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아마추어" 는 일방적으로 매도당해도 될까

SiteOwner 2025.11.08 14:01:50
애호가(愛好家)를 뜻하는 영단어인 아마추어(Amateur)라는 말은 어떤 대상에의 선호를 나타내는 어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 자체는 매우 천대받습니다. 뭔가 부족한 사람도 모자라 이제는 아예 상종못할 사람으로까지 여겨질 정도로 일방적으로 매도당해도 되는 식으로. 그리고 역시 언어에 관심없는 이 사회가 늘 그랬듯이 문제의식 따위는 사고의 범위 밖에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 이렇게 한번 반론해 보고 싶군요.
"뭔가를 좋아해 보려는 노력조차 안 한 인간들이 말이 많아." 라고.

세상의 여러 사안은 인간의 인지범위 내에서 모두 다 알 수 없을 정도로 복잡다단합니다. 게다가 어느 분야를 안다고 해서 그 하위분야까지 빠짐없이 안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를테면 음악전문라도 르네상스 시대의 플랑드르악파의 작곡가 요하네스 오케겜(Johannes Ockeghem, 1410-1497)과 프랑스의 가수 세르쥬 갱스부르(Serge Gainsbourg, 1928-1991)를 동시에 모를 수도 있고, 미디어산업 분야에 정통하더라도 음반회사의 1990년대의 5대 메이저 체제와 2020년대의 3대 메이저 체제를 명확히 설명하여 각 레이블의 이합집산을 정확히 설명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이런 것은 흥미나 애호 이전에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게 나쁜 게 아닙니다.
아예 모르는 것도 나쁜 것이 아닌 이상, 애호가의 레벨에 있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논점일탈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특정분야에서 자타공인 실력자인 사람이 애호가의 단계를 건너뛰고 그렇게 정착할 수는 없으니 애호가 즉 아마추어가 나쁘다면 프로페셔널도 나빠야 한다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모순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애초에 좋다 나쁘다 등의 가치판단은 어떤 단계에서도 개입할 수 없어야 합니다. 그런데 사회 전반적인 아마추어 때리기 덕분에 설정오류가 발생하는 것조차 모른 꼴이 됩니다. 옷을 다 갖춰 입었다면서 옷의 면적을 강조하지만 정작 성기 부분만은 열려 있는 옷을 입고 다니면 다들 변태라고 욕하지만, 정작 이 사안이 언어생활의 영역에서 일어나면 일말의 문제의식도 없으니 어찌 가소롭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여기쯤 오셨다면 제 반론에서 모순을 읽으셨을 것입니다.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게 나쁜 것이 아니라고 도출했는데 "뭔가를 좋아해 보려는 노력조차 안 한 인간들이 말이 많아." 라고 반론한 데에서는 가치판단이 개입해 있으니 모순이 아니냐고. 사실 모순 맞습니다. 어차피 그렇게 일어나라고 설계한 모순이 맞습니다. 아마추어가 그래도 관심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이 주장은 예시를 통해 자동으로 논파되었고, 무연과 프로페셔널의 중간단계에 아마추어가 있으니 어느 상황도 나쁘지 않았으니 이미 어느 쪽도 나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된 이상 아마추어가 나쁘다는 세간의 중론 또한 정당성이 없어졌으니 같이 논파된 것입니다.

하여튼, 잘못 자리잡힌 언어생활은 좀처럼 바로잡히기 힘든 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