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젠더리스 교복의 선결과제

SiteOwner 2021.05.13 21:45:30
일본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 중의 하나가 교복의 젠더리스화. 즉 성별구분의 완화입니다.
국내에서는 남녀공학의 경우 교복이 성별에 따라서 형태가 다를 뿐 남학생용이든 여학생용이든 기본적으로 배색이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만, 일본의 경우는 아예 완전히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즉 한 학교 안에서도 남학생은 검은색 가쿠란에 여학생은 물빛색 바탕에 흰 줄무늬가 든 세일러복이고 거기에 학년별로 스카프가 다르다든지.

그런데 일본에서도 교복디자인이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이 바로 처음에 말했던 젠더리스 교복.

20210510at01S_p.jpg
사진출처
男子スカート、普及まだ先? 広がるジェンダーレス制服―識者「選択肢増やして」
(남학생 스커트, 보급은 아직? 확대되는 젠더리스교복...식자층은 "선택지를 늘려라" 2021년 5월 10일 지지통신, 일본어)

이 사진에 등장하는 교복은 오카야마시 소재의 학생복 메이커인 톰보(トンボ)의 것으로, 사진 오른쪽의 것처럼 하의가 슬랙스로 된 여학생교복인 것이 특징입니다. 저렇게 여학생도 바지를 입을 수 있게 된 것은 대략 2015년부터의 일로, 일본내에서 1천개 이상의 학교에서 채택되었습니다. 일본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수가 15,000개 정도라서 아직 비율로 볼 때 일단 여학생교복의 바지는 소수이긴 합니다만 나름대로 성공을 거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남학생교복입니다.
남학생교복의 선택지는 여전히 하나. 그리고 남학생교복의 하의로 스커트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여학생교복 하의로서 바지를 선택가능하게 한 정책상의 이유에 "성동일성장애(性同一性障害)" 를 가진 학생에의 배려가 있다 보니 그렇습니다. 여성의 바지착용이 급진적으로 여겨졌던 19세기 전반도 아니고, 현대에는 여성이 바지를 입는다고 그걸 의문시하는 시각은 최소한 주요국가에서는 없으니 문제될 건 없으니까요. 그러나 남성의 치마착용은? 여기서 문제가 일어납니다.

성소수자 단체에서는 반발하고 있습니다. 성정체성의 커밍아웃을 강제당한다는 역효과가 날 건 뻔합니다. 실체없는 성정체성으로도 난리가 나는데, 실체있는 사물이자 바로 눈에 보이는 의복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선결과제가 몇가지 생겨납니다.
배려의 취지는 좋지만 그 취지의 결과까지 좋을 수 있는가, 누구나 만족할 답안은 존재하는가, 만일 존재하지 않는다면 특정인의 권리를 뺏거나 침해하는 방식으로 가야 하는가, 보고도 못 본척 할것인가, 아니면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 라는 결론적인 대안부재로 귀결되는가 등. 그리고 어느 하나 제대로 답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