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바로크 성악작품답게, 가사를 여러번 반복하고 기교를 반영하여 부르는 창법이 인상적인 이 노래의 가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When Britain first, at Heaven's command
Arose from out the azure main;
This was the charter of the land,
And guardian angels sang this strain: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The nations, not so blest as thee,
Must, in their turns, to tyrants fall;
While thou shalt flourish great and free,
The dread and envy of them all.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Still more majestic shalt thou rise,
More dreadful, from each foreign stroke;
As the loud blast that tears the skies,
Serves but to root thy native oak.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Thee haughty tyrants ne'er shall tame:
All their attempts to bend thee down,
Will but arouse thy generous flame;
But work their woe, and thy renown.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To thee belongs the rural reign;
Thy cities shall with commerce shine:
All thine shall be the subject main,
And every shore it circles thine.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The Muses, still with freedom found,
Shall to thy happy coast repair;
Blest Isle! With matchless beauty crown'd,
And manly hearts to guard the fair.
"Rule, Britannia! rule the waves:
"Britons never will be slaves."
신의 계시를 받아 바다 위의 섬나라로 탄생한 영국은 바다를 지배할 것이고 영국인은 영원히 예속없이 자유인으로 있을 것이라는 이 애국적인 노래는 영국을 대표하다 보니, 19세기 전반의 가장 큰 전쟁이자 근대외교사의 시작이 된 나폴레옹 전쟁(Napoleonic Wars)을 소재로 한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1813년작 교향악 작품인 웰링턴의 승리(Wellingtons Sieg)의 도입부에 거의 그대로 인용되어서 영국군의 진격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곡은 당시의 영국의 섭정공(Prince Regent)이자 1820년에 왕위에 오르는 조지 4세(King George IV, 1762-1830)에 헌정되어 베토벤에게 명성과 부를 선사하였습니다.
그러면 이제는 웰링턴의 승리.
영국의 원곡이 지금도 여성 독창자, 합창단 및 관현악단 반주의 형식으로 불리는 것과는 또 다르게, 독일의 작곡가가 편곡한 것은 전장의 군악대가 연주하는 행진곡의 스타일로 편곡되어 또 색다르게 들립니다.
어릴 때의 기억입니다만, 이 웰링턴의 승리의 후반부는 국내의 모 가전메이커의 오디오 광고에 인용되기도 해서 꽤나 익숙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앞에서 잠깐 언급했던 함대컬렉션 등장악곡.
현대적으로 편곡되어 걸즈밴드의 연주로 나오는 이 곡도 이렇게 새롭게 들립니다.
일본어 가사는 원곡의 것이 최대한 충실하게 번역된 상태입니다.
뭐랄까, 듣다 보니 뱅드림(BanG Dream!)의 등장 밴드가 연주해도 위화감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랫동안 영국인들의 사랑을 받아온 이 곡이 작년부터는 영국내의 위상이 예전같지가 않다고 합니다.
이유인즉, 미국에서 일어난 조지 플로이드 사망사건을 계기로 이 곡이 인종차별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있어서라고 합니다. 영국인들이 자신들의 조국을 소중히 여기고 타국에 예속되지 않고 영원히 자유인으로 살겠다는 의지를 다지는 애국적인 노래가 왜 인종차별 조장으로 이어지는지는 적어도 저는 이해불가입니다만...
원래는 3월 1일에 썼던 글인데, 이제 다시 올리게 되었음에 양해를 구하겠습니다.
다음 시리즈의 키워드는 대만입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289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01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4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82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0
|
2020-02-20 | 4029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9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83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86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00 | |
6154 |
욕쟁이 교사 이야기 속편
|
2025-08-09 | 7 | |
6153 |
망원렌즈를 금지하는 언론개혁의 부재
|
2025-08-08 | 14 | |
6152 |
왼발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주저앉기도 했어요
|
2025-08-07 | 23 | |
6151 |
"강한 자만 살아남는 90년대"4
|
2025-08-06 | 63 | |
6150 |
호주의 차기호위함 프로젝트는 일본이 수주 <상편>
|
2025-08-05 | 32 | |
6149 |
"누리" 라는 어휘에 저당잡힌 국어생활
|
2025-08-04 | 37 | |
6148 |
인터넷 생활에서 번거롭더라도 꼭 실행하는 설정작업
|
2025-08-03 | 60 | |
6147 |
카고시마현(鹿児島県), 일본의 차엽 생산지 1위 등극
|
2025-08-02 | 49 | |
6146 |
이제 와서 굽힐 소신이면 뭐하러 법제화하고 불만인지?
|
2025-08-01 | 52 | |
6145 |
7월의 끝을 여유롭게 보내며 몇 마디.
|
2025-07-31 | 54 | |
6144 |
피폐했던 하루
|
2025-07-30 | 59 | |
6143 |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둘러싼 싸움의 이면2
|
2025-07-29 | 64 | |
6142 |
애초에 실권없는 김여정의 욕설에 왜 귀를 기울이는지...
|
2025-07-28 | 62 | |
6141 |
일본어 독학이 알려졌을 때의 주변인들의 반응6
|
2025-07-27 | 86 | |
6140 |
국회의원보좌관들은 없는 존재입니다
|
2025-07-26 | 67 | |
6139 |
새로운 장난감4
|
2025-07-25 | 110 | |
6138 |
폴리포닉 월드의 주요국가들의 경쟁전략 요약
|
2025-07-24 | 72 | |
6137 |
미일관세교섭에서 읽히는 2가지의 무서운 쟁점
|
2025-07-23 | 90 | |
6136 |
에너지 소모가 큰 것을 실감하고 있어요
|
2025-07-22 | 75 | |
6135 |
"갑질은 주관적" 그리고 "피해호소인"2
|
2025-07-21 | 138 |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