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사분야에 관심이 좀 있다 보니 국내외의 군사관련 각종자료를 읽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국내에서 전투용 항공기의 탑재량을 가리킬 때 "폭장량" 이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있어요. 이렇게 표현하면 뭔가 더 전문적으로 보이는지는 알 바가 아니지만, 최소한 논리적이지는 않다는 것이 보여서 하나 지적할까 싶네요.
폭장량이라는 말은 "폭탄 탑재량" 의 약칭같은데, 글쎄요.
일단 이 말은 영어의 Payload를 번역한 것 같은데, 사실 여기에는 탑재량이라는 의미만 있지 구체적인 대상이 특정된 것이 아니죠. 사실 각종 무기류에 대해서는 Weaponry, Ordnance 등의 단어가 따로 있고, 게다가 전투용 항공기에 탑재되는 것이 폭탄만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보조연료탱크, 특수목적용장비는 물론이고 장거리 이동을 위해 조종사용 물품을 수납하는 장비도 있다 보니 폭장량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문제가 있어요. 그런데 그 어휘가 제대로 된 것인지는 의문이 들고 있어요.
어휘는 명확성과 간결함이 생명일 것인데, 왜 정작 반대로 흐르는 것인지.
적어도 저는 이 사안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어요.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358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41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75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1
|
2020-02-20 | 408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122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121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725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40 | |
6221 |
러시아의 잠수함 노보로시스크의 수상한 행적
|
2025-10-15 | 8 | |
6220 |
국내 정치상황이 일본에 종속되지 않으면 큰일날까요?
|
2025-10-14 | 8 | |
6219 |
학구열이나 내집 마련의 꿈이 탐욕으로 매도당한다면
|
2025-10-13 | 9 | |
6218 |
10월 중순에 이렇게 연일 비가...
|
2025-10-12 | 14 | |
6217 |
반동이라는 표현은 이제 거침없이 쓰입니다
|
2025-10-11 | 20 | |
6216 |
꿈 속에서도 자칭 진보주의자들의 어휘는 빈곤했어요
|
2025-10-10 | 20 | |
6215 |
한글과 김치는 말로만 칭송될 뿐
|
2025-10-09 | 21 | |
6214 |
이상한 예절을 강요하는 세태에 대해 간단히.
|
2025-10-08 | 28 | |
6213 |
최근에 약이 추가된 이야기
|
2025-10-07 | 37 | |
6212 |
영화 <어쩔수가없다> 후기(스포일러 없음)4
|
2025-10-06 | 93 | |
6211 |
러시아군에서 기병이 부활한다
|
2025-10-05 | 37 | |
6210 |
동생이 일시적으로 슬럼프에 빠진 듯합니다4
|
2025-10-04 | 58 | |
6209 |
출국납부금 인상이 추진된다기에 몇 마디.4
|
2025-10-01 | 43 | |
6208 |
성우업계에 용왕커플에 이어 청춘돼지커플의 탄생
|
2025-09-30 | 39 | |
6207 |
행정전산망 마비사태의 나비효과2
|
2025-09-29 | 48 | |
6206 |
가볍게 신변 이야기.
|
2025-09-28 | 46 | |
6205 |
한밤중에 연속된 재난문자로 잠을 설쳤습니다2
|
2025-09-27 | 51 | |
6204 |
영문모를 소리가 나오는 세태는 비판할 것도 못됩니다2
|
2025-09-26 | 53 | |
6203 |
다시 더워지는 날씨 속에서 몇 마디.2
|
2025-09-25 | 57 | |
6202 |
엔진차 판매를 제한하려는 정부의 오판
|
2025-09-24 | 63 |
2 댓글
대왕고래
2021-03-19 20:55:20
약어는 엔간하면 알아듣기 쉽게 써야죠.
약어를 쓰는 이유는 간편성이지만, 의미가 통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죠.
그걸 생각하고 용어를 정한건가 싶네요. 좀 그렇네요.
마드리갈
2021-03-20 14:59:49
약어를 만들 때 신중하지 않으면 이렇게 문제가 발생하는 법이죠.
이런 경우도 있어요. "내 생각에는 이거 잘못된 것 같은데" 라고 표현하는데, 이걸 "IMP TGW" 라고 쓰면 그 약어를 쓰는 사람에게는 편하겠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에게는 이게 대체 무슨 소리인가 하는 답밖에 돌아올 수 없어요. 이걸 반문하면 처음에 약어를 쓴 사람이 "In my opinion, things gone wrong" 이라고 다시 설명을 해줘야 하고, 이런 약어가 역효과를 내는 것이죠.
안타깝지만, 저렇게 잘못 정착된 용어는 상당히 오래갈 것 같아요. 저 용어를 자주 사용하는 분야에서는 최소한의 문제의식조차 없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