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mingqing.tistory.com/344
우연히 웹사이트들을 서핑하다가 이런 글을 발견했는데..
흥미롭게 읽은 편이라 주소로 한번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어릴때 읽을때는 장 발장을 그저 착하고 좋은 사람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지만..
그 후 몇 차례나 이 소설을 더 읽고, 최근에도 완독한 후의 감상은
장 발장이라는 사람이 물론 선한 인물이긴 하지만.. 그가 주교와의 약속이랄까? 그 자신의 도덕성을 지키고 자비로움을 가지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가가 보이더군요. 몇번이고 여러 유혹에 휩싸이기도 하지만 그는 그때마다 자신이 믿는 바를 향해 열심히 살아갔었지요..
자베르에 의해서 대표되는 법과 질서를 비교적 호의적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셨지만..
(더 정확히는 장 발장으로 대표되는 자비와 인간애가 무분별하게 변질되는 것을 막고 균형을 맞출 존재로 봤달까)
저는 역시 장 발장의 그 인간적인 자비와 선에 더 끌리게 되는 듯 합니다.
사실 장 발장은 정말 선한 인물이 맞아요.
테나르디에 같은 사람이라면 주교가 용서해줬어도 눈꼽만치도 신경을 안 쓰고 살걸요?
이것저것 여러가지 좋아하는 여대생입니다!
목록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375 |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54 |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85 |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1 |
2020-02-20 | 4096 |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129 |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132 |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728 |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46 | |
| 6239 |
일본 혁신계의 "현지처", "캬바쿠라 막부" 발언의 진의
|
2025-11-05 | 8 | |
| 6238 |
그럼, 정년단축이 해법이라고 주장하고 싶은 것인지?
|
2025-11-04 | 10 | |
| 6237 |
기존의 어휘 구부리기 - "유명세" 의 경우
|
2025-11-03 | 27 | |
| 6236 |
2025년 각국 프로야구도 West Side Story
|
2025-11-02 | 18 | |
| 6235 |
야마노테선(山手線), 순환선 영업 100주년을 맞다
|
2025-11-01 | 23 | |
| 6234 |
그럼, 아리랑과 애국가는 미터법으로 개사하지 않나요?
|
2025-10-31 | 25 | |
| 6233 |
[이미지 없음] 카고시마수족관에서도 뱀을 봤어요2
|
2025-10-30 | 29 | |
| 6232 |
주권국가와 테러조직의 화해라는 헛소리에의 중독
|
2025-10-29 | 32 | |
| 6231 |
여행박사, 11월 24일부로 사이트영업 종료
|
2025-10-28 | 38 | |
| 6230 |
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어요2
|
2025-10-27 | 63 | |
| 6229 |
근황과 망상7
|
2025-10-25 | 135 | |
| 6228 |
오늘부터는 여행중입니다2
|
2025-10-22 | 47 | |
| 6227 |
인생의 따뜻한 응원가 "웃거나 구르거나(笑ったり転んだり)"
|
2025-10-21 | 46 | |
| 6226 |
말과 글에 이어 태극기도 중국우선주의에 밀린다2
|
2025-10-20 | 50 | |
| 6225 |
포럼활동에서 한계를 느낄 때도 있어요2
|
2025-10-19 | 51 | |
| 6224 |
Windows 10 지원연장은 되었지만....2
|
2025-10-18 | 54 | |
| 6223 |
스스로 생각하고 찾기2
|
2025-10-17 | 59 | |
| 6222 |
부동산정책에서 실패하고 싶다는데 어쩌겠습니까2
|
2025-10-16 | 64 | |
| 6221 |
러시아의 잠수함 노보로시스크의 수상한 행적2
|
2025-10-15 | 67 | |
| 6220 |
국내 정치상황이 일본에 종속되지 않으면 큰일날까요?2
|
2025-10-14 | 69 |
1 댓글
마드리갈
2013-05-30 16:55:21
19세기 후반에 저렇게 사회 속의 인간성에 대해서 깊이있는 고찰을 문학작품으로 나타냈다는 것이 정말 놀랍기 그지없어요. 그게 바로 프랑스 인문학의 힘이기도 하구요.
물론 프랑스 역사에는 어두운 부분이나 야만적인 부분도 상당히 많아요. 프랑스 대혁명 당시의 살육과 공포정치도 있고, 해외에서는 알제리를 위시한 서아프리카 및 인도차이나 등을 경략하면서 온갖 만행을 벌이는가 하면, 이후에는 드레퓌스 사건으로 반유태주의를 노골적으로 노정하기도 하고, 그래서 극심한 혼탁함을 보이기도 해요. 그렇지만 그러한 현실에 굽히지 않은 인문학의 힘이 있기에 잘못된 길로 가는 것은 막을 수 있었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