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그리고 각 일간지에서는 한글날을 맞이하니 또 수년째 집단광기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표현이 거칠게 느껴질지는 모르겠지만 사실 이것보다 적합한 표현을 찾을 수 없어서 부득이하게 이렇게 표현하는 것이니 양해를 구하겠습니다.
주로 이 집단광기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뉘어집니다
한글과 한국어 혼동은 정말 더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이고 한국어는 언어의 한 종류인데 이것을 어떻게 혼동할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이것은 마치 전철 승차권과 전동차를 같은 것으로 혼동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그러니 헛소리입니다.
한국어의 우수성 운운하는 것도 따라서 상당히 위험한 논리입니다.
한글은 분명 우수한 문자가 맞습니다. 그래서 한글의 우수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무리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한국어와 혼동하여 한국어가 우수한 언어인 것처럼 주장한다면 결코 설득력 있는 주장은 못됩니다. 사실 한국어의 시스템 자체에는 강점도 약점도 많다 보니 어떤 언어와 비교할까에 따라서 한국어의 위상은 크게 달라집니다.
흔히 한국어의 장점에 정서표현이 뛰어나다, 조어력이 좋다 등을 꼽는데 사실일까요? 몇 가지만 논파해 보도록 하지요.
첫째, 색상 등의 표현이 다양해서 붉다, 빨갛다, 불그스레하다 등의 다양한 표현이 있다는 게 한국어의 우수한 점으로 잘 언급되는데, 좋습니다. 그렇지만 한번 뒤집어 보면, 어차피 이건 "붉다" 라는 어휘의 변형에 지나지 않습니다. 영어의 경우처럼 Red, Carmine, Crimson, Rose 등의 별도의 색채를 나타내는 잘 쓰이는 어휘가 있습니까? 그렇게 뛰어난 한국어이면서, 왜 한국에는 Pantone Color Chart같은 표준적인 색도표가 만들어지지 않고 있습니까?
둘째, 시간의 흐름과 문장의 흐름이 역전된 경우가 있어서 모순된 표현이 난무합니다. 문을 닫고 들어올 수는 없고 들어온 뒤에 문을 닫아야 맞는데, 보통 한국어에서는 "문 닫고 들어오라" 라는 역전된 문장이 더욱 자주 쓰입니다. 게다가 어떤 일을 지속할 때, 일을 계속하라는 것이 아니라 계속 일하라는 표현이 많이 쓰입니다. 목적을 먼저 강조하니 효율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역으로 시간의 흐름과 문장의 흐름이 역전되어 모순을 자초하는 결함이 있다고도 충분히 비판이 가능합니다.
셋째, SVO 구조의 문장이 아니므로 내용의 추가가 어렵습니다. 영어의 경우 동사 뒤에 내용을 추가하여 정보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 SOV의 구조라서 문장의 가운데가 비대해지고 주어와 술어의 거리가 떨어져서 가독성이 상당히 떨어집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생각해 보시면 간단합니다. 명령어를 앞에 두고 각종 변수를 뒤에 나열하는 방법과 변수를 나열하고 끝에 명령어를 배치하는 것 중 무엇이 우월한지는 생각해 볼 필요도 없습니다.
넷째, 시제와 수량에 대한 개념이 불분명합니다. 한국어에는 시제를 정밀하게 표현할 만한 장치도 없고, 명사의 복수형 표현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뿐더러 복수형의 형태가 통째로 바뀌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것은 시간과 노무의 관리 및 정량적 분석이 필요한 현대사회에서는 아무래도 약점일 수밖에 없습니다.
외국어와 외래어를 혼동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외국어는 다른 나라의 말이고, 외래어는 외국에서 와서 국어에 편입된 말입니다. 즉 외래어는 국어의 일부입니다. 그런데 이걸 배격하라고 주장합니다. 이게 무슨 미친 발상입니까? 그래서, 정신이 나갔다 보니 중국인 여행객을 요우커라고 부르는가 봅니다. 영어권 국가 출신 여행자는 그럼 투어리스트이고, 일본에서 온 여행자는 료코우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오면 투리스텐이라고 부릅니까? 국어파괴를 주도하는 자들이 국어사랑 운운하는 것 자체가 언어도단입니다.
영어 등 외국어의 교육에 대해서도 트집을 잡는 데서는 할 말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무역에 경제의 2/3을 의존하는 국가로, 외국어 습득능력은 한국경제를 지탱할 중요한 인적자원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언어적인 능력은 다른 언어를 배움으로서 크게 확장되는 것입니다. 혹시, 인간의 언어능력에 한계가 있고, 따라서 외국어를 배우게 되면 한국어를 잃을까봐 걱정하는 거라면 그런 생각은 그만두라고 충고드리고 싶습니다. 세계가 한국을 알아야 한국어의 신장이 가능해지고, 또한 외국어를 배움으로서 한국어에 대한 재발견을 할 수 있는 것을 왜 무시합니까. 간판을 제대로 보려면 간판 바로 밑에서 보기보다는 길 건너에서 한 눈에 들어오게 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청소년의 욕설이나 인터넷 속어 등의 것도 신문에 나오던데, 그게 한글날과 대체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어차피 한글과 한국어는 혼동될 수 없는 것이고, 이것은 한국어의 문제이지 한글의 문제가 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욕설이나 인터넷 속어는 철저히 한글로 표현되고 있으니 오히려 일본에서 각종 속어가 로마자로 표현되고 있거나 한자를 다른 것으로 때워 붙이는 것보다는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청소년의 욕설 및 인터넷 속어가 철저히 한글로 표기되고 있는 것은 한글사랑이 정말 철두철미해서 오히려 칭찬해야 마땅합니다.
해외의 소수민족 언어의 기록문자로 한글을 보급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거 추진할만한 게 아닙니다. 그 언어의 문제는 언중들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문제이지 우리가 간섭할 것이 아니고, 또한 문화적 제국주의로 비칠 위험도 존재합니다. 서구 열강들이 했으니 제국주의이고 우리가 하니까 순수한 의도이다 이런 식으로는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내년에도 또 똑같이 고장난 녹음기가 돌아가겠지만...
이제부터는 이런 집단광기가 준동하지 못하도록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는 제대로 깨어 있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