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중국 축구의 문제점은 "중국" 그 자체일지도?

마드리갈 2025.06.06 23:59:45
스포츠에 정통한 것도 아닌데다 그나마 관심있는 스포츠가 야구 정도인 제가 이런 말을 하는 게 부적절할 수도 있겠지만, 중국 축구가 연전연패를 거의 면하지 못하고 부진의 늪에서 전혀 탈출하지 못하는 이유가 "중국" 인 게 아닌가 싶네요.

지금까지 여러 미디어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판단해 본 결과, 중국 축구에는 이 정도의 문제점이 있어요.
1. 스포츠의 근간을 부정하는 승부조작이 만연한 문제
2. 일부의 부유층만 선수층에 진입할 수 있는 문제
3. 선수들이 체력단련 및 전술훈련을 게을리하는 문제
4. 감독에게 확실히 전권을 주지 않고 정치권이 만기친람하는 문제
5. 특권의식에 빠져 감독의 지시를 무시하는 선수들이 많은 문제

사실 이 다섯 가지의 문제점 중 무엇부터 해결해야 할지도 알 수 없어요.
항간에 떠도는 말로, 중국에 10억명도 더 되는 사람들이 있으면서 축구를 잘 하는 사람이 그렇게 없냐는 게 있긴 해요.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지만, 부정부패, 신분차별, 만기친람, 특권의식 등이 만연하는 중국 사회에서 누군가는 축구공을 접할 기회조차 전혀 주어지지 않아서 축구선수가 되지 못했을 따름이 아닌가 싶어요.

사실 축구는 구기종목 중에는 축구공 및 평지만 있으면 되니까 기자재 자체도 많이 요구하지 않는데다 룰 자체도 다른 스포츠의 것보다는 덜 까다로운 편이니까 진입장벽이 낮아요. 그렇다 보니 생활환경이 별로 유복하지 않은 중남미 각국에서도 성행해서 위대한 선수들이 많이 나왔고 국가 차원에서도 올림픽 및 월드컵 우승을 여러 번 차지한 국가들이 있는 등 호실적을 거두었는데 중국은...

이런 뉴스가 있어요.
"차라리 한국 감독 쓰자" 중국, 월드컵 본선 탈락에 '부글부글', 2025년 6월 6일 조선일보 기사

2026년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의 진출이 가로막힌 중국에서 별별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요. 한국인 감독을 영입하자는 말도 있지만 글쎄요. 앞에서 언급한 5가지 문제를 버려둔 채 논의해봤자 백년하청(百年河清)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