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만에 쓰는 음악관련의 글 중 같은 멜로디의 다른 노래의 8번째 시리즈에서는, 이전 회차에서 예고한 키워드인 편도에 대한 것입니다.

음악이란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으며, 국경과 진영과 시대를 넘어서 그 힘으로 사람들을 매료시키기도 합니다.
이것은, 세계가 거대한 사상의 실험장이었던 20세기 후반의 냉전기에도 변하지 않았고, 미국에서 만들어진 노래 한 곡이 영국 등의 같은 언어를 쓰는 국가는 물론, 적국 소련에서도 큰 인기를 모으는 한편 서양은 물론 동양에서도 큰 인기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인 닐 세다카(Neil Sedaka, 1939년생)가 1959년에 발표한 곡인 One Way Ticket.


이 원곡은 잭 켈러(Jack Keller, 1936-2005) 및 행크 헌터(Hank Hunter, 1929-2017)의 공동작업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 20세의 닐 세다카가 이 음반을 냈을 때는 싱글의 B면 수록곡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A면의 Oh! Carol 이상의 인기를 얻었으며, 1960년에 일본에서 차트 1위를 기록한 것을 필두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갖가지 커버곡도 유명한데, 대개는 1978년 영국의 밴드 이럽션(Eruption)이 발표한 것이 가장 유명할 것입니다.



자메이카 출신의 보컬 프레셔스 윌슨(Precious Wilson, 1957년생)을 필두로 카리브해 도서지역 출신들의 멤버들이 영국에서 결성한 밴드 이럽션이 선보이는 이 곡은 고전미와 현대적인 R&B 감각이 절묘하게 만난 멋진 재해석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된 일인지 One way ticket to the blues라는 가사를 잘못 듣는 사람들이 많은가 봅니다. One way ticket to the moon이라고.


그런데, 이것 이외에도 소련에서 커버된 것이 있습니다.



소련의 밴드 즈드라스트부이 뼤스냐(Здравствуй песня, "안녕 노래")가 부른 곡으로, 가사가 완전히 달라져 있으며 제목 또한 씨니 씨니 이니(Синий синий иней, 푸르고 푸른 서리)로 바뀌어 있습니다. 영어 가사의 원곡에서든 러시아어 가사에서든 푸른색이 나와 있고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보니 공통성은 충분히 있습니다만...


이 밴드 관련 정보를 러시아 웹에서 찾아보니까, 이 곡을 발매한 시기는 1980-1981년 정도가 되는 것 같습니다.


비슷한 시기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커버곡이 나왔습니다. 방미의 "나를 보러 와요" 라는 곡으로.

이것도 인기가 많았다 보니, 국민학생 때 TV나 라디오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것이 기억나고 있습니다. 처음 들었을 때가 1986년 즈음이라서 이미 나온지 6년이나 지났지만, 그 당시에도 인기가 좋았으니...



이 곡의 멜로디는 인도네시아의 노래에도 차용되어 있는데, 꽤나 기묘합니다.

1993년에서 2001년까지 활동했던 혼성그룹 트리오퀙퀙(Trio Kwek Kwek)의 1998년 발표곡 타리삼바(Tari Samba)라는 곡이 바로 그것.



가사에 "고양고양" 이라는 말이 있어서 고양고양하게 느껴지는데, 인도네시아어를 모르니 지금은 알 수 없고, 나중에 번역기의 도움이라도 받아야겠습니다만...

그런데, 재미있게도, 국내의 어떤 방송광고 중에 이 곡의 멜로디가 차용되어 있더군요(유튜브 링크 바로가기).


One Way Ticket이라는 미국의 노래가 영국으로, 소련으로, 한국으로, 그리고 인도네시아로...

편도티켓으로 세계여행이 이렇게 가능합니다.

그리고, 세계 어딘가에 또 다른 커버곡이 있을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 어떤 형태로 만날지는 장담할 수 없겠지만.



다음 시리즈의 키워드는 수병(水兵)입니다.

SiteOwner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0 댓글

Board Menu

목록

Page 1 / 31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

6
Lester 2025-03-02 358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441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275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21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408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122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121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725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240
6221

러시아의 잠수함 노보로시스크의 수상한 행적

  • file
  • new
마드리갈 2025-10-15 2
6220

국내 정치상황이 일본에 종속되지 않으면 큰일날까요?

  • new
마드리갈 2025-10-14 5
6219

학구열이나 내집 마련의 꿈이 탐욕으로 매도당한다면

  • new
마드리갈 2025-10-13 9
6218

10월 중순에 이렇게 연일 비가...

  • new
마드리갈 2025-10-12 14
6217

반동이라는 표현은 이제 거침없이 쓰입니다

  • new
SiteOwner 2025-10-11 19
6216

꿈 속에서도 자칭 진보주의자들의 어휘는 빈곤했어요

  • new
마드리갈 2025-10-10 20
6215

한글과 김치는 말로만 칭송될 뿐

  • new
마드리갈 2025-10-09 21
6214

이상한 예절을 강요하는 세태에 대해 간단히.

  • new
마드리갈 2025-10-08 28
6213

최근에 약이 추가된 이야기

  • new
마드리갈 2025-10-07 37
6212

영화 <어쩔수가없다> 후기(스포일러 없음)

4
  • file
  • new
시어하트어택 2025-10-06 93
6211

러시아군에서 기병이 부활한다

  • file
  • new
SiteOwner 2025-10-05 37
6210

동생이 일시적으로 슬럼프에 빠진 듯합니다

4
  • new
SiteOwner 2025-10-04 58
6209

출국납부금 인상이 추진된다기에 몇 마디.

4
  • new
마드리갈 2025-10-01 43
6208

성우업계에 용왕커플에 이어 청춘돼지커플의 탄생

  • file
  • new
마드리갈 2025-09-30 39
6207

행정전산망 마비사태의 나비효과

2
  • new
마드리갈 2025-09-29 48
6206

가볍게 신변 이야기.

  • new
SiteOwner 2025-09-28 46
6205

한밤중에 연속된 재난문자로 잠을 설쳤습니다

2
  • new
SiteOwner 2025-09-27 51
6204

영문모를 소리가 나오는 세태는 비판할 것도 못됩니다

2
  • new
SiteOwner 2025-09-26 53
6203

다시 더워지는 날씨 속에서 몇 마디.

2
  • new
마드리갈 2025-09-25 57
6202

엔진차 판매를 제한하려는 정부의 오판

  • new
마드리갈 2025-09-24 63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