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중국의 기묘한 현지화 센스 - 게임

마키 2017.01.06 14:02:10

전 글에서 이어지는 중국의 기묘한 현지화 센스, 이번에는 각종 게임들의 현지화 작명입니다.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특성상 뜻이 명확한건 대체로 그냥 직역해버리고, 그러기 곤란한 것들은 음차를 적절히 섞어가면서 중역(中譯)했는데 이쪽의 센스도 애니메이션보다 더하면 더했지 못하지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예시는 해본 작품이나 이름 정도는 알고 있는 것들 위주로 적당히 추렸습니다.

 

 

그랜드 테프트 오토(GTA) : 협도렵차수(????手) / 그랜드 테프트 오토grand theft auto는 미국 경찰 속어로 '자동차 절도'를 의미하는 단어인데, 여기서는 글자 그대로 번역하여 그랜드를 협?(무협이나 협객 할때의 그 협)으로 번역하고, 도렵??은 밀렵(= theft: 절도에 대응), 차수?手는 자동차 운전자나 드라이버(= auto: 자동차에 대응)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국내에서 농담삼아 직역해 칭하는 위대한 자동차 도둑을 그대로 중국어로 번역한 느낌.

 

그라디우스 : 우주순양함(宇宙巡航?) / 코나미의 유명한 슈팅 게임 시리즈. 다만 빅 바이퍼를 비롯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은 분명히 '초시공전투기'라고 나와 있고 상대하는 박테리안 군의 전력도 초대부터의 보스 빅 코어를 비롯해 전부 '우주전함'으로 칭하는 만큼, 어디서 순양함이 튀어나왔는지 궁금합니다. 결국 맞는건 작품의 배경인 우주밖에 없군요.

 

록맨 시리즈 : 낙극인(洛克人) / 낙극洛克은 Locke의 음차. 그러므로 중국의 번역을 그대로 영어로 옮기면 Lockeman이 되겠죠. 원래 록맨의 영문 표기는 Rockman이지만 정직하게 암석인간으로 할 수도 없는 만큼(한다면 그건 그것대로 개그) 이정도면 나름 적절하게 번역했다고 해줄 수 있을듯 합니다. (* 실제로 록맨의 이름은 로큰롤에서 따왔다고 하는데, 그래서 록맨의 여동생 이름은 롤입니다. 록&롤 = 로큰롤.)

 

롤러코스터 타이쿤 : 과산차대형(?山?大亨) / 과산차?山?는 한자를 직역하면 '산(山)을 넘는(?) 차량(?)'인데, 롤러코스터를 뜻합니다. 대형大亨은 원어의 타이쿤Tycoon과 마찬가지로 원래는 재계의 거물을 뜻하는 단어고 어원적으로는 일본 에도시대의 쇼군을 칭하는 대군大君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의미가 파생되어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칭하는데에도 쓰이죠. 그러니까 그냥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 타이쿤.

 

메탈슬러그 : 합금탄두(合金??) / 슬러그의 여러 의미중에 탄환이라는 의미도 있는 만큼 적절한 번역. 보통 슬러그를 직역해 강철 민달팽이로 부르는 것에 비하면 나름 괜찮다고 생각하는 작명.

 

봄버맨 : 작탄인(炸?人) / 직역도 이쯤되면 개그. 작탄炸?은 폭탄을 뜻합니다. 말 그대로 봄버맨(...).

 

스타크래프트 : 성제쟁패(星???)  / 성제星?는 별과 별 사이(= 성간, interstellar)를 뜻하고 쟁패??는 패권을 다툰다는 의미입니다. 의역하면 행성간 패권 다툼(혹은 전쟁) 정도의 의미. 스타크래프트 자체가 우리 태양계를 비롯해 코프룰루 태양계까지 세력권에 둔 테란, 차 행성이 본거지이자 고향인 저그, 아이어가 고향이었다가 저그에게 점령당했고, 그 다음가는 비중으로 샤쿠라스가 등장했지만 여전히 아이어 탈환을 가장 최우선 목표로 삼는 프로토스의 전쟁이니 만큼 어떻게보면 나름대로 훌륭한 번역.

 

시드 마이어의 문명 : 석덕·매이적문명제국 (席德·梅爾的文明帝國) / 석덕 매이席德·梅爾는 시드 마이어의 음차이고 그 뒤는 게임 타이틀인 문명 그대로.

 

심시티 : 모의성시(模?城市) / 성시城市는 도시를 뜻하고 심시티를 비롯한 심~ 시리즈의 접두사인 심은 원래 Simulation에서 sim만 따온 것이기 때문에 원어의 의미를 감안하고 보면 SIMulation(模?) City(城市), 즉 모의(실험) 도시.

심즈 : 모의시민(模?市民) / 같은 작명법. 성시 대신 시민이 붙어있을 뿐입니다. 다만 심즈의 주제는 가족 육성 시뮬레이션이니만큼 시민이 적절한가는 조금 갸우뚱. 물론 그 가족들(설정상 이 시리즈에서 사람을 칭하는 명칭은 심Sim)이 일단 설정상으로 우리네와 똑같이 도시(= 심시티)나 마을(= 심타운) 안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넓게 보자면 틀린 말은 아닙니다.

 

월드 오브 탱크 : 탄극세계(坦克世界) / 탄극坦克은 탱크Tank의 음차입니다. 말 그대로 전차 세계(World of Tanks). 같은 작명법으로 전투기가 주제인 월드 오브 워플레인은 전기?机(= 전투기)를 써서 전기세계?机世界(전투기 세계, World of Warplanes), 군함이 주제인 월드 오브 워십은 전함??을 써서 전함세계??世界(World of Warships)라고 중역. 

 

유메닛키 : 몽일기(?日?) / 일본판은 유메닛키ゆめにっき(한자로 표기한다면 夢日記)라고 히라가나로 표기하는데 이를 그대로 한자로 직역. 뜻 자체는 어느쪽이나 꿈 일기 라는 뜻.

 

주 타이쿤 : 동물원대형(?物?大亨) / 기본적인 작명법은 위쪽의 롤러코스터 타이쿤과 동일합니다.

주 타이쿤: 공룡 동물원 : 패왕룡시대(?王??代) / 패왕룡?王?은 티라노사우루스를 뜻합니다. 가장 대표적이고 유명한 공룡인 만큼 공룡 그 자체를 대표하는 존재로서 표기한 듯 보이며, 때문에 패왕룡을 글자 그대로 직역하기보단 좀 더 넓게 공룡으로 보자면 의역해서 공룡의 시대.

주 타이쿤: 해양 동물원 : 풍광수세계(?狂水世界) / 애니메이션 편의 주토피아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crazy 보다는 wild의 의미로 쓴 듯 합니다. 그러므로 의역하면 야생 바다의 세계. 해당 확장팩을 설치하면 범고래나 항유고래를 비롯해 백상아리 등의 상어류와 가오리 등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추가되는 만큼 의미상으로 보자면 크게 틀린 말은 아닙니다. 단지 풍광의 엽기적인 뉘앙스가 문제일 뿐...

 

콜 오브 듀티 : 사명소환(使命召?) / 원어의 뉘앙스도 대충 '국방의 의무' 정도의 느낌인 만큼 의역하면 사명이 너를 부른다 정도의 의미입니다.

 

테트리스 : 아라사방괴(俄?斯方?) / 아라사俄?斯는 다들 익숙하실 러시아의 음차이고 방괴方?는 사각형, 혹은 정육면체를 뜻합니다. 테트리스가 본래 러시아에서 개발된 게임이기 때문에 러시아를 붙이고, 게임의 핵심 요소인 테트리미노(*)를 방괴로 번역한 작명.

(* 도형 자체는 파생형을 포함해 폴리오미노 라고 칭하는데, 여기저기서 자주 보셨을 사각형 여러개를 이어붙여 만든 도형으로 그리스어 수사를 붙여서 해당 도형이 사각형 몇개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표기합니다. 가장 대중적으로는 퍼즐로 자주 쓰이는 펜토미노(사각형 5개), 테트리스의 핵심인 테트리미노(사각형 4개), 도미노 피자의 로고에도 쓰이는 도미노(사각형 2개).)

 

팩맨 : 흘두인(吃豆人) / 흘두인(吃豆人)을 직역하면 '콩(豆)을 먹는(吃) 자(人)' 이고 낙극인=록맨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가 중국어로 팩맨을 뜻합니다. 게임상에서 도트를 회수하며 다니는 움직임을 콩을 먹는걸로 표현한 듯.

 

포켓몬스터 : 구대요괴(口袋妖怪) / 구대口袋는 주머니나 자루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말 그대로 주머니 요괴=포켓몬스터.

 

포탈 : 전송문(?送?) / 직역도 이쯤되면 개그 2. 포탈 자체가 문이나 정문이란 뜻이고 게임 내에서나 설정상으로나 사물이나 사람을 옮길수도 있기에 의미상으로 틀린 말은 아닙니다만 너무나도 직설적인 번역은 역시 중국(...).

 

하프 라이프 : 반조명(半?命) / 하프라이프 자체는 반감기 라는 의미이며 단어 그대로 직역하면 반쪽 인생. 이쪽도 마찬가지로 반조半?는 반조각, 반쪽 등을 뜻하기 때문에 의미상으로 크게 벗어나지는 않지만 사전 검색 결과 이쪽도 단어 자체가 그냥 하프 라이프 시리즈의 중역인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