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전회에 이어 클래식 음악이 편곡되어 팝으로 새로이 태어난 사례를 소개합니다.
원곡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1798년작인 피아노 소나타 제8번 c단조 op.13 비창소나타(Sonata Pathétique) 제2악장, 그리고 재해석으로 탄생한 곡은 영국의 메조소프라노 오페라 가수 루이즈 터커(Louise Tucker, 1956년생)의 1982년작인 미드나이트 블루(Midnight Blue)입니다.
비창(悲愴)이란, 슬프고 아픈 상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일상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지만,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제8번이나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제5번같이 음울하고 또한 절규하는 듯한 음악의 표제로서는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소개하는 피아노 소나타 제8번의 2악장은 아다지오 칸타빌레(Adagio cantabile)라는 지시의 뜻 그대로 느리게 노래하듯이 연주되는, 절제된, 그러기에 더욱 마음 깊은 곳까지 와닿는 아름다움의 극치입니다.
그럼, 들어보겠습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음원은 이스라엘의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인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1942년생)의 2006년 독일 베를린에서의 실황연주입니다.
듣다 보면, 이런 생각이 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선율을 써 나간 음표의 잉크 속에는 얼마나 깊은 감정이 녹아 있는지 그 깊이를 알기 힘들다고.
그러면 이번에는 루이즈 터커의 미드나이트 블루.
원래의 베토벤의 소나타가 차분히 가라앉는 선율 속의 깊은 감정을 노래한다면, 같은 멜로디의 미드나이트 블루는 한밤중의 고독함과 우울을 숭고하게 더욱 높은 차원으로 승화시키려는, 슬픈 영혼에의 찬가로 다시 태어난 것 같습니다.
격동의 시대에 태어난 비창소나타, 그리고 그 비창소나타에서 태어나 더욱 높은 차원을 희구하는 미드나이트 블루.
두 곡 모두, 우울해지기 쉬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을 위한 마음의 노래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 시리즈의 키워드는 편도입니다.
Founder and Owner of Polyphonic World
목록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289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01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45 | |
공지 |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
2024-03-05 | 282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0
|
2020-02-20 | 4029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094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083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686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00 | |
6153 |
망원렌즈를 금지하는 언론개혁의 부재
|
2025-08-08 | 4 | |
6152 |
왼발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주저앉기도 했어요
|
2025-08-07 | 19 | |
6151 |
"강한 자만 살아남는 90년대"2
|
2025-08-06 | 43 | |
6150 |
호주의 차기호위함 프로젝트는 일본이 수주 <상편>
|
2025-08-05 | 29 | |
6149 |
"누리" 라는 어휘에 저당잡힌 국어생활
|
2025-08-04 | 36 | |
6148 |
인터넷 생활에서 번거롭더라도 꼭 실행하는 설정작업
|
2025-08-03 | 59 | |
6147 |
카고시마현(鹿児島県), 일본의 차엽 생산지 1위 등극
|
2025-08-02 | 47 | |
6146 |
이제 와서 굽힐 소신이면 뭐하러 법제화하고 불만인지?
|
2025-08-01 | 52 | |
6145 |
7월의 끝을 여유롭게 보내며 몇 마디.
|
2025-07-31 | 52 | |
6144 |
피폐했던 하루
|
2025-07-30 | 59 | |
6143 |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둘러싼 싸움의 이면2
|
2025-07-29 | 64 | |
6142 |
애초에 실권없는 김여정의 욕설에 왜 귀를 기울이는지...
|
2025-07-28 | 62 | |
6141 |
일본어 독학이 알려졌을 때의 주변인들의 반응6
|
2025-07-27 | 85 | |
6140 |
국회의원보좌관들은 없는 존재입니다
|
2025-07-26 | 66 | |
6139 |
새로운 장난감4
|
2025-07-25 | 110 | |
6138 |
폴리포닉 월드의 주요국가들의 경쟁전략 요약
|
2025-07-24 | 72 | |
6137 |
미일관세교섭에서 읽히는 2가지의 무서운 쟁점
|
2025-07-23 | 89 | |
6136 |
에너지 소모가 큰 것을 실감하고 있어요
|
2025-07-22 | 75 | |
6135 |
"갑질은 주관적" 그리고 "피해호소인"2
|
2025-07-21 | 138 | |
6134 |
그러고 보니 어제의 식후는 그냥 삭제된 시간이었군요2
|
2025-07-20 | 192 |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