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기묘한 문물사정을,
은행사정,
대학사정,
교정시설사정으로 나누어 알아본 것에 이어서 이번에는 제목관련으로 다루어 볼까 싶네요. 내용이 많이 늘어날 것이 예상되니까 이번에는 개별악곡편으로.
해외의 악곡이 일본에 소개될 경우, 원제 그대로가 일본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경우도 물론 있지만, 원제와는 거리가 꽤 있거나, 아예 별개의 제목이 붙여진 경우도 꽤 있어요. 이것을 발표연도순으로 소개해 보겠어요.
일단 클래식 음악의 경우는 이런 것이 대표적.
- 모차르트의 피아노협주곡 제21번 엘비라 마디간
- 1785년 발표곡
- 1967년작 스웨덴 영화 엘비라 마디간(Elvira Madigan)에 인용된 것에서 유래
- 베토벤의 교향곡 제5번 운명
- 1808년 발표곡
- 베토벤 자신이 붙인 수식어가 없으며, 자신이 붙인 표제는 교향곡 제3번이 영웅, 제6번이 전원, 제9번이 합창
- 독일에서 Schicksals-Sinfonie라고 쓰이던 표현이 영어로 번역되어 Fate Symphony로, 그리고 다시 일본어로 중역되어 정착
- 베르디의 오페라 춘희(椿姫)
- 1853년 발표곡
- 원제는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로, 비올레타의 동백꽃 머리장식에서 유래
팝 음악이 소개될 경우에도 한동안은 독자적인 제목이 붙은 번역이 제법 있어요.
그 중에서 특히 기억에 남는 기묘한 번역제목을 일부 소개할께요.
- かわいいあの娘(귀여운 그 여자아이) - 1962년 미국의 닐 세다카(Neil Sedaka)의 Next Door to an Angel
- 悲しき雨音(슬픈 빗소리) - 1962년 미국의 캐스케이즈(The Cascades)의 Rhythm of the Rain
- ビートルズがやって来るヤァ! ヤァ! ヤァ!(비틀즈가 온다 야! 야! 야!) - 1964년 영국의 비틀즈의 A Hard Day's Night
- 涙の乗車券(눈물의 승차권) - 1965년 영국의 비틀즈(The Beatles)의 Ticket to Ride
- 愛のプレリュード(사랑의 프렐류드) - 1970년 미국의 카펜터즈(The Carpenters)의 We've Only Just Begun
- 淫力魔人(음란마인) - 1973년 미국의 스투지즈의 Raw Power
- やりたい気持ち(하고 싶은 기분) - 1975년 미국의 에어로스미스(Aerosmith)의 Sweet Emotion
- くたばれキャベツ野郎(뒈져라 양배추 자식) - 1976년 프랑스의 세르주 갱스부르(Serge Gainsbourg)의 L'Homme à tête de chou(양배추 머리의 사나이)
- 素敵な問題児(멋진 문제아) - 1977년 호주의 AC/DC의 Problem Child
- 地獄へ道連れ(지옥의 동행) - 1980년 영국의 퀸(Queen)의 Another One Bites the Dust
- 今夜はビットイット(오늘밤엔 비트잇) - 1982년 미국의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의 Beat It
- ハイスクールはダンステリア(하이스쿨은 댄스테리아) - 1983년 미국의 신디 로퍼(Cindy Lauper)의 Girls Just Want to Have Fun
- 恋人たちのクリスマス(연인들의 크리스마스) - 1994년 미국의 머라이어 캐리(Mariah Carey)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超ナイス・バディに夢中!(초 나이스바디에 빠졌음) - 1995년 스페인의 로스 델 리오(Los del Rio)의 Pura Carroceria
- や・ば・い・よ・髪型(곤란해 머리모양) - 1999년 독일의 디 에르츠테(Die Ärzte)의 Vokuhila Superstar
- 恋のマイアヒ(사랑의 마이야히) - 2003년 루마니아의 O-Zone의 Dragostea Din Tei(보리수 나무 아래의 사랑)
- バッドデイ~ついてない日の応援歌~(배드 데이 -안 따라주는 날의 응원가-) - 2009년 캐나다의 대니얼 파우터(Daniel Powter)의 Bad Day
사족을 단 것도 모자라서, 대체 무슨 생각으로 붙였는지 모를 기괴한 타이틀이 넘치고 있어요.
하지만 이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사실. 그러니 이것으로 놀라기에는 아직 부족하다고 말씀드려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