뭐든지 당당한 게 최고구나 하는 게 보이네요, 복장에서나 표정에서나.
저런 당당함은 본받고 싶네요.

마드리갈

2023-11-20 21:52:28

니키 헤일리의 인기가 급상승중인 것도 바로 그런 게 원인이 아닐까 싶어요.

여성인권을 말하면서 여성다움을 죄악시하는 모순과 위선, 흑인의 생명은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약칭 BLM)를 말하면서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는 당연히 생각하는 폭력에 대해 아시아계 여성 지도자인 니키 헤일리는 자신의 속성을 당당히 내세우면서 능력으로 말하고 있어요. 


이렇게 좋은 변화가 하나하나 쌓이면 정말 큰 변화가 될 거예요. 그리고 그 변화는 틀림없이 더 좋은 변화가 될 것이라 믿어요.

마드리갈

2024-03-07 13:51:53

2024년 3월 7일 업데이트

미국 공화당의 대선경선주자인 니키 헤일리(Nikki Haley, 1972년생)가 대선경선에서 사퇴했어요. 결국 공화당의 대선주자는 도널드 트럼프로 결정되었어요. 트럼프가 연승을 거듭하는데다 헤일리의 승리는 그녀의 정치적 기반인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도 달성되지 못하고 반공화당 색채가 지배적인 워싱턴 DC에서나 이루어졌을 뿐으로 2위라고는 하지만 도저히 격차를 좁힐 수 없게 된 게 사퇴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요.
공화당 대선결과는 1,215표 이상을 선취득하는 후보가 나오면 바로 결정되어요. 현재 트럼프가 1,044표이고 2위인 니키 헤일리가 사퇴표명 직전 시점에서 86표로 따라잡을 가능성이 전혀 없어요.

관련보도를 하나 소개할께요.

마드리갈

2024-11-12 14:31:14

[내용추가중]

Board Menu

목록

Page 1 / 3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

6
Lester 2025-03-02 358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441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275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21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408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122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121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725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240
6219

학구열이나 내집 마련의 꿈이 탐욕으로 매도당한다면

  • new
마드리갈 2025-10-13 5
6218

10월 중순에 이렇게 연일 비가...

  • new
마드리갈 2025-10-12 9
6217

반동이라는 표현은 이제 거침없이 쓰입니다

  • new
SiteOwner 2025-10-11 18
6216

꿈 속에서도 자칭 진보주의자들의 어휘는 빈곤했어요

  • new
마드리갈 2025-10-10 19
6215

한글과 김치는 말로만 칭송될 뿐

  • new
마드리갈 2025-10-09 20
6214

이상한 예절을 강요하는 세태에 대해 간단히.

  • new
마드리갈 2025-10-08 28
6213

최근에 약이 추가된 이야기

  • new
마드리갈 2025-10-07 37
6212

영화 <어쩔수가없다> 후기(스포일러 없음)

4
  • file
  • new
시어하트어택 2025-10-06 92
6211

러시아군에서 기병이 부활한다

  • file
  • new
SiteOwner 2025-10-05 37
6210

동생이 일시적으로 슬럼프에 빠진 듯합니다

4
  • new
SiteOwner 2025-10-04 57
6209

출국납부금 인상이 추진된다기에 몇 마디.

4
  • new
마드리갈 2025-10-01 41
6208

성우업계에 용왕커플에 이어 청춘돼지커플의 탄생

  • file
  • new
마드리갈 2025-09-30 39
6207

행정전산망 마비사태의 나비효과

2
  • new
마드리갈 2025-09-29 46
6206

가볍게 신변 이야기.

  • new
SiteOwner 2025-09-28 45
6205

한밤중에 연속된 재난문자로 잠을 설쳤습니다

2
  • new
SiteOwner 2025-09-27 50
6204

영문모를 소리가 나오는 세태는 비판할 것도 못됩니다

2
  • new
SiteOwner 2025-09-26 53
6203

다시 더워지는 날씨 속에서 몇 마디.

2
  • new
마드리갈 2025-09-25 57
6202

엔진차 판매를 제한하려는 정부의 오판

  • new
마드리갈 2025-09-24 62
6201

폭군의 셰프의 "년" 과 "계집" 의 차별

  • new
마드리갈 2025-09-23 65
6200

플라자합의 40주년과 폴리포닉 월드

  • new
마드리갈 2025-09-22 70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