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통제에서 벗어난 북한인을 부르는 명칭에 탈북자(脱北者) 및 탈북민(脱北民) 등이 있고 공식적으로는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脱住民)이라는 용어가 법령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이것에 대해 통일부가 해당 용어의 대체를 준비하는 듯하네요. 2025년 9월 15일 정동영(鄭東泳, 1953년생) 통일부장관이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 축사에서 밝힌 내용이라서 공식이예요.
언론보도를 소개해 볼께요.
지난 정부도 현재의 이재명 정부에서도 공통적으로 추진중인 사안인만큼 이재명 정부니까 잘못되었다는 말은 하고 싶지 않네요. 그런 편향된 비판은 정당성을 약화시키는데 해봤자 백약이 무효이니까. 그런데 뭐랄까, 발상이 매우 안이하다는 것은 확실히 읽히네요. 게다가 기존의 어휘도 버렸고 일각에서 쓰는 어휘도 안중에는 없는 게 보이고, 그러니 그냥 조소할 수밖에 없어요.
북향민(北郷民)이라는 말은 그럴듯하지만 정확할 수가 없어요. 탈북자 중에는 북한이 고향인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자진월북자나 북송재일교포 출신자들도 소수 있으니까요. 그런 사람들을 아우르지 못하는 어휘가 무슨 소용이 있다는지. 전임 윤석열 정부 당시의 북배경주민이라는 말 또한 같은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어서 부적절한데다 이건 5어절이라서 너무 길다는 문제가 있어요. 하나민이나 통일민 등도 뭔가 이상하다는 감을 지울 수 없어요.
기존의 어휘인 귀순자(帰順者), 망명자(亡命者) 및 새터민 등은 한때 쓰이다가 어느새 사장되었는데 새로이 만든 말이 이런 것들의 전철(前轍)을 밟지 말라는 보장도 없어요.
그리고 또 하나. 각료끼리 말이 안 맞는 게 보이네요. 이미 김민석 총리가 과거 논문에서 썼던 용어인 도북자(逃北者) 및 반도자(叛逃者)는 아예 검토의 대상조차 되지 못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거든요. 논란을 일으켜서 배제하는 건지 아니면 존재 자체를 모르는지. 올해 6월 24일에 쓴 글의 제목이기도 한
"도북자" 와 "반도자" 의 딜레마는 여기서도 유효해졌어요.
게다가, 늘 그렇듯이, 쉴새없이 양산되는 온갖 순화어는 만들어졌을 때 말고는 거의 대부분 버려지기 마련이예요.
또, 저런 데에 쓸 돈은 참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