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e: 공용어

Official Language

Official Language


공용어
共用語
Official Language
Amtssprache

정의

공용어는 특정 국가 및 그 하위영역 등지에서 특별한 법적지위가 인정되어 국내의 각종 공식적인 행위에 쓰이는 언어를 의미한다.
대체로 국민국가의 경우에는 국민 대다수가 쓰는 언어가 별도의 규정이 없이도 공용어로 인정되는 편이지만, 민족구성이 복잡하거나 정복국가의 경우에는 사회의 핵심계층이 쓰는 언어를 공용어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용어의 명칭과 국가명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도 아니며, 완전히 별개인 경우도 적지 않다. 소련의 러시아어, 이스라엘의 히브리어, 알제리아의 베르베르어, 에티오피아의 암하라어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폴리포닉 월드에서의 공용어의 정의는 현실세계의 그것과 같다.

표준어와 방언

標準語および方言 ・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s ・ Standardsprache und Dialekte
지정된 공용어의 형태가 어디에서나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며, 문법은 동일하되 지역에 따라 어휘, 관용어, 장단, 억양 등의 요소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공용어를 표준어로, 그 외의 형태의 것을 방언 또는 사투리로 규정한다.

표준어는 국가의 어문정책 담당기관이 기준을 정립하는 경우가 많으며, 언론 및 각종 문화활동에서 표현되는 언어로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한국어에서는 현대 서울의 교양있는 중류계층이 두루 쓰는 말이 표준어이며, 독일어에서는 고지독일어(Hochdeutsch, 독일 남부 고산지대에서 쓰이는 Oberdeutsch와는 다른 언어)를 기반으로 연극에 사용되는 말이 표준어이다.

방언이 표준어와 크게 다를 경우에는 이것을 지역어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지역어

地域語 ・ Regional Language ・ Regionalsprache
특정 국가 내에 복수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 언어사용자 또는 사용지역이 한정되어 있으면서 공용어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언어를 지역어 또는 소수언어로 지정한다.

지역어는 국가 내의 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해주는 순기능을 가진 동시에, 국가통합을 어렵게 하고 국내외 역학관계의 주요 쟁점으로 작용하는 역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지역어를 둘러싼 문제의 해결이 다원적 요소를 지닌 국가의 내부통합역량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한다.
19세기 국민국가의 형성시대에 지역어는 철저히 탄압되어 절멸의 위기에 놓였으나, 20세기 후반 이후로는 다원화사회의 건설을 위한 지역문화의 융성 차원에서 지역어의 연구, 부흥 및 실생활에서의 활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현실세계와의 차이점

폴리포닉 월드에서의 공용어 양상은 현실세계에서와는 상당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다. 다음은 그 차이점의 일람이며, 사항은 계속 추가된다.

개별국가

  • 미주 국가에서는 뉴프러시아, 캘리포니아, 브라질이 유럽언어와 동북아시아 언어를 공용어로 공동채택하였다.
  • 미국이 영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였다.
  • 독일어는 유럽의 제1외국어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의 국가에서 공용어로 채택되어 있다. 또한 뉴프러시아의 공용어이자 일본, 네덜란드, 칠레 등에서도 제1외국어로서 채택하고 있다.
  • 동북아시아 언어의 위상이 대폭 높아져 있다.
    • 일본어는 국제연합의 7대 공용어 중의 하나로 지정되어 이다.
    • 일본어는 일본에서 제1공용어로, 뉴프러시아와 브라질에서 제2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 한국어는 한국에서 제1공용어로, 캘리포니아에서 제2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국제기구

  • 국제연합의 공용어는 영어, 독일어, 일본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의 7개국어이다.
  • 언어를 기준으로 결성된 진영 및 하부구조가 존재한다.
    • 독일어권는 독일어를 공용어로 쓰는 뉴프러시아와 독일이 결성한 진영이다.
    • 독자노선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프랑스의 과거 식민지 출신국이 가입하여 조직되었다.

역학관계

  • 독일과 프랑스의 역학관계에 의한 신경전이 언어문제로 계속되고 있다.
    • 네덜란드의 일부지역에서의 프랑스어 통용에 대해서 프랑스가 네덜란드에 대해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지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이 복권된 지 얼마 안된 주제에 타국에의 간섭과 침략의지를 내비친다고 반발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프랑스어 사용자들이 차별받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프랑스가 나선다고 반박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여론은 독일 쪽에 서 있다.
    • 프랑스가 역사적인 이유에 따라 룩셈부르크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해당지역을 뤽상부르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네덜란드가 독일과 연대하여 프랑스의 주장을 일축하고 있다.
    • 언어문제 신경전에서 프랑스가 패하자 보복조치로 스위스에 대한 간섭을 시도하였다가 국제적인 역풍만을 불러일으키기만 하고 대실패하였다. 게다가 국내적으로도 큰 후유증을 남겼다.

관련항목

폴리포닉 월드의 공용어


주요 공용어

세계 주요 언어를 공용어로 채택한 국가들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해당 언어의 발원지를 선두에 표기하며, 그 뒤로는 2013년 세계통계의 GNI 총량순으로 기재한다.

  • 영어 – 영국,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인도, 싱가포르, 아일랜드,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트리니다드, 가나, 케냐, 멜라네시아, 브루나이, 탄자니아, 몰타, 카메룬, 잠비아, 우간다, 가이아나, 라이베리아
  • 독일어 – 독일, 뉴프러시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 러시아어 – 소련
  • 프랑스어 – 프랑스, 스위스, 서아프리카, 가봉,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콩고연방국, 마다가스카르, 차드, 중앙아프리카
  • 스페인어 – 스페인,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칠레, 페루, 쿠바,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
  • 화란어 – 네덜란드, 수리남
  •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 브라질, 앙골라, 모잠비크
  • 아랍어 – 아라비아, 이집트, 쿠웨이트, 모로코, 쿠르디스탄, 리비아, 서아프리카, 튀니지, 요르단, 수단, 바레인, 시리아, 레바논, 차드
  • 일본어 – 일본, 뉴프러시아, 브라질, 대만
  • 한국어 – 한국, 캘리포니아

권역별 일람

각국의 공용어는 다음과 같다.

미주

  • 뉴프러시아 – 독일어 ・ 일본어
  • 미국 – 영어
  • 캘리포니아 – 영어 ・ 한국어
  • 브라질 – 포르투갈어 ・ 일본어
  • 아르헨티나 – 스페인어
  • 베네수엘라 – 스페인어
  • 칠레 – 스페인어
  • 페루 – 스페인어
  • 쿠바 – 스페인어
  • 우루과이 – 스페인어
  • 파라과이 – 스페인어 ・ 과라니어
  • 볼리비아 – 스페인어 ・ 케추아어 外
  • 트리니다드 - 영어
  • 수리남 - 화란어
  • 가이아나 - 영어

서유럽

  • 독일 – 독일어
  • 프랑스 – 프랑스어
  • 영국 – 영어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네덜란드 – 화란어
  • 스페인 – 스페인어
  • 스웨덴 – 스웨덴어
  • 스위스 – 독일어 ・ 프랑스어 ・ 이탈리아어 ・ 로망슈어
  • 오스트리아 – 독일어
  • 덴마크 – 덴마크어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포르투갈 – 포르투갈어
  • 아일랜드 – 아일랜드어 ・ 영어
  • 몰타 – 몰타어 ・ 영어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 안도라 – 프랑스어 ・ 카탈루냐어

동유럽

  • 소련 – 러시아어
  • 폴란드 – 폴란드어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핀란드 – 핀란드어 ・ 스웨덴어
  • 그리스 – 그리스어
  • 루마니아 – 루마니아어
  • 헝가리 – 헝가리어
  • 유고슬라비아 – 크로아티아어 ・ 세르비아어 ・ 마케도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불가리아 – 불가리아어
  • 알바니아 – 알바니아어

중동

  • 아라비아 – 아랍어
  • 이스라엘 – 히브리어
  • 터키 – 터키어
  • 이란 – 페르시아어
  • 이집트 – 아랍어
  • 쿠웨이트 – 아랍어
  • 모로코 – 아랍어 ・ 베르베르어
  • 쿠르디스탄 – 쿠르드어 ・ 아랍어
  • 알제리아 – 베르베르어
  • 리비아 – 아랍어
  • 파키스탄 – 우르두어 ・ 영어
  • 튀니지 – 아랍어
  • 요르단 - 아랍어
  • 사이프러스 – 그리스어
  • 바레인 - 아랍어
  • 시리아 – 아랍어
  • 레바논 – 아랍어
  • 아프가니스탄 – 다리어 ・ 파슈툰어

아프리카

  • 에티오피아 – 암하라어
  • 나이지리아 – 영어
  • 앙골라 - 포르투갈어
  • 서아프리카 - 프랑스어 ・ 아랍어
  • 가봉 – 프랑스어
  • 수단 - 아랍어
  • 가나 – 영어
  • 케냐 – 스와힐리어 ・ 영어
  • 코트디부아르 – 프랑스어
  • 탄자니아 – 스와힐리어 ・ 영어
  • 카메룬 – 프랑스어 ・ 영어
  • 콩고연방국 – 프랑스어
  • 잠비아 - 영어
  • 모잠비크 – 포르투갈어
  • 마다가스카르 – 말라가시어 ・ 프랑스어
  • 우간다 - 스와힐리어 ・ 영어
  • 말라위 - 치체와어 ・ 영어
  • 차드 - 프랑스어 ・ 아랍어
  • 중앙아프리카 - 상고어 ・ 프랑스어
  • 라이베리아 – 영어
  • 소말리아 – 소말리어

아시아

  • 일본 – 일본어
  • 한국 – 한국어
  • 호주 – 영어
  • 중공 – 북경어
  • 중화민국 – 광동어
  • 인도 – 영어 ・ 힌디어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어
  • 대만 - 광동어 ・ 일본어 外
  • 태국 – 태국어
  • 싱가포르 – 영어 ・ 말레이어 外
  • 말레이시아 – 말레이어
  • 필리핀 – 타갈로그어
  • 월남 – 월남어
  • 버마 - 버마어
  • 멜라네시아 – 영어
  • 브루나이 - 말레이어
  • 몽골 – 몽골어
  • 캄보디아 – 크메르어
  • 라오스 - 라오어
  • 부탄 – 종카어

국가별 채택공용어 수

2개 이상의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는 국가가 존재한다.

  • 2개국어 – 뉴프러시아, 캘리포니아, 브라질, 인도, 체코슬로바키아, 핀란드, 모로코, 아일랜드, 쿠르디스탄, 파키스탄, 서아프리카, 몰타, 파라과이, 케냐, 탄자니아, 카메룬, 아프가니스탄, 우간다,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차드, 중앙아프리카
  • 3개국어 - 대만
  • 4개국어 – 스위스, 싱가포르, 유고슬라비아
공용어.txt · Last modified: 2023/09/21 20:06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