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따로 쓰기로 했던 창작 관련 근황. (+ 추가)

Lester 2021.07.21 21:01:55

1. 이사온 지 7개월차임에도 근처에 특별히 문화 활동을 할 곳이 없는데, 그나마 도서관이 가까워서 종종 책을 빌리러 다녀왔습니다. 이번에 빌려 읽은 것은 "디테일 사전 (도시편)"이었죠. 이사 오기 전에 집 근처 도서관에서 빌려 읽은 책 중에 "트라우마 사전"이라는 게 있는데, 생김새가 비슷해서 봤더니 같은 작가더군요. 이름에서 보다시피 둘 다 소설작법에 관한 책으로 후자가 트라우마 즉 캐릭터의 '과거'나 '성격'을 만드는 법을 알려준다면, 전자는 도시편이라는 부제에서 보듯이 소설의 배경 중 '도시'에 관해 전반적인 것을 알려줍니다. 즉 이 배경엔 어떤 사물이 있을 법하고, 어떤 일이 벌어질 법한지를 알려주죠. "트라우마 사전"은 괜찮겠다 싶어서 구매하긴 했는데, "디테일 사전"도 구매할까 생각중입니다.


2-1. 모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게 되어 거기서 새로운 소설을 연재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좀비물을 쓸까 다른 범죄물을 쓸까 고민이 들더군요. 커뮤니티 성격도 그렇고 제가 당시 필요하던 것도 액션성이다 보니 처음엔 좀비물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액션성은 좀비물이 아니어도 살릴 수 있고(액션물보다는 스릴러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죠), 좀비의 생태나 기타 여러가지에 대해 사전 설정을 해둬야 할 게 많은 것 같아 접었습니다. 아직도 미련은 있습니다만, 기왕 쓸 거라면 일단 기존에 존재하는 작품의 팬픽 형식으로 쓸 생각입니다. 완전한 창작은 소위 '짬'이 쌓였을 때 하면 편할 것 같으니까요.


2-2. 그래서 범죄물로 결정됐고 (지금의 포럼에서 연재하는) 코스모폴리턴과 같은 세계관을 사용하면 무방합니다만... 주인공과 주변인물 및 최종보스를 설정하는 게 또 일이더군요. 그래도 좀비물에 비하면 훨씬 편했습니다. 코스모폴리턴의 주인공 콤비의 성격을 뒤집으면 절반 이상은 끝이니까요. 그래서 일단 정리하자면...

?① 주인공은 (일단은) 소수정예 불량배 패거리의 두목, 강도질로 부자되는 게 목적

?② 코스모폴리턴과 달리 철저한 악당...으로 써 볼 예정

?③ 굳이 비교하자면 GTA 온라인 혹은 세인츠 로우 1&2와 비슷함

이 중에 ②에서 '악당...으로'라고 말을 흐린 이유는, 지금도 약간 고민되기 때문입니다. 불량배 패거리인 만큼 주된 활동은 민간인에 대한 범죄활동이거나 갱전쟁일 것이고, 그만큼 주위에 끼치는 민폐도 상당하겠죠. 이런 상황이라도 동료간의 의리는 상당한 걸로 설정하는 게 전개에 유리합니다만, 이를 얼마만큼 묘사할지가 문제가 됩니다. 과도하면 늘 그렇듯이 범죄자 미화가 되니까요. 그렇다고 자기가 나쁜 놈이라는 걸 자각하면 코스모폴리턴과 다를 바 없어지고. '여럿이서 뭉쳐 다니며 남들 조지는 데엔 자신만만하지만 더 큰 힘을 만나면 도망치기 바쁜', 소인배 스타일로 가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3-1. 다시 코스모폴리턴 이야기로 돌아가자면... 이전 글에서 썼듯이 더위 때문에 도무지 글이든 그림이든 도저히 하기가 힘들더군요. 가만히 있어도 (공복 때문인지 더위 때문인지) 속이 메슥거리고 머리가 아프니 원... 게다가 요새는 예전처럼 욕 먹는 게 무섭고, 가능하면 헛수고 안 하고 완벽하게 만들어 올리고 싶어서 공을 들인답시고 아무것도 안 하는 상태가 되어버렸습니다. 슬럼프도 아니고 게으름이죠. 더구나 '헛수고 안 하고 완벽하게'라는 말 자체도 어폐인 것이, 제가 그럴 만한 능력이 안 된다는 건 누구보다 제가 잘 알지 않겠습니까.


3-2. 그래서 그나마 양으로 승부가 가능한 그림은 싸게싸게 그려서 올리고, 소설은 가능하다면 에피소드별 분량이 늘어도 좋으니 일단 쓰자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특히 소설의 경우 '(정규 에피소드의) 주제를 결정하지 못했다, 마땅한 소재가 없다'는 이유로 며칠 몇 주를 날려먹고 있는데, 이럴 바에야 차라리 추가 에피소드로 설정놀음이라도 하는 게 좋지 않느냐는 생각이 이 글을 쓰다가 번뜩 드네요. 이제와서 보니 예전에 '추가 에피소드 하나에 설정 하나로 세계관을 넓히는 게 좋을 것 같다'는 말을 어디선가 했던 것 같은데, 이미 명답을 내놓고도 또 헛된 시간을 날려버린 셈이 되네요. 참 부끄럽습니다.


(추가) 3-3. 글 쓰고 더 생각해 보니, 소설 연재가 부진한 이유를 하나 더 찾은 것 같긴 합니다. 뭐라고 해야 하나, 코스모폴리턴의 연재 '동기'가 모호해진 것 같아요. 나는 해결사물을 쓰고 싶은 건가, 추리물을 쓰고 싶은 건가, 액션물을 쓰고 싶은 건가? 생각해보면 제가 쓰고자 했던 건 그냥 적당히 '8~90년대 혹은 신스웨이브 느낌이 나는 버디 해결사물'이었는데, 뭔가 사건의 구성을 알차게 채우려다 보니 허구한 날 사건만 구상하느라 시간을 보낸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염두에 뒀던 것은 가상도시의 소개와 '여유로운 분위기'였는데 말이죠. 모델로 삼았던 것도 유쾌상쾌한 시티헌터와 엔젤하트, 그리고 명색이 추리물의 대선조이지만 엄청난 트릭은 없었던 셜록 홈즈 시리즈였는데... 현재 소장 중인 셜록 홈즈나 시티헌터&엔젤하트 스캔본(??!)을 복기하면서, '사건을 최대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법'을 강구해야겠습니다.




이렇게 방침을 세웠으니, 이제는 지키는 일만 남았네요. 글이든 그림이든 무조건 하나는 해서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