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to content
특정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부동산투자

마드리갈, 2025-06-27 23:45:37

조회 수
40

부동산은 제가 잘 아는 분야는 아니라서 언급을 많이 하지는 않았지만, 이번에 언론을 통해 알려진 부동산투자의 실패사례를 보니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 라는 속담이 얼마나 뿌리깊은지 실감이 나네요. 이걸 간단히 소개해 보겠어요. 

문제의 기사는 이것.

이 기사에 소개된 투자실패사례는 이렇게 요약되어요. 중론이었던 서울의 똘똘한 한 채를 추구하는 대신 부산광, 경남 거제 및 마산, 경북 포항, 전북 군산 등에서 취득세 중과세율을 적용받지 않는 공시지가 1억원 미만의 주택을 연이어 매수한 것은 물론 개발예정지의 도로부지 매수 등 재개발에도 뛰어든 사람이 매도 자체가 되지 않은 채 3년이란 시간이 흘렀고 그러는 사이에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수억원 올랐고, 사들인 자산이 처분되지 않으니 다른 투자를 할 수도 없는 처참한 상황의 연속이라고.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갈 사안이 하나 있어요.
서울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그러니 부동산의 공급을 늘린다고 하더라도 이것도 언젠가는 포화될 수밖에 없어요. 무조건 서울로 쏠리는 이런 일극집중은 시장에서 옳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다 지방에서의 부동산투자는 거래 자체가 거의 없어서 망해 버렸으니 이 풍조가 잘못되었다고 비판하려 해도 그럴 수가 없어요. 이미 시장의 선택이 이렇게 되어 버린 마당에 다른 대안이 있을 수도 없어요. 그나마 재개발이라는 방법이 포화도를 낮추는 수단이긴 한데, 여러모로 비용이 급상승한데다 새 정부의 부동산정책의 향방이 그 선택지만큼은 배제하는 듯해서 이 흐름을 바꿀 방법은 없어 보여요. 결국 선택지는 대출 옥죄기인데 글쎄요.

보도가 2건 있으니 소개해 볼께요.

강력하면 뭐해요. 이미 28번의 규제도 모두 실패로 돌아갔는데, 전혀 바뀌지 않은 성격의 대책을 강구해서 그개 통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아무리 대출을 옥죄고 해도 현금부자가 현금구매하는 것을 무슨 수로 막는다고 하는 것인지. 게다가 "우리 대책 아냐" 하는 것은 무슨 발언인가요. 또 누구 탓을 하려는 것일까요. 실컷 탓하길 바랄께요. 그렇게 해서 달라지면 그건 그것대로 의미가 있겠지만 과연 그럴지는 의문이예요.

이러다가 아파트 가격 평균이 100억원을 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검색해 보니 정말 같은 생각에 기반한 기사도 있어요.

결국 시장의 반응에서 결론은 나와요. 멀리 갈 것도 없이.
그리고, 이번 추석연휴가 시작하기 전에 유의미한 신호가 있을 것도 보여요.
마드리갈

Co-founder and administrator of Polyphonic World

2 댓글

대왕고래

2025-06-30 23:41:19

부동산 문제는 서울에 인프라나 직장이 많기에 서울에 몰린다는 게 문제네요.
그러면 다른 곳으로 갈 메리트가 생기게 제 2,3,4...의 서울을 만드는 수 밖에 없고요. 그것도 바로 성과가 나오지는 않을 거에요.
가장 좋은 건 이 부동산 가격이 진짜 말이 되는건지... 이른바 "거품"을 걷어내는 것도 방법일건데, 관계자가 가만히 있을 리는 없고요.
어느쪽이든 난제에요. 이런 어려운 문제는 풀고 싶지가 않아지는데, 이걸 풀어야 한대요. 세상에.....

마드리갈

2025-07-02 17:07:30

그렇죠. 이제 국내인구 중 수도권 거주자가 기어이 절반을 넘은 것도 결국 서울 이외에는 답이 없을 정도로 지방이 망가져 있다는 것인데, 말씀하신 것처럼 확실히 난제예요. 파리와 사막으로 비유될 정도로 프랑스의 수도권 집중이 심각하다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그 프랑스조차도 몇 수 접어줘야 할 정도로 거의 본능적으로 서울에의 희구현상이 두드러지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 할지 알 수 없어요.


확실해졌어요.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속담을 반증할 여지는 적어도 현 시점에서는 없다는 것이. 매우 씁쓸한 결론이지만, 이게 현실이예요.

Board Menu

목록

Page 1 / 30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교환학생 프로젝트를 구상 중입니다. (250326 소개글 추가)

6
Lester 2025-03-02 239
공지

단시간의 게시물 연속등록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SiteOwner 2024-09-06 376
공지

[사정변경] 보안서버 도입은 일단 보류합니다

SiteOwner 2024-03-28 226
공지

타 커뮤니티 언급에 대한 규제안내

SiteOwner 2024-03-05 260
공지

코로나19 관련사항 요약안내

619
  • update
마드리갈 2020-02-20 4000
공지

설문조사를 추가하는 방법 해설

2
  • file
마드리갈 2018-07-02 1075
공지

각종 공지 및 가입안내사항 (2016년 10월 갱신)

2
SiteOwner 2013-08-14 6063
공지

문체, 어휘 등에 관한 권장사항

하네카와츠바사 2013-07-08 6668
공지

오류보고 접수창구

107
마드리갈 2013-02-25 12181
6116

이틀 연속 견딜만큼 아픈 상황

  • new
마드리갈 2025-07-03 10
6115

영어문장 Thank you for history lesson을 떠올리며

2
  • new
마드리갈 2025-07-02 25
6114

더위에 강한 저에게도 이번 여름은 버겁네요

2
  • new
마드리갈 2025-07-01 29
6113

이번 휴일은 정말 고생이 많았네요.

2
  • new
대왕고래 2025-06-30 36
6112

두 사형수의 죽음에서 생각하는 "교화"

2
  • new
마드리갈 2025-06-29 38
6111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부동산투자

2
  • new
마드리갈 2025-06-27 40
6110

이상한 꿈에도 내성이 생기네요

2
  • new
마드리갈 2025-06-26 42
6109

근황이라 할 것은 따로 없지만...

1
  • new
SiteOwner 2025-06-25 46
6108

"도북자" 와 "반도자" 의 딜레마

  • new
마드리갈 2025-06-24 45
6107

하드웨어 문제로 인한 정신적인 데미지

4
  • new
마드리갈 2025-06-23 83
6106

[유튜브] 어퍼머티브 액션의 뻔뻔한 자기평가

5
  • new
Lester 2025-06-22 121
6105

급식카드 강탈에 대한 식당업주의 실망과 결단

4
  • new
SiteOwner 2025-06-21 102
6104

온몸이 아픈 것을 보니 정말로 장마철인가 봅니다.

4
  • new
Lester 2025-06-20 87
6103

개인통관고유부호, 2026년부터는 매년갱신

  • new
마드리갈 2025-06-19 52
6102

7월에 또 일본에 다녀옵니다.

10
  • new
시어하트어택 2025-06-18 246
6101

중국인 범죄조직이 조지아에 세운 난자채취장

4
  • new
마드리갈 2025-06-17 104
6100

초합금 50주년 기념

4
  • file
  • new
마키 2025-06-16 113
6099

대한항공의 3-4-3 이코노미석 도입안이 자초한 논란

1
  • new
SiteOwner 2025-06-15 58
6098

내란 프레임의 덫과 6.25 전쟁

4
  • file
  • new
SiteOwner 2025-06-14 130
6097

비오는 밤에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제23번

  • new
마드리갈 2025-06-13 59

Polyphonic World Forum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