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로 '병점-영등포 급행'인데, 4량 열차로 운행됩니다. 기존에 운행하던 영등포-광명 셔틀에서 출퇴근 시간에 차출해서 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고, 정차역은 영등포-안양-수원-병점인데, 병점역 빼면 거의 무궁화호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차 안은 그렇게까지 꽉꽉 찰 정도는 아닙니다. 그런데 수요는 상당하더군요. 4량 편성 열차임에도 불구하고요.
영등포역에서 내릴 때 보면 사람들이 정말 물밀듯이 빠져나갑니다.
저는 이 편성이 오는 시각에 맞춰 안양역에 도착해서, 영등포역에 내린 다음, 영등포역에서 광운대역이나 소요산 가는 열차 타고 갑니다. 시간이 10~20분 정도 단축되더군요.
언젠가는 사랑받는 작가가 되고 싶다
목록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6 | 2025-03-02 | 371 | |
| 공지 |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2024-09-06 | 453 | |
| 공지 |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 2024-03-28 | 280 | |
| 공지 |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621 | 2020-02-20 | 4096 | |
| 공지 |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2
 | 2018-07-02 | 1129 | |
| 공지 |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2 | 2013-08-14 | 6132 | |
| 공지 |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 2013-07-08 | 6728 | |
| 공지 | 오류보고 접수창구107 | 2013-02-25 | 12245 | |
| 1753 | 팬암의 마지막 순간3 | 2014-11-15 | 215 | |
| 1752 | 아니나 다를까 설마 이정도일 줄은....4 | 2014-11-14 | 180 | |
| 1751 | 나의 세계관과 모두의 세계관, 어딜 선택할 것인가?3 | 2014-11-14 | 185 | |
| 1750 | 상대적으로 느껴지는 계절6 | 2014-11-13 | 200 | |
| 1749 | 어제 말한 SPSS라는 프로그램과 씨름을 한 판 했습니다.6 | 2014-11-12 | 164 | |
| 1748 | 요즘 SPSS라는 프로그램을 쓰고 있습니다.4 | 2014-11-11 | 148 | |
| 1747 | 우려하던 사태가 터지고 말았습니다.5 | 2014-11-10 | 196 | |
| 1746 | 팬암의 747 홍보 영상 (1977)3 | 2014-11-10 | 231 | |
| 1745 | 세계관을 짜면서 생긴 고민들5 | 2014-11-09 | 179 | |
| 1744 | 시군청 소재지보다 다른 중심지가 더 큰 시·군은 어디가 있을까요7 | 2014-11-09 | 276 | |
| 1743 | 일본인 발길 '뚝'…혐한시위에 불 꺼지는 '한인타운'5 | 2014-11-08 | 312 | |
| 1742 | 저의 그림 작업 환경6 | 2014-11-07 | 290 | |
| 1741 | 학원에서 그림을 그리는건 좋지만..3 | 2014-11-07 | 147 | |
| 1740 | 아침에 전철을 탈 때 애용하는 편성이 있지요.3 | 2014-11-06 | 225 | |
| 1739 | 음모론 블로그를 보다 보면 말이지요.7 | 2014-11-05 | 275 | |
| 1738 | 신뢰가 사라지는 블로그6 | 2014-11-04 | 255 | |
| 1737 | 사물의 크기에 대한 짧은 생각11 | 2014-11-03 | 291 | |
| 1736 | [철도이야기] 미성선 - 남부순환선3 | 2014-11-02 | 328 | |
| 1735 | 많이 추워졌습니다. 건강에 유의해 주십시오.8 | 2014-11-02 | 208 | |
| 1734 | 여러분이 가장 만나고 싶지 않은 스탠드는?5 | 2014-11-01 | 316 | 
3 댓글
마드리갈
2014-11-07 22:33:48
그런 급행열차가 있군요. 요즘은 수도권에 갈 일 자체가 많이 줄었다 보니 아예 모르고 있었네요.
영등포역에서 광운대역(구 성북역)...상당히 머네요. 역시 10~20분 단축은 소중할 수밖에 없으니까요. 예전에 인천, 부천 쪽에서 과외교사 일을 할 때 경인선 급행열차가 정말 유용했던 게 기억나고 있어요.
그러면 그건 어느 플랫폼에 정차하나요? 고상? 아니면 저상?
데하카
2014-11-07 22:37:46
당연히 고상홈이지요. 애초에 통근용 전동차로 운행하는데요.
SiteOwner
2014-11-17 22:44:49
그러고 보니 요즘은 철도연감을 도통 못 봐서 각 구간별 선로용량을 확인못했군요.
해당 구간에 여유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봐야겠습니다.
시간단축, 표정속도 향상 같은 것을 별로 안 좋게 보는 경우가 많은데, 스피드에 대한 도전을 멈추는 교통수단은 언젠가는 도태되기 마련입니다. 일본의 철도저널리스트 카와시마 료조가 바로 이 점을 많이 강조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마차가 자동차나 철도차량에, 외륜선이 스크류 추진선에, 그리고 여객선이 여객기에 밀려나 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