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위키 내용 관련으로 의견을 구하고 있어요

마드리갈 2013.06.10 04:06:20

위키 내용 관련으로 여러분들께 의견을 들을 것을 취지로 이렇게 대강당에 쓰게 되었어요.

몇 가지 걱정이 있어서 그렇거든요.

실제로 문제가 제기된 적은 없었지만, 요즘 반대를 위한 반대가 횡행하니 미리 대비책을 강구하는 게 어떨까 싶어서 여쭈어 보고 싶어졌어요.


폴리포닉 월드는 현실세계와는 크게 다른 점이 많아요.

그 차이점은 지각 내부에 부존하는 자원의 매장량과 분포상태, 해수에 용존하는 특정 이온의 농도 등과 같은 자연환경 부분에서부터 권역, 개별국가, 진영, 역학관계 같은 정치적인 영역, 공용어, 통화 등에 대한 정책 등의 경제적인 영역, 그리고 역사, 기술 등의 각종 분야가 상당히 다르게 이어지고 있어요.

이 중에서 우려하고 있는 것은 정치와 역사 관련이예요.

특히나 비뚤어진 애국심 및 몰염치가 횡행하는 세태인지라 이에 대해 대비도 해 두어야 할 것 같구요.



1. 한국 관련

폴리포닉 월드의 한국은 2011년 기준 다음과 같은 지표를 보이고 있어요.

일단 공개된 것부터 언급할께요.

폴리포닉 월드에서는 국제연합의 조직 중 안전보장이사회가 확대되었고, 거부권은 없지만 이사국 지위가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영구히 유지되는 준상임이사국이라는 제도가 존재해요. 그리고 국내총생산(GDP) 대신에 국민총생산(GNP)를 사용하니까 무역수지가 균형을 이루지 않는 한은 직접 비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점을 밝혀 둘께요.


혹시 이러한 지표가 한국 비하로 여겨질 위험은 없을까요?

분명 인구가 조금 줄어들어 있는 대신 다른 지위는 명백하게 올라가 있는데 인구가 적다는 이유로 트집을 잡을 수 있을까요?

이게 좀 궁금해졌어요.

아직 위키에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조금 더 밝혀 볼께요.

해외에는 한국계가 2,400만명 정도 존재하고, 그 중에서 2,000만명이 북미에 거주하며 사회의 주축 중 하나가 되어 있는 설정이 있어요. 게다가 캘리포니아에서는 공용어로 영어 다음으로 한국어가 지정되어 있어요.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이런 사안이 있어요.

여러분들이 보기에, 이러한 설정이 한국 비하로 여겨질 여지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독도는 당연히 한국령이고 따라서 이건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는 제 지론을 밝혀 드려요.



2. 일본 관련

폴리포닉 월드의 일본은 2011년 기준 다음과 같은 지표를 보이고 있어요.

일단 공개된 것부터 언급할께요.

그리고 아직 위키에 공개하지 않은 정보는, 해외에 일본계가 7,200만명 정도 있으며 역시 북미 사회의 한 주축을 이루고 있는 점이예요. 또한 뉴프러시아에서는 약 6,000만명 정도의 일본계가 거주하고, 독일어에 이어 제2공용어가 일본어로 지정되어 있어요.


이게 일본 추종으로 여겨질 이유가 있을까요?

혹시 일본의 여러 지표가 한국보다 앞서고 있고, 한일전쟁에서 큐슈를 점령당하지만 결국 승전하는데다 태평양전쟁에서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승전하여 국제연합 상임이사국이 되어 있는 것이 문제가 될까요?



이 두 가지 사안에 대해서 질문을 드릴께요.

여러 의견을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