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국제뉴스를 보니까 습근평(習近平,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항미원조전쟁 운운하는 발언을 했더군요. 자세한 내역은 8월 1일자 조선닷컴 기사를 참조하시기를 부탁드려요.
그리고, 역시 국내에서는 정부에서든 정치권에서든 시민단체든 이상할 정도로 아무 말이 없네요.
"역시" 라는 수식어를 붙인 이유는 간단해요. 우리나라의 애국심이 발동할 조건이 안 만들어졌으니까 당연한 수순일지도 모르겠어요. 그러니 처음부터 기대를 하지도 않았어요.
항미원조전쟁이라는 용어의 문제점은 이미 4년 전 초여름에 썼던 글인 6.25 전쟁에 대한 몇몇 이야기 (下) 제하의 것에서 분석해 두었어요. 조금 다르게 쓰자면 중국의 저 용어는 침략전쟁을 진영논리로 왜곡한 기만적인 성격의 것이라는 것이 되고, 그러한 중국이 국제연합 최대의 적으로서 활동했으면서 동시에 국제연합의 의사결정기구인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이 된 지금의 체제는 대체 무슨 상황인가 싶을 정도로 혼란스럽기까지 하네요.
대체 이런 상황에 어찌 그렇게 조용한 걸까요?
당장 대동아전쟁 어쩌고 이래 봐요. 난리나는 건 당연한 수순이죠.
그런데 그렇게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패했고, 대일본제국 체제는 해체되었어요. 그리고 부족한 점이 없었다고는 말못해도 도쿄군사재판으로 전범이 단죄되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및 여러 양자조약으로 일본은 전쟁책임을 부담했어야 했죠. 그렇게 일본의 군국주의는 단죄되었고 더 이상 세계를 어떻게 할 수도 없이 사멸했어요. 어차피 몇몇 망상에 사로잡힌 자들이 헛소리를 하긴 해도 그들은 이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고, 극소수인데다 자연수명도 별로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런데 6.25 전쟁의 주범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 누구도 단죄되지 않았어요. 그리고 그들은 우리나라를 말살하기 위해서 온갖 못된 꾀를 동원하는가 하면, 동북아시아의 평화는 물론이고 세계를 위협하고 있어요. 그리고 그렇게 단죄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중국은 1971년 이후에는 국제연합 총회를 통해 합법적으로 대만을 밀어내고 국제연합 상임이사국으로 등극했죠.
이게 현실이라고, 중국이 강대국이라고 그냥 이렇게 조용히 있어야 하는 것일까요?
국제연합에 적대한 교전단체 대표 중국의 망언을 규탄한다고 외교관이 국제연합에서 연설하거나 각 정당 중책들이 비판성명을 내는 게 그리도 어려운 일일까요. 그리고 여러 시국에 여러 발언을 하는 각종 단체들은 왜 이럴 때만 존재감이 공기 속의 아르곤만큼도 없는 걸까요.
역시 바랄 것이 아니었나 봐요. 반한, 반UN 발언이 저렇게 나와도 침묵만 하는 이 세태가 계속되는데 뭘 어떻게 기대하라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