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유야 당연하겠죠... 요즘 취업난이 심하니까요. 물론 취업이 예정된 상태에서 졸업장을 받는다면야 당당하게 가서 웃는 얼굴로 참가할 수 있겠죠.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고, 이런 사람들은 졸업식에 가서 사진 찍고, 하하호호 웃고 할 생각이 안 들겠죠. 공부하느라 그럴 시간도 내지 않겠지만요. 그 때문인지 졸업식장에 모습을 아예 비추지 않고, 사진도 찍지 않고, 학위증서도 택배로 받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은 저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입니다.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졸업을 하게 됐죠. 사실 이건 제가 원하는 분야가 졸업예정 등의 여부에 구애받지 않는 분야라 거기에만 몰두하려고 그런 겁니다만... 어쨌든 사진은 남겨놔야 할 것 같아서 가족끼리만 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오신다는 친척분들이 조금씩 늘어나는군요. 와 주신다니 고맙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부담이 이만저만 아니군요. 제가 어디다 크게 대고 자랑할 것도 아닌데...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358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41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75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1
|
2020-02-20 | 4081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122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121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725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40 | |
6219 |
학구열이나 내집 마련의 꿈이 탐욕으로 매도당한다면
|
2025-10-13 | 5 | |
6218 |
10월 중순에 이렇게 연일 비가...
|
2025-10-12 | 9 | |
6217 |
반동이라는 표현은 이제 거침없이 쓰입니다
|
2025-10-11 | 18 | |
6216 |
꿈 속에서도 자칭 진보주의자들의 어휘는 빈곤했어요
|
2025-10-10 | 19 | |
6215 |
한글과 김치는 말로만 칭송될 뿐
|
2025-10-09 | 20 | |
6214 |
이상한 예절을 강요하는 세태에 대해 간단히.
|
2025-10-08 | 28 | |
6213 |
최근에 약이 추가된 이야기
|
2025-10-07 | 37 | |
6212 |
영화 <어쩔수가없다> 후기(스포일러 없음)4
|
2025-10-06 | 92 | |
6211 |
러시아군에서 기병이 부활한다
|
2025-10-05 | 37 | |
6210 |
동생이 일시적으로 슬럼프에 빠진 듯합니다4
|
2025-10-04 | 56 | |
6209 |
출국납부금 인상이 추진된다기에 몇 마디.4
|
2025-10-01 | 41 | |
6208 |
성우업계에 용왕커플에 이어 청춘돼지커플의 탄생
|
2025-09-30 | 39 | |
6207 |
행정전산망 마비사태의 나비효과2
|
2025-09-29 | 46 | |
6206 |
가볍게 신변 이야기.
|
2025-09-28 | 45 | |
6205 |
한밤중에 연속된 재난문자로 잠을 설쳤습니다2
|
2025-09-27 | 50 | |
6204 |
영문모를 소리가 나오는 세태는 비판할 것도 못됩니다2
|
2025-09-26 | 53 | |
6203 |
다시 더워지는 날씨 속에서 몇 마디.2
|
2025-09-25 | 57 | |
6202 |
엔진차 판매를 제한하려는 정부의 오판
|
2025-09-24 | 62 | |
6201 |
폭군의 셰프의 "년" 과 "계집" 의 차별
|
2025-09-23 | 65 | |
6200 |
플라자합의 40주년과 폴리포닉 월드
|
2025-09-22 | 70 |
2 댓글
마드리갈
2016-02-29 13:43:45
사실 졸업식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고 부과되는 의무도 없다 보니 참석률이 100%가 되지도 못할 것이고, 전반적으로 대학 진학자가 적어지고 학교당 학생수도 줄어드는 형편이니 절대적인 인원 면에서도 아무래도 적어질 것은 보여요. 그러니 어쩔 수 없는 거겠지만, 그래도 인생에서 기념할 만한 날 중의 하나니까 저는 가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대로 실행에 옮겼어요. 그리고 그날 학교에서 학위증서를 직접 수령했어요.
일가친척이 많이 오는 건, 적어도 제 입장에서는 좋다고 보고 있어요.
그러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는 사람이 엄연히 있으니까요.
SiteOwner
2016-03-03 22:24:40
예전에 읽은 소설에서 사람들이 계속 죽어나가니 슬퍼하던 생존자들도 나중에는 감정이 메말라서 더 이상 울지 않게 되었다는 표현이 생각나고 있습니다. 이것처럼, 마땅히 기념할만한 날인데도 현실의 생활고로 인해 졸업식을 외면하는 것이 각박한 시대상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마음 한켠이 어두워집니다.
언제나 되어야 이러한 어두운 현상이 해소될지는 모르겠지만 이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누릴 것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다는 증거 중의 하나가 아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