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뭐 동기는 매우 많겠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만 한 번 적어 봤습니다.


먼저 중국계의 경우는 19세기부터 시작된 철도 건설 노동자로 많이 건너간 것 같습니다. 이후에도 중국대륙 공산화 같은 이유로 넘어오는 사람도 좀 있었고요. 표기법에 따라 언제 넘어왔는지도 알 수 있는 게 특징입니다.


일본계의 경우는 정부가 빈민 이주를 장려하면서 브라질이나 미국 같은 곳으로 많이 이주했다고 합니다.


한국계 같은 경우는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같은 곳이 있다고는 하겠지만 그건 소수였고, 주로 넘어온 시기인 1960~1980년대에는 아메리칸 드림이나 고도성장하는 미국에 대한 동경, 독재 정권에 대한 반감 등이 작용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베트남계는 남베트남이 망하고 나서 넘어온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현재 베트남에 대한 증오심도 강하고, 황저삼선기를 상징 깃발로 쓰고 있고요. 베트남이 안정된 이후에 넘어온 이민자들과는 충돌이 많다고 합니다. 

데하카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2 댓글

SiteOwner

2014-03-31 17:29:50

Coolie라는 영단어가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각국 및 인도 출신의 아시아인 노동자를 의미하는데 어원은 힌두어라는 설도 있고 중국어라는 설도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대륙횡단철도 건설인력에는 중국계 이주민들인 Chinese Coolies들이 상당히 많이 공급되었고, 중국계 미국인들은 이것을 긍지로 여기는 듯 합니다. 재미있는 사실 중의 하나로는, 사용한 화약통(powder keg)을 씻어서 그것을 차를 우려내는 도구로 썼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당시 백인들은 그런 중국인들의 차를 폭탄차라고도 불렀습니다.

일본계 미국인들은 태평양전쟁 때 재산몰수 및 강제수용소로의 강제연행생활 등으로 탄압받았고, 그래서 이 문제는 이후 클린턴 대통령의 임기 중에 미국 정부가 공식사과를 하고 일본계 미국인들에 대한 명예회복도 이루어졌습니다.


군생활 때를 회고해 보면, 부대에는 중국계, 일본계, 월남계가 모두 있었습니다.

Quan, Yamamoto, Nguyen 등의 이름은 아직도 생각나고 있습니다.

마드리갈

2017-11-13 23:48:00

미국의 경우 MIT의 별명이 Made in Taiwan이라고도 하지요. 대만계의 진학 및 기부가 많아서 그런 별명이 붙었다고 해요. UCLA는 University of Caucasians Lost in Asians라고 불릴 정도로 아시아계가 많기도 해요.


미국 이외의 경우 아시아계 이주민에 이런 사례도 있어요.

캐나다 밴쿠버의 별명은 홍쿠버라고도 해요. 중국계가 많다 보니 홍콩과 밴쿠버를 합성해서 Hongcouver라고 부르기도 해요. 게다가 피지 같은 경우에는 남태평양인데 의외로 인도계가 많이 거주하고 있어요. 남아메리카의 가이아나도 피지와 같은 이유로 인도계가 많아요. 영국이 통치하던 시대에 인도인들이 노동력으로 많이 동원되어서 그래요.

Board Menu

목록

Page 230 / 3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

6
  • update
Lester 2025-03-02 194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360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217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45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6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95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62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43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53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67
1478

북한 포격도발에서 북한이 잃은 것

4
SiteOwner 2014-03-31 205
1477

미국 등의 아시아계 이민자의 경우 민족에 따라 이유가 조금씩 다르죠.

2
데하카 2014-03-30 194
1476

차 블렌딩에 대한 단상

6
호랑이 2014-03-29 437
1475

주제는 바로 쓰레기 같은 내 자신입니다 여러분

2
teller13 2014-03-29 158
1474

[토론] 국경이 사라질 수 있을까요?

14
대왕고래 2014-03-29 250
1473

(규칙상 내용 삭제)

5
Lester 2014-03-29 241
1472

모비 딕(Moby-Dick) 완역본을 읽고 있습니다.

4
HNRY 2014-03-28 218
1471

[게임이야기] 스타크래프트2를 하면서 자주 쓰는 조합

2
데하카 2014-03-27 179
1470

설정 짜면서 이것저것 생각해 본 게 또 있지요

1
데하카 2014-03-26 182
1469

천안함 폭침, 그리고 진영논리

9
SiteOwner 2014-03-26 242
1468

어쩐지 매콤한 칼국수가 먹고 싶어지는 지금입니다.

10
셰뜨랑피올랑 2014-03-25 344
1467

[철도이야기] JR 동일본의 간판, E233계 전동차

2
데하카 2014-03-25 512
1466

무주지 비르 타윌

5
데하카 2014-03-25 634
1465

어찌저찌 건너왔습니다.

10
Lester 2014-03-25 194
1464

카스2 병자호란

1
데하카 2014-03-24 173
1463

댓글이 잘 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2
마드리갈 2014-03-23 273
1462

규제개혁에서 잊어버리는 전제 (上)

6
마드리갈 2014-03-22 229
1461

설정의 차용에 관하여

3
HNRY 2014-03-21 177
1460

쉽게 전파할 수 없는 재미

1
하네카와츠바사 2014-03-20 151
1459

행복할수가 없는 여우

3
여우씨 2014-03-20 186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