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am. But without possessing myself. So we first come to be.
The am of I am is within. And everything within is wrapped
in its own darkness. It must emerge to see itself; to see what
it is, and what lies about it. It must grow out of itself if it is to
see anything at all: itself among selves like itself, by which (no
more in itself) I am becomes we are. Outside that being in itself
dawns the world round about us, in which there are men, and
below, beside or above them, things. At first they are alien:
more or less repel, more or less attract. They are in no way
obvious; their acquaintance must be made if they are to be
known. The process by which they are known is entirely ex-
ternal; only thus does learning bring experience; only thus, by
virtue of what lies without,
1. Do we become independent selves
2. do other selves acknowledge another self
3. does itself remain external to itself
4.does the inner self come to know itself
5.does the world round about us blind us
(문제는 대성학원 문제입니다. 즉 본 문제의 저작권은 대성학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사실 이런 문제를 평가원이 냈다가는 아마 평가원에서 불날게 뻔합니다. 이 문제는 절대로 수능수준에서 나올 문제는 아니에요. 하지만 선생님 모토가 이런 어려운 문제도 접해봐야 평가원 수준을 쉽다고 느끼게 하자라는 것이라(전 불만 없습니다) 이런 토나오는 문제가 매우 자주 나옵니다.
진짜 이 지문만 한 10번 이상은 읽었을 겁니다. 푸는데 아마 30분이상 걸렸을걸요.
결국 맞추기는 맞췄습니다. 진짜 맞추니까 눈물이 다나기는 하는데, 이런 토나오는 문제가 앞으로 또 많이 남았다는데에 일단 눈물이..
여튼..
한 번 저 문제 풀어보시는 것도 나쁘지는 않으실 겁니다. 물론 쉬운분도 계시겠죠, 존재론을 잘 아시는 분이야..(일단 전 영어 해석 부분에서도 좀 막히긴 했지만요)
참고로 저 지문을 찾아봤는데 A philosophy of the future라는 책에 나오는 한 부분이더군요.
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