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우주비행사가 아닌 일반인도 아직은 초창기이지만 우주여행을 하는 시대가 되어 있어요.
그렇지만, 여전히 지구 도처에는 미접촉부족(未接触部族, Uncontacted Peoples)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극소수이긴 해도 여전히 세계의 오지에서 생활중이죠. 선진국에는 없고, 밀림이 넓은 제3세계 국가 도처에 현대문명을 거부하거나 아예 접할 기회 없이 사는 수십-수백명 규모로 형성된 부족집단이 수십개 정도는 된다고는 알려져 있지만 어디까지나 몇 안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추정한 것이라서 새로운 정보가 들어온다면 얼마든지 수정될 수도 있어요.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요.
현재 그런 미접촉부족의 거주지 중 무주지(無主地, Terra nullius)는 없어요. 즉 그들이 사는 영역은 어디이든간 주권국가의 영역.
그렇다면 그들은 주권국가의 영역 내부에 사는 인간들인데, 그렇다면 그들이 가질 권리와 의무의 문제가 있어요. 그리고 무엇을 우선시하든, 둘 다 존중하든, 둘 다 무시하든 문제가 있어요.
첫번째의 경우를 보죠. 권리를 우선시할 경우.
이것은 현재 고립의 권리(Right to self-isolation)이라는 이름으로 국제연합 인권이사회(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에서 고립의 권리와 함께 지침 및 권장사항이 제시되어 있어요. 일단 그들의 자치를 존중한다는 데에서는 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주권국가 내의 국민에 비해 의무가 적게 부과되어도 좋은가, 그들에게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 정말 옳은가에 대한 의문은 해결되지 않아요.
두번째의 경우를 보죠. 의무를 우선시할 경우.
이것은 대항해시대 이후의 다방면으로 이루어진 정복의 역사를 보면 위험한 접근이라는 게 보이죠. 백인의 의무, 문명인의 의무 등의 미명하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는 이미 명백하고, 이것을 다시 반복할만큼 인류가 그렇게 어리석다고는 보이지 않으니까 실현가능성은 논외.
세번째의 경우를 보죠. 둘 다 존중할 경우.
이 경우는 고립의 권리를 부정하게 되니 당장 문제에 부딪치고, 그 미접촉부족을 문명사회로 편입시킨다는 게 실패로 끝날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에 대해서는 두번째의 것보다 더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어요. 과거의 대항해시대 초기만 하더라도 그러한 미접촉부족은 세계의 각지에 다수 분포했지만 현재의 미접촉부족은 일단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소수이다 보니 아예 세대절멸이 일어나더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니까요. 가장 이상론적인 접근이지만 가장 비극적인 결과로의 지름길이기도 하죠.
네번째의 경우를 보죠. 둘 다 무시할 경우.
이것은 발상도 결과도 최악. 인간이 선택할 수 없는 최악의 선택지니까 아예 더 생각할 필요도 없어요.
그들을 인간이 아니라 별도의 카테고리로 취급한다면 앞의 4가지 문제는 깨끗하게 해결되어요.
즉, 그 미접촉부족을 다른 천연기념물과 동급으로 보고 보호하는 방법. 이것은 결과론적으로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인간을 문명수준에 따라 자의적으로 차등대우한다는 비난에서는 절대 자유롭지 않으니까 그게 문제...
여러분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보시나요?
그리고 가장 좋은 대안은 어떤 게 있을까요?
사실, 폴리포닉 월드에서도 명확한 해법은 없어요. 일단 비접촉부족이 있는 국가가 제3세계나 제4세계(국제사회의 주류에서 소외된 세계)에만 존재하는데다 국가별로 정책도 달라요. 게다가 정책의 주류가, 비접촉부족을 인간으로 인정하지 않고 천연기념물로 취급하는 방식으로 문명사회로부터의 고립될 권리를 보장하는 방법이고, 그나마 그걸 쓸 수 있는 국가는 경제력에 여력이 꽤 있는 국가로 한정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