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은 걸그룹 여자친구의 세번째 미니앨범 "SNOWFLAKE"의 타이틀곡 "시간을 달려서 (Rough)"의 가사를 살짝 변형한 것.
(유튜브 여자친구 공식 계정:?https://youtu.be/xeGlv2QeFmA)
이름: 70317 백 투 더 퓨처 드로리안
출전: 백 투 더 퓨처 (Back to the Future, 1985)
제조사: 플레이모빌
발매일: 2020년 5월 15일
가격: 49.99달러
소개할게 산더미처럼 밀린 와중에 순번을 무시하고 새치기한 플레이모빌의 화제작, 백 투 더 퓨처의 드로리안입니다.
플레이모빌 피겨는 종종 몇번인가 사봤지만 탈것을 사보는건 이번이 처음이네요.
피겨는 주인공 마티 맥플라이와 에미트 브라운 박사, 애견인 아인슈타인이 제공됩니다.
아기자기하면서도 사소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꽤 예쁩니다.
전체적으로 제 것은 프린팅 품질이 살짝 어긋나 있지만 크게 문제될 요소도 아니어서 패스.
아기자기한 소품들.
드로리안과 함께 영화를 대표하는 호버보드가 빠진게 살짝 아쉬운 점이고 플루토늄 케이스의 스티커 재단이 잘못되어 있는게 흠...
드로리안의 연료인 플루토늄 병은 드로리안 본체에 기본 장착하는 것까지 포함해 총 3개가 제공됩니다.
피겨와 소품의 퀄리티에 대해선 정평이 난 플레이모빌 답게 이것만으로도 제법 그림이 나와줍니다.
다른 복장의 피겨 세트와 어드벤트 캘린더도 발매된 모양이지만 그쪽은 흥미가 없어서 가볍게 패스.
DMC-12 DeLorean
(* 표기법상 올바른 발음은 들로리안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드로리안 쪽이 편해서 이하 드로리안으로 통일합니다.)
드로리안 모터 컴퍼니(DeLorean Motor Company)가 내놓은 처음이자 마지막 히트작인 동시에 공전절후의 문제아(?).
따로 도장하지 않고 스테인리스 스틸의 순수한 금속광을 그대로 노출한 은색 보디와 걸윙 도어가 트레이드 마크인 파격적인 자동차.
영화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에 주역 메카로 등장한 이래 영상 매체에 등장하는 자동차를 통틀어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 네임드이자 타임머신의 대명사. 동시에 드라마 전격 Z 작전(Knight Rider)의 K.I.T.T.(키트)와 함께 자동차 형 주역 메카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의 슈퍼스타죠.
세트의 총 부품수 64 피스 중 피겨와 소품에 할당된 21 피스를 제외하고 보면 총 43 피스로 구성되어 조립 자체는 무척이나 간단하지만 모양새는 꽤 그럴듯합니다. 전장 24.5cm, 전폭 12cm로 보기보다 상당히 큰데 웬만한 레고 중대형제품만한 사이즈의 박스에 드로리안 본체 혼자 덜그럭거리는 엄청난 공간낭비가 압권... 높이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8cm, 갈고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18cm로 갈고리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낮고 넓적한 형태라 전시공간을 크게 요구하지 않는 것도 장점입니다.
전면의 DMC 엠블럼은 은색 도장이 입혀져서 빛을 받으면 반짝반짝 반사됩니다.
당시엔 그래도 최신형 모델(1983년 단종)이었지만, 영화에서 아득한 미래로 그려진 2015년 조차 이미 과거가 되어버린 2020년 시점에서는 80년대의 투박하고 복고적인 디자인의 자동차가 되어버렸네요.
엔진부.
중심부에는 동력원인 플루토늄 병이 수납되며 1편부터 주구장창 동력계통이 망가져서 시간여행에 트러블이 생기죠.
드로리안의 트레이드 마크 중 하나인 걸윙 도어.
실차는 상당히 처참한 완성도와 마감으로 원성이 자자했고, 주역 배우 마이클 J. 폭스의 말에 따르면 촬영시에 시도때도없이 걸려 넘어지고 머리를 부딪히는등 상당히 불편한 차라고 투덜거렸지만 그러한 단점을 오로지 디자인 하나로 죄다 씹어먹은 걸작 디자인이었죠.
실내에는 드로리안의 심장인 "유동 콘덴서(Flux Capacitor)"와 시간이동축 장치가 충실히 묘사되어 있습니다.
1955년은 1985년의 현재를 바꾸기위해 되돌아갔던 과거의 연도, 1985년은 마티와 브라운 박사가 사는 극중 현대의 연도입니다.
원래부터 디자인 하나로 먹어주던 차인데다 드로리안으로서의 완성도도 충실하기에 사진이 무척 잘 나옵니다.
번호판의 "OUT AT TIME"은 의역하면 "시간여행중"으로 타임머신의 임무를 위트있게 표현하고 있네요.
메인 기믹 첫번째인 비행 형태로의 변형.
2편에서 브라운 박사가 개조한 기능으로 타임머신으로서의 드로리안을 상징하는 요소로 유명한 기능이죠.
장난감은 영화의 사양이 미묘하게 섞여있어 주동력원이 플루토늄이라던가 과거에 갔을때 전선을 낚아채 전류를 받는 것으로 미래로 돌아갈 에너지를 확보하는 갈고리는 1편의 요소이고, 드로리안 하면 떠오르는 이 비행기능은 2편의 요소인데 기왕 섞을거면 2편부터 탑재하는 신형 동력원인 "Mr. Fusion"도 재현해줬으면 하는게 살짝 아쉽네요.
메인 기믹 두번째인 LED 발광.
차체 전후방의 동력선과 실내의 유동 콘덴서 부분에 불이 들어옵니다.
배터리 박스는 차체 하부의 엔진 부분에 수납되며 버튼을 한번 누르면 점멸, 두번 누르면 상시 점등, 세번 누르면 소등합니다.
점멸 상태에선 동력선과 유동 콘덴서 부분에 에너지가 흐르듯이 점멸 발광하는데 이게 또 은근히 멋지다는 느낌이 듭니다.?
점멸 상태에서 버튼을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 자동적으로 상시 점등-소등을 거치며 꺼집니다.
광량이 비교적 밝은 편이라 낮의 형광등 아래에서도 밝게 보여서 밤에 보면 굉장히 멋지네요.
이런 LED 기믹은 실물을 직접 눈으로 봐야하는데 사진으로는 실물의 반도 못 보여주네요.
영화 개봉 당시엔 30년 뒤의 먼 미래인 2015년을 상상하며 만들었던 타임머신도 이젠 과거의 유산이 되어버렸네요.
버릇대로 figma나 태워볼까 했더니 figma는 커녕 미크로맨도 안 들어갈 정도로 공간에 제약이 많아서 시승은 포기.
대신 키즈나 아이를 레이싱걸 스타일대로 올려놨는데 역시 figma는 차체에 비해 좀 많이 큰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