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인권을 내세우는 우리나라에 과연 그럴 자격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해괴한 움직임이 전혀 거리낌없이 일어나고 있어요. 예전에는 그나마 명분 내세우기나 눈치보기라도 있었지만 이제는 그런 것도 전혀 없어요.
두 가지 사건이 있어요. 이것에 대한 뉴스 2건을 소개할께요.
이 두 사건, 안으로도 밖으로도 참 충실하게 현재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어요.
우선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건부터.
문제의 문답집은 위원회의 웹사이트에 기재되어 있어요(
바로가기).
저 주소가 바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웹사이트(
바로가기) 화면 상단의 위원회 소식-공지사항을 찾아서 6페이지에 있는 21번 문서(4월 28일 게재)를 열람하시면 되어요.
이 글에도 추가되어 있는 첨부파일의 18페이지에 있는 Q47에는 정말로 "가해자를 특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국군, 경찰 등으로 기입하여도 무방합니다." 라고 되어 있어요. 역사왜곡을 조장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요. 게다가 북한군의 만행피해는 보상대상에서 탈락하는데 군경에 희생되었다고 180도 바뀌면 결과가 정반대로 되는 마법이 생겨 버려요.
진실화해위의 해명도 거짓이네요. 국회 지적을 받은 후 홈페이지에서 내렸다는데 그럼 저는 어떻게 그 문서의 주소까지 정확하게 특정해서 이 글에 게재할 수 있었을까요? 게다가 또 담당공무원 실수라는 변명이 나오네요. 언제나 그렇죠, 이런 사안에는 유독 담당자 실수가 골라서 일어나는 마법까지 일어나네요. 한달 전에
학예직 전문인력 90명이 놓친 "중국이 충청도 지배" 에서 지적한 게 그대로 반복되었어요.
이것은 분명 역사왜곡이고, 게다가 현대사의 비극으로 가족을 잃은 사람들을 돈으로 매수한 작태로 봐도 지나칠 것이 없어요. 이런 역사왜곡은 우리의 손으로 하니까 착한 역사왜곡이라도 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이번은 UN총회의 북한인권결의안의 건. 우리나라는 2019년부터 불참해 왔는데 올해도 불참하기로 했네요.
대체 무슨 이유가 있어서 북한인권의 참상을 외면할까요. 그걸로 얻어지는 이득이 대체 무엇이길래. 그리고 이득을 볼 수 있다면 역사왜곡이나 진실외면이 정당화되는 것일까요.
안에서는 진실과 화해를 말하면서 거짓과 증오를 조장.
밖에서는 인권유린에 대한 일관적인 침묵.
대한민국은 이렇게 안팎으로 명실상부한 위선국가로 나아가는 것일까요. 그리고 이게 정녕 우리가 가야 할 미래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