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사무기기 제조업체 세이코엡손(SEIKO EPSON)에서 2026년을 끝으로 신규판매하는 사무용 프린터를 모두 잉크젯 방식으로 전환하고 2026년을 끝으로 레이저프린터 본체판매를 끝내기로 했어요. 소모품 및 유지보수용 부품은 계속 공급되어요.
자세한 것은 아래에 소개되는 기사를 참조해 보시길 부탁드릴께요.
(엡손, 사무실용 레이저프린터에서 철수. 2026년까지 잉크젯 방식으로 일원화, 2022년 11월 17일 PC Watch 기사, 일본어)
세이코엡손 측에 따르면 사무실에서의 전력소비의 10%가 프린터 및 복합기에서 이루어진다고 하네요. 그리고 잉크젯프린터는 레이저프린터보다 그 점에서 유리해서 회사의 방침도 탈탄소화에 공헌할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로 선회하는 것으로 결정했어요. 이것은 실제로 엡손 회사 내에서 레이저프린터를 잉크젯프린터로 전환해 나가면서 2014년에는 월간 소비전력이 16,000kW였던 것을 3,000kW 전반으로까지 82% 삭감하고 소모품 폐기량도 72% 삭감이 가능한 경험에서 나온 것이죠. 또한 의료복지 분야에서 레이저프린터 535대를 잉크젯프린터 489대로 대체하면서 소비전력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85% 삭감을 실현하기도 했어요.
레이저프린터는 예열과정이 필요한데다 종이에 토너를 정차시키는 데에 열을 사용하지만 잉크젯프린터는 그렇지 않죠. 게다가 예열이 필요없이 바로 대응할 수 있어서 실제 작동시간도 적은데다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이 적고 정기교환이 필요한 부품도 적어서 여러모로 환경부하 감경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기도 하죠.
문제는 기존의 잉크젯프린터의 단점이 얼마나 극복되어 있는가인데 이건 실제 결과물을 봐야 평가가 가능할 것 같네요.
인쇄물의 품질, 속도, 기기의 신뢰성 및 용이의 보수성 등의 장점으로 LED 프린터를 사용하는 입장이다 보니 레이저프린터의 좁아지는 입지와 잉크젯프린터의 확대되는 입지가 더욱 주목되지 않을 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