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몰고 온 기묘한 역설

SiteOwner 2019.11.21 21:25:38
역사 속에서는 별의별 역설적인 상황이 생겨 왔는데, 올해 하반기에 국내를 강타해 버린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약칭 ASF)이 몇 가지 기묘한 역설을 만들어 버린 것도 이 역설적인 상황을 추가하는 사례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이름 그대로 아프리카가 기원인 이 ASF는 유입된 경로부터가 기묘합니다.
아프리카에서 유럽, 그리고 중국을 거쳐 국내로 유입되었는데, 이것은 중국의 아집의 결과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말하자면 대략 이런 것입니다.
돼지고기 소비량이 단일국가로서 부동의 세계최대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연간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은 국내생산 이외에 수입으로도 수요를 충당하는데, 미국산 돼지고기는 정치적인 이유로 거부해 왔고, 이미 ASF에 감염되어 병원체를 지니고 있던 러시아산 돼지고기 등을 수입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중국내에서 수억마리의 돼지에 ASF가 대량으로 퍼져서 살처분밖에는 답이 없는 판데믹(Pandemic).
중국은 돼지고기 부족에 직면했는데다 하필이면 이 시점이 건국 70주년인 국경절이라서 돼지고기 부족은 자칫하면 민심이반으로 돌아설 수도 있는 위기였습니다. 그래서 개인당 일별 구매량 제한을 두는 배급제가 등장한 한편, 상당히 불리한 조건으로 미중 무역분쟁에 임한 중국은 결국 미국산 돼지고기를 대량수입할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것도 비싼 가격에.

게다가, 이 기묘한 역설은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2018년 9월 19일, 남북한은 군사합의를 통해서 다방면으로 적대행위와 경계를 해제하기로 했는데, 휴전선을 넘어 온 멧돼지가 ASF에 감염되어 있고 이것들이 넘어와서 ASF를 옮기는 것이 확인되어 버렸다 보니, 이제는 멧돼지의 이동을 막는다고 울타리를 세우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높은 경계수준을 유지했으면 문제되지 않았을 것을, 군사합의다 어쩌다 하면서 초소를 철거하고 철책을 걷고 한 뒤에, 1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다시 비용을 들여서 광역 울타리를 친다고 하니 이것 또한 기묘한 역설입니다.

앞으로 또 어떤 역설이 발생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것만큼은 확실히 말할 수 있겠습니다.
순리대로 처신하지 않으면, 순간적으로는 현명하게 처신한 것 같지만 결국 두고두고 후회할 일이 생긴다는 것.
그리고, 이런 역설의 대가는 아주 크다는 것.


여기에서 얼마나 배울지는 의문입니다.

중국을 높은 산봉우리에, 우리나라를 작은 나라에 비유한 데에서부터 이미 중국보다 더 낫게 처신하기는 틀린 것 같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