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 때의 일입니다만 당시 각종 사회관련 사안의 담론 중에 절차적 정의가 있었습니다.

과거의 박정희 및 전두환 정부는 설립과정이 절차적 정의에 위반되므로 그 정권은 성향을 논의할 필요도 없이 국민의 의사에 반해 세워진 정통성 없는 정부였고 1987년헌법의 최초의 직선제 대통령선거로 출범한 노태우 정부 또한 그 군사정권의 연장선상이라고 폄하되기 일쑤였는데다 문민정부로 불렸던 김영삼 정부도 3당 합당으로 만들어진 민주자유당에 힘입었으니 민주화운동가의 변절 운운으로 평가절하되었는데다 임기말의 외환위기로 인해 그 정부에 대한 호의적인 여론 자체가 없어졌습니다. 이후 최초의 평화적 수평적 정권교체가 이루어져 탄생한 김대중 정부 이후로는 절차적 정의 관련 담론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만..


요즘은 다시 절차적 정의 담론이 부상중입니다. 이렇게.

국회·공수처·헌재의 '절차 무시'… 한국 민주주의를 흔들었다 (2025년 3월 11일 조선일보)


절차적 정당성, 절차적 공정성 등으로도 쓸 수 있는 그 담론은 정파가 어떻든간에 불편부당하게 그리고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할 사안입니다. 최근의 국내 최대의 이슈인 탄핵정국에서도 마찬가지. 그런데 어떤 정파는 그런 건 안 중요하고 적대정파니까 수단과 방법을 가릴 것 없이 일단 몰락시키기만 하면 될 일이라고 주장하는 것 같습니다. 자칫하면 절차적 정의를 말하면 그것만으로도 극우로 몰릴지도 모르겠습니다.


요즘 헌법을 정말 중시한다고 어필하는 그 정파의 계열 중 누군가가 오래전에 한 발언이 있습니다. "그놈의 헌법" 발언. 이건 발언자도 고인인데다 그를 계승하는 정당이 조금도 공식입장을 낸 적이 없습니다. 그럼 그 발언, 여전히 유효한 것일까요.

SiteOwner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2 댓글

대왕고래

2025-03-23 00:58:28

절차 없이 진행하면 정당성이 없고 의미가 없죠. 저에게는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나봐요.
그런 사람들이 제 윗사람이나, 제 인생에 영향을 주는 사람이 아니면 좋겠는데요. 그런 모양이네요.

SiteOwner

2025-03-24 23:16:26

자신만이 정의롭다고 믿는 그런 자들은 소수일 때는 타인에 대해 절차적 정당성 결여를 말하지만 다수가 되면 사회적 합의 자체가 잘못된 과거의 유산이니까 버려야 한다고 믿으면서 이전의 입장을 쉽게 뒤집어 버립니다. 더욱 무서운 것은, 그런 속성의 사람들은 좀처럼 바뀌지 않는데다 후안무치하기까지 해서 매우 위험합니다.


그런 사람의 영향 밖에 있는 것도 역시 행운이겠지요.

Board Menu

목록

Page 3 / 30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

6
  • update
Lester 2025-03-02 193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358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217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44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6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3951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62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42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53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66
6015

옴진리교의 독가스테러 그 이후 30년을 맞아 느낀 것

2
  • update
SiteOwner 2025-03-20 115
6014

여러모로 바쁜 나날이 이어졌습니다

SiteOwner 2025-03-19 107
6013

"극도(極道)" 라는 야쿠자 미화표현에 대한 소소한 것들

2
마드리갈 2025-03-18 110
6012

요즘은 수면의 질은 확실히 개선되네요

2
마드리갈 2025-03-17 102
6011

최근의 몇몇 이야기들.

4
  • update
시어하트어택 2025-03-16 134
6010

"그렇게 보인다" 와 "그렇다" 를 혼동하는 모종의 전통

2
  • update
마드리갈 2025-03-15 102
6009

저녁때 이후의 컨디션 난조 그리고 사이프러스 문제

4
  • update
마드리갈 2025-03-14 145
6008

탄핵정국 8전 8패는 이상하지도 않았어요

2
  • update
마드리갈 2025-03-13 105
6007

트럼프의 항등식이 성립할 수 없는 4가지 이유

2
  • update
마드리갈 2025-03-12 108
6006

이제 절차적 정의를 말하면 극우가 될지도 모릅니다

2
  • update
SiteOwner 2025-03-11 111
6005

파운드리(Foundry)를 영어로만 쓴다고 의미가 있을지?

3
  • update
마드리갈 2025-03-10 105
6004

그 정당의 틀린 설정 들이밀기

2
SiteOwner 2025-03-09 107
6003

시간의 흐름이 늘어지는 듯하네요

2
마드리갈 2025-03-08 112
6002

덴마크 공공우편사업 400년의 종언

3
  • file
  • update
마드리갈 2025-03-07 118
6001

오폭사고 보도의 섣부른 추정 그리고 사고공화국

2
  • update
SiteOwner 2025-03-06 119
6000

관심영역의 축소

2
  • update
마드리갈 2025-03-05 125
5999

K-엔비디아로 국민을 먹여살리자?

6
  • update
Lester 2025-03-04 229
5998

오늘이 대체공휴일이어서 천만다행이었어요

2
마드리갈 2025-03-03 117
5997

민주화와 민주당화

4
SiteOwner 2025-03-01 189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