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학문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헛소리

마드리갈 2022.02.02 20:29:48
15년 안에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지면 지구가 산다는데...
이런 헛소리가 학문으로 포장되면 없는 설득력도 생기는가 보네요.

이런 기사 및 논문이 있어요.

"15년 안에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지면" 지구가 산다, 2022년 2월 2일 연합뉴스 기사

Rapid global phaseout of animal agriculture has the potential to stabilize greenhouse gas levels for 30 years and offset 68 percent of CO2 emissions this century, 2022년 2월 1일 PLOS Climate, 영어


사실 이런 거창한 담론이며 방법론이며 할 것 없이 굳이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어요.

인류가 없어지면 더 이상 배출될 것도 없고 고민할 필요도 없으니까요.

그리고 애초에 지구를 살린다는 개념이 무엇인가요? 지구라는 행성이 물리적으로 파괴되는 것인지, 아니면 대체 어떤 유의미한 정의가 제시되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래서 이런 연구는 무의미하다는 말도 아깝기 짝이 없어요.


그리고 인류가 새로운 식재료에 익숙해지는 것을 논거로 삼더라도 논리적인 문제도 실증적인 문제도 있어요.

논리적으로는 이렇게 논파되어요. 그렇다면 새로운 식재료에 익숙해짐에도 불구하고 왜 인간은 육식을 버리지 않는가에 대해서는 해답을 낼 수 없어요. 또한 "짧은 시간에 이루어낸 것" 은 기술상품이지 생명 그 자체에 대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즉 현재의 생명과학의 수준으로는 인류 자체의 유의미한 변화도 아직 달성해 내지 못했는데 다른 영역의 기술상품의 발전을 거론한들 달라지는 게 뭐가 있을까요?

실증적으로는 할 이야기가 많은데, 당장 하나만 이야기하면 결론은 나오죠.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수 있는 인간이 있는지만 증명하면 문제는 해결되지만 문제는 그런 인간이 없다는 것.


진짜 중요한 것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게 아니라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총량을 관리하는 것이죠.

즉 배출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총량이 누중되는 것 자체는 변함없거든요. 그러니 이제 대기중에 다량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자원화할 게 중요해요. 일례로 폴리포닉 월드의 방법처럼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합성석유를 제조하여 탄소중립을 실천한다든지 등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라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