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완곡어법은 정말 상대를 배려하는 화법일까?

SiteOwner 2017.11.29 19:41:48
생활의 여러 분야에서 완곡어법을 많이 접하다 보니 이런 의문이 들고 있습니다.
과연 완곡어법은 정말 상대를 배려하는 화법일까, 정말 배려한다면 오히려 정확한 정보를 제시하고 확실히 한계를 명시하는 편이 더욱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 때가 많아서입니다. 특히, 문을 열고 닫는 것과 같이 행동의 중간값이 없는 경우에 완곡어법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들기 마련입니다.

물론, 완곡어법이 완전히 불필요하니 전면 폐기해야한다는 주장을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순기능을 부정할 의도도 없습니다. 문제는 이게 남발되는데다 함의가 불순한 경우가 있으니 이런 것은 조심해야 한다는 점이지요. 여기서 말하는 것은 바로 이런 성격에 해당하는 것.

예시를 한 가지 보겠습니다.
철도의 경우, 24시간 내내 선로에 열차가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선로보수작업에 정기적으로 할애하는 시간대가 있으니 그 시간대는 선로를 비워두고 작업인원과 장비가 선로를 차지해서 진단 및 공사를 담당하고, 그렇지 않더라도 열차가 여객, 화물 등을 취급하거나 신호대기중이라서 선로를 점유하는 중이라면 같은 선로에 다른 열차가 진입해서는 안되기에 당연히 이 경우에도 신호제어를 하여 통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선로에 열차가 달린다/달리지 못한다의 선택지만 존재합니다. 영어로 하면 On/Off, 독일어로 하면 Ein/Aus, 한자로 쓰면 入/切이고. 게다가 선택지 내의 두 행동은 상호 모순관계에 있어서 중간 단계는 없습니다.

그러면 이런 상황에서 진입불가를 진입이 어렵다고 말하면?
분명히 이상할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그러면 잘만 궁리하면, 어렵더라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완전히 불가능하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기대감을 가지는 경우도 없지는 않겠지요. 그런데 이것이 불가능한 것을 빙빙 돌려서 말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의 실망감과 배신감은 말도 못할 뿐더러, 결과가 이렇다면 처음부터 확실히 말해 줬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원망도 하게 됩니다. 그 낮은 기대에 들어간 시간과 노력이 결국 허사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렇게 선택지 내의 사항이 상호 모순관계에 있는 상황을 완곡어법으로 말해 봤자 의미가 없고, 하지 않은 것보다 결과적으로 더 안 좋게 됩니다.

요즘 별별 이유로 분쟁이 많다 보니 자기방어적 본능 등이 강해져서 완곡어법이 유행하는 것은 어느 정도 이해하겠지만, 오히려 완곡어법이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어 역효과를 내는 경우도 있다 보니 이것도 어느 정도는 제한이 필요합니다. 또한 남발하면 계속 둔감해지기에 완곡어법이 결국은 완곡어법이 아니게 될 날도 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의사결정이나 유통 등의 단계는 간소화로 혁신을 꾀한다는데, 이런 언어생활에서는 오히려 완곡어법의 남발로 비효율과 부정확이 나날이 늘어가니, 이런 역설에 대처하는 것도 앞으로의 생활에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기우같아 보이더라도.

나중에 교육에서 이러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곱셈에서는 아무리 큰 수라도 0을 곱하는 순간 결과값이 0이 되고, 나눗셈에서는 0으로 나누게 되면 결과값을 도출할 수 없게 됩니다. 이것을 0을 곱하면 0이 나올 수 있다, 0으로 나누면 답이 나오기 어렵다 하는 식으로 가르치는 날이 오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설마 싶겠지만, 이것 또한 확실히 반박하기는 어렵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