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B.C.1887, 도시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

마키 2021.02.25 01:02:19
*제목은 기동전사 건담의 캐치프레이즈 "U.C.0079, 그대는 살아 남을 수 있는가?"의 패러디.


5fb7bcee-a0ca-4759-abda-8eff1a092bb9.jpeg

간만에 또 흥미를 일깨우는 게임에 대한 가벼운 소개(?).


11 비트 스튜디오가 개발한 도시 생존형 건설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프로스트펑크Frostpunk" 입니다.

컴퓨터의 아버지 찰스 배비지가 차분기관과 해석기관을 완벽하게 제작하는데 성공하면서 급격한 기술발달을 이룩한 대체역사가 이루어진 1887년 빅토리아 시대를 무대로 펼쳐지는 이야기입니다. 인게임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 등으로 보아 이 세계는 1887년에 남아메리카 대륙의 파타고니아에 운석이 떨어지고, 그 영향으로 화산활동이 폭증하면서 매우 돌발적인 이상기후로 인해 빙하기가 도래(인게임내 최고기온이?영하 20도)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에따라 인게임 내 플레이어 및 시민들의 모국인 대영제국은 제국의 모든 것, 심지어 왕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유물 따위도 모조리 포기하면서까지 국민들을 살려내기위해 북극에 거대한 발전기(첨부사진의 거대한 시설)를 건설하고 국민들을 상대적으로 따뜻한 북극에 피난시켰다는 것이 대강의 스토리입니다. 영국뿐만 아니라 언급되는 국가로는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이 각기 저마다의 방법으로 빙하기에 맞서 싸운다는 묘사가 나오죠.


이러한 상황에서 플레이어는 도시의 지도자가 되어 도시를 발전시키고 대한파를 맞이할 준비를 갖추는 한편, 도시의 성장과 생존을 위해 효율과 도덕성 앞에서 가치판단을 저울질해야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이 게임의 메인 컨텐츠 중의 하나인 법률의 경우 도시의 기초적인 것과 나아가야 할 길을 결정하는?"적응" 법률서와 메인 시나리오의 이벤트로 선택할 수 있는 "질서""신앙"의 목적 법률서로 나누어 집니다.


적응은 크게 21세기 현대에도 어느정도 용인은 되는 행위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에서 자행되었던 행위,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서도 용인되지 않는 행위로 나누어지죠. 가령 24시간 철야 근무연장 근무는 불만이 증가하지만, 이것은 21세기 현대의 산업활동에서 늘상 벌어지는 일이고, 의료행위의 경우?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든 가능한 한 모든 환자를 살릴 것인지, 현대와는 정 반대로 생존할 가능성이 희박한 중환자는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경상자만 골라 치료하는 등의 선택이 주어지죠. 이외에도 마지막까지 망자를 존중해 공동묘지에 매장해줄 수도 있고, 그냥 시체를 눈구덩이에 방치해 둘 수도 있습니다.

요컨대 당장의 위험을 감수하고 대재앙에 정면으로 맞서 싸우면서 대한파에도 얼어붙지 않는 온정으로 시민들을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배려해주는 지도자가 될 것인가, 아니면 도시의 생존을 빌미로 효율만을 중요시해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이 그랬듯이 인권이고 도덕성이고 깡끄리 내다버린 비인간적인 철인이 될 것인지 플레이어의 도덕성을 시험한다고 볼 수 있죠. 예로 아동 또한 노동자로 간주해 도시의 발전과 생존을 명목으로 죽든 말든 일을 시키던지, 미래를 위해 당장의 일손을 포기함을 감수하더라도 아동들을 보호하고 교육해 미래에 대한 인재로 육성하는 길을 택할건지 또한 플레이어의 자유.

때문에 플레이어가 어떤 길을 고르건 시민들은 불만을 토로할지언정 대한파 이전에는 대영제국민으로서 그렇게 살아왔기 때문에 비도덕적인 선택지만 골라도 선을 넘었다고 평가하진 않지만, 예외적으로 단 하나의 법률.?"대체 식량 자원"은 이것 하나만으로도 시민들이 지도자가 선을 넘었다고 판단하고, 엔딩에서?"도시는 살아남았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해서라도?살아남아야 할 가치가 있는 도시였나?"고 되묻습니다. 어지간해선 볼 일이 없지만 인게임에서 식량을 구하는 방법은 한정되어 있고, 식량이 고갈되어 굶주림에 시달리는 한편, 사람 잔뜩 있다면 무엇을 식량으로 할 지에 대해선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질서와 신앙은 이벤트 중 다른 도시가 파멸했다는 소식을 듣고 희망이 폭락하고 불만이 폭증하는 상황에서 지도자가 선택한 수단입니다. 전자는 권력, 즉 공권력을 동원해 억압하여서라도 말리겠다는 것이고 후자는 종교, 즉 신의 힘을 빌려서라도 구원을 믿어보자는 의미가 되죠. 둘 모두 초반에는 공권력으로 치안을 다스리고 종교 행위를 통해 희망을 가지게 되는등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법률을 계속 선택하다보면 어느 시점부터 본색을 드러냅니다. 전자는 경찰국가화 되다가 종국에는 파시즘에 물들어 시민을 무자비하게 억압하고 서로가 서로를 감시하는 독재국가가 되고, 후자는 기어이 지도자를 신으로 추앙하고 신의 말씀대로 이단을 심판하는 광신국가가 되버리죠.?

두 목적 모두 선을 넘은 마지막에는 "질서독재가, 종교광신이 되었다. 이게 최선이었나?"라고 플레이어를 신랄하게 비난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해보고는 싶은데 현재로서는 마땅히 플레이할 방법이 없어서 유튜브의 플레이 영상만 보고 있네요.
닌텐도 스위치로도 이식된다고는 하던데 언젠가라도 이식이 발표되면 플레이 해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