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관현악단 편성은 의외로 미국식이다?

마드리갈, 2019-06-13 14:58:03

조회 수
209
북한 하면 생각나는 것 중에는 미국에 대한 끝갈데 모르는 증오.
일일이 포럼에 옮기고 싶지 않을 정도의 험악하기 짝없는 북한의 욕설을 보고 있으면, 북한은 미국과 같은 지구 위에 있는 자체가 증오인가 싶을 정도죠. 그런데 그런 북한이 의외로 각종 공연에서 관현악단 편성(Orchestra Seating)에서 미국식을 선호하고 있어요. 유럽식이 아니라.

그럼 여기서 관현악단 편성의 미국식과 유럽식이 어떤 것인지를 간단히 알아볼께요.

우선 미국식.
gettyimages-1037326656_wide-29950a7991a13290c11ba9b34f0a059b0e884356-s800-c85.jpg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웹사이트에 소개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공연장면)


가운데의 지휘자를 중심으로 보면, 지휘자의 왼손 부분에는 바이올린이, 오른손 부분에는 첼로가 배치되어 있어요.

이것은 미국은 물론이고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도 흔히 보이고 있어요.

이 방식으로는 소리를 강하게 모으기 좋고 지휘자가 각 파트를 판단하기 좋은 장점이 있는 대신 시각적으로는 비대칭인데다 2개 파트로 이루어진 바이올린의 각 파트 음색이 뒤섞여 들려 섬세함에서는 다소 부족할 수 있는 단점이 있어요.


그러면 이번에는 유럽식.

wph_tradition_orch_KO07a_web_dinkhauser.jpg

(사진 - 비엔나 필하모닉 공식 웹사이트에 소개된 비엔나 필하모닉의 리허설 장면)


위에서 소개된 것과는 달리 유럽식 편성은 지휘자의 왼손 방향에 제1바이올린, 오른손 방향에 제2바이올린, 그 사이에 비올라와 첼로가 위치하는 방식이예요. 두 바이올린 파트가 대칭적으로 자리잡고 있어서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각 파트가 연주하는 선율 또한 또렷이 잘 들리는 대신에, 개별 연주자의 역량이 더 크게 요구되는데다 강렬한 음향효과를 주기에는 약점이 있어요.

이렇게 두 방식에 각각 장단점이 있고, 지휘자에 따라서도 선호하는 편성방식이 다르다 보니 미국의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Leonard Bernstein, 1918-1990)은 비엔나 필하모닉을 미국식 편성으로 지휘한 적도 있고 오스트리아의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1908-1989)은 완전히 독자적인 편성을 쓰기도 했어요. 어차피 대부분의 경우 이런 결정은 문화적 전통에 기반하니까요.
그런데 북한의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죠. 모든 것이 철저히 정치적으로 결정되고 그 정치적인 결정의 정점에 김일성 일가가 있는데 그렇게 미국이 싫다고 그러면서 왜 북한의 각종 공연 영상에 보이는 관현악단 편성은 미국식이 많은지 모르겠네요. 혹시 북한은 내심 미국을 흠모하는, 북한 자체의 표현으로 하면 "숭미사대주의자" 들이 아닐까 싶기도...

여기서 북한의 각종 공연영상을 소개하는 것은 이용규칙 금지사항 제1조 및 추가사항으로 금지하니까 여기에서는 소개할 수 없어요. 유튜브 등에서 North Korean Concert 등의 검색어로 직접 찾아보실 것을 추천드려요.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4 댓글

카멜

2019-06-14 00:14:52

허, 오케스트라 연주자 배치 방식 스타일이 따로 있다는거 오늘 처음 알았어요! 미제국주의자니 침략자니 뭐니 해도 은근히 미국식 문화를 받아들인게 많은것 같습니다, 평양에도 보여주기식이겠지만, 미국식 음식(샌드위치라던가 햄버거?)같은게 있더라구요.

사실 정말 밑도 끝도 없는 증오는 일본에 훨씬 심하게 투영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김정일이 일식을 그렇게 좋아했다던데(...)

마드리갈

2019-06-14 10:50:57

관현악단의 편성은 크게 나누어서 저렇고, 세부적인 배치방식으로 들어가면 또 종류가 많이 있어요. 당장 관악기의 수로도 2관편성, 4관편성 같은 것이 세부적으로 존재하니까요.


역시 문화를 인위적으로 틀어막는다고 해서 유입되지 않는 그런 건 아니라는 게 여기서도 보여요. 북한의 경우도 그렇고, 심지어는 무슬림 월드에서조차도 그런 현상은 아주 현저하게 나타나 있어요. 돼지고기를 경멸한다면서 돼지고기 소비량이 아주 많은 독일의 문물을 많이 받아들인다든지 하는.

북한의 일본에 대한 증오 또한 표리부동해요. 밑도 끝도 없는 일본에의 증오에도 불구하고 김정일은 일식을 좋아했고, 북송된 재일교포 출신의 여성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었는데 그가 바로 김정은. 북한의 지배체제는 군국주의 시대의 일본의 천황제의 직계라고 할만큼 유사한데다, 과거 북한의 각종 선전용 화보집을 제작한 출판업체가 대일본인쇄공업 등의 일본 인쇄공장인 경우가 많기도 했으니까요.

앨매리

2019-06-14 15:11:20

오케스트라 공연을 볼 때 별 생각 없이 음악에만 집중했는데 이런 차이점이 있었군요. 좋은 정보를 알았습니다.
같은 하늘 아래 공존할 수 없는 불구대천의 원수 취급하면서, 이 글과 마찬가지로 미국을 모방한 점을 보면 무슨 블랙 코미디인지 싶습니다.

마드리갈

2019-06-14 15:51:01

음악은 정말 깊죠. 그래서 또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즐길 수 있는 포인트가 새로이 나오기도 해요.

게다가 기본적으로 같은 편성이라도 세부적으로 달라지는 경우 또한 존재해요. 이를테면, 유럽식 편성이라고 해도, 더블베이스의 위치가 첼로 바로 뒤인 독일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의 방식, 무대 가장 뒤이면서 지휘자를 마주 보고 있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필하모닉의 방식 등이 있다든지...


김정일의 장례 때 운구하던 자동차가 1970년대 미국에서 제작된 리무진이었죠. 이것으로도 충분히 충격적이었는데, 관현악단의 편성까지 미국식이 주종이라니, 이건 대체 무슨 블랙 코미디인가 싶기도 해요.

Board Menu

목록

Page 100 / 2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5월 이후로 연기합니다

  • update
SiteOwner 2024-03-28 115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128
공지

2023년 국내외 주요 사건을 돌아볼까요? 작성중

10
마드리갈 2023-12-30 312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09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796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948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5890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524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1037
3741

세계 항공산업에 예상되는 거대 지각변동

2
SiteOwner 2019-06-14 173
3740

[작가수업] 연재분 삭제와 퇴고, 그리고 검열(?)

8
Lester 2019-06-13 199
3739

북한의 관현악단 편성은 의외로 미국식이다?

4
  • file
마드리갈 2019-06-13 209
3738

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운전면허 외

8
YANA 2019-06-12 228
3737

혐오의 인터넷

8
카멜 2019-06-11 210
3736

탈중공업의 현실화?!

2
SiteOwner 2019-06-10 149
3735

어릴 때 읽었던 소설에서 느꼈던 악마의 편집

6
SiteOwner 2019-06-09 184
3734

10년의 세월을 함축한 만족스러운 팬서비스

6
  • file
마키 2019-06-08 162
3733

[황금의 바람] 과거의 악연

3
  • file
시어하트어택 2019-06-08 174
3732

[작가수업] 도시 이야기

8
Lester 2019-06-07 228
3731

무적의 영웅

4
SiteOwner 2019-06-06 200
3730

괴물투수 류현진, 새로운 역사를 쓰다

5
  • update
SiteOwner 2019-06-05 136
3729

한자는 쉬워 보이는데 잘못 읽기 쉬운 일본지명

4
마드리갈 2019-06-04 191
3728

막상 추워진 6월

4
마드리갈 2019-06-03 191
3727

토요일이 통째로 증발했습니다.

6
Lester 2019-06-02 157
3726

실로 스펙타클한 일주일이었습니다.

8
국내산라이츄 2019-06-01 226
3725

[황금의 바람] 콜로세움으로

3
시어하트어택 2019-06-01 132
3724

쉬어가는 날

2
SiteOwner 2019-05-31 121
3723

다뉴브 강의 비극

5
마드리갈 2019-05-30 174
3722

[작가수업] 호오, 명대사 제조력이 올라가는군요?

10
Lester 2019-05-29 244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