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 대신 미래에 어떤 것들이 변하지 않을 것인가를 묻는다."
- 제프 베조스, 아마존닷컴 설립자 및 CEO
흔히들 사업에 있어서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고 그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들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항상 경제 뉴스를 주목하고, 대기업의 경우에는 자체적인 경제연구소를 설립해서 시장 변화를 예측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변하지 않을 요소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중에 하나라면 역시 기존 고객층의 수요와 기대를 배신하지 않는 거겠죠. 최근에 무리하게 플랫폼 변화를 꾀하다가 혹평을 듣고 있는 것들을 보면 이런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듭니다.
윈도우 8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시대의 시작 이후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타블렛 PC를 매우 강력하게 의식하고 만들었다는 것이 티납니다. 그래서 인터페이스나 구동 방식 등이 타블렛 PC에 최적화되어 있죠. 근데, 정작 본가인 데스크톱 PC에서의 편의성을 외면해 버려서 혹평을 들었습니다. (시작 메뉴를 돌려줘!)
엑스박스의 경우, 새로 나오는 엑스박스 원은 지나치게 셋톱박스로서의 기능을 강조했다가 게이머들에게 혹평을 듣고 있습니다. Wii와도 같은 온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게임기이면서, 동시에 PS3 같은 미디어 플레이어로도 활용할 수 있는 편의성 이 모든 걸 다 집어 넣고 싶었겠지만, 정작 엑스박스의 기존 팬들은 외면해 버려서 혹평을 듣고 있죠. 아직 안 나온 기기에 대해 성공과 실패를 논하기에는 섣부르지만, 적어도 기존 팬들 입장에서는 결코 좋은 평을 내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기업으로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기업이라 하는 소비자에게 무언가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받아 수익을 내는 단체로서, 기존 소비자를 외면하고 시도하는 도전이 과연 좋은 일인가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써놓고 보니 본문에서 지적한 두 안 좋은 사례가 모두 마이크로소프트의 작품이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