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이라서 머리가 완전히 굳었다는 말에는 솔직히 충격이 안 올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속에서 뭔가 끓어오르기도 하고 그랬습니다만 일단 그런 심정을 억누르고 후배에게 반문했습니다.
"만일 그 학습능력의 문제가 선천적이라면 나는 네 부모도 아니고 정신과의사도 뇌과학자도 아니니까 일절 도움을 줄 수 없어. 무슨 말인지 알겠지? 그러나 선천적인 게 아니라면 이야기는 달라. 뭔 말인지 알겠지?"
그러니 그 후배가 선천적인 것은 아니라고 말하길래 이야기를 듣고 조언을 해 주었습니다.
고개를 끄덕이며 한참을 듣던 후배가 돌연 이런 말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도 선배님은 능력 좋잖아요. 카투사 출신이라 영어도 잘 하고 일본유학도 하셨잖아요. 그리고 독일어와 러시아어도 구사하시는 것 같던데. 영국인이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잘 하는 것과는 완전 다른 문제잖아요. 아예 체계가 다른 언어들을 그렇게 잘 한다는 건 능력의 천부적인 차이라구요."
후배의 대답에 하나하나 대답해 주었습니다.
"일단 사실관계가 틀린 게 있으니까 그것부터 바로잡지. 카투사 출신이라 영어를 잘 하는 게 아니라 내가 노력을 많이 해서다. 사실 카투사라고 해서 다 영어가 능통한 건 아니고, 나는 복무당시 미군들과 대화를 많이 하는 건 물론 미국의 각종 저널이나 단행본 등을 읽고 또 영상물도 시청하고 그래서 영어능력을 높여서 그때 부대 내의 카투사 중 영어실력이 세 손가락 안에 들었던 것. 그리고 난 일본유학 경험 자체가 없는데 누가 한 소리지? 일본어는 독학했고 그것도 20대 때부터였다. 독일어는 클래식 음악 쪽에 취미가 있다 보니 접점이 많아서 그렇게 된 거고, 러시아어는 군사나 사상 관련으로 이것저것 공부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일 따름."
후배가 꽤나 놀라운 표정을 지었습니다.
거기에 몇 가지 첨언도 했습니다. 수년 전의 자격증 취득이라든지 그런 것들도 결코 나이 탓을 할 수 없는 것이고, 정말 머리를 굳히는 요소는 자신의 연령이 아니라 자신 그 자체가 아닐까 하고. 그리고 무엇을 배울 때 중요한 마음가짐 중의 하나가 "이걸 왜 다 해야 해?" 라고 스스로 장벽을 세우기보다 "이게 가능하면 어떤 능력이 갖춰질까?" 를 상상하고 기대하는 게 필요하다고, 그것이 바로 늦은 나이에 외국어를 습득하고 자격증을 추득하면서 자기계발을 꾸준히 해 올 수 있었던 원동력임을 알려 주었습니다.
그리고 2분기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꽤 지난 후 그 후배는 더 이상 그런 고민을 하지 않게 되었고 그때 이야기하기를 잘했다고 감사해 하고 있습니다.
그 후배의 고민이 잘 해소된 것 같아서 기쁠 따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