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캐릭터의 작명방식 3 - 지명, 기업명 등을 유용

마드리갈 2019.04.21 00:40:27
캐릭터의 작명방식 1 - 실제의 인명을 그대로 사용

캐릭터의 작명방식 2 - 실제의 인명을 유용



이번에는 지명, 기업명 등을 유용하여 캐릭터의 이름으로 채택하는 방식을 알아볼께요.

일본의 성씨는 생활공간에서 유래한 것이 많은데, 생활권 내의 지형에서 유래한 것도, 특정 지역의 과거 또는 현재의 지명에서 유래한 것도 있어서 인명에 지명을 자연스럽게 반영할 수도 있어요. 게다가 점포, 기업 등의 상호에 창업자의 성씨를 사용한 경우 또한 흔히 접할 수 있어요. 이런 감각으로 캐릭터의 이름을 정하는 데에 이 사고방식을 역이용할 수도 있으니 지명이나 기업명 등을 유용한 사례 또한 흔히 보이기도 해요.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될 수도 있고 스포일러 규제가 전혀 없으니 열람에 유의해 주시기를 부탁드려요.


우선, 지명을 유용한 경우.

비교적 좁은 지역인 도쿄도 코토구(東京都江東区) 각지를 캐릭터명에 반영한 사랑과 선거와 초콜릿에서부터, 공간적 배경이 치바현(千葉県)이면서 캐릭터명은 카나가와현(神奈川県)의 각 지역에서 따온 역시 내 청춘 러브코미디는 잘못되어 있다, 아이치(愛知), 기후(岐阜), 미에(三重)를 지칭하는 도카이(東海) 3현 각지의 지명에서 캐릭터명을 지은 유루캠프, 광역권인 큐슈(九州) 각지의 도시, 촌락, 산, 하천, 섬 등의 지명을 캐릭터명으로 채택한 메다카 박스 등이 있어요.


사랑과 선거와 초콜릿

도쿄도 코토구는 이전의 죠토구 및 후카가와구를 통합해서 신설한 행정구역인데 후카가와구 관할이 더 많아요.
여기에서 죠토지구, 구 죠토구 관할이었던 지역의 지명을 택한 캐릭터는 꽤 소수로, 언급한 캐릭터 중에서는 오오지마 유키와 유메시마 오보로의 둘 뿐. 애니에서는 유메시마 오보로가 여장에 위화감이 없는 미모의 남학생으로 묘사되는데다가 묘하게 오오지마 유키와 동성애 관계인 것처럼 묘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지명을 보면 꽤나 의도된 연출이지 않은가 싶네요.

역시 내 청춘 러브코미디는 잘못되어 있다

여기서도 꽤 기묘한 관계가 성립하는데, 히키가야 하치만과 유키노시타 유키노의 첫 만남이 상당히 껄끄러운데도 불구하고 이름의 유래를 보면 필연이 이어지는 것 같고, 하야마 하야토가 다른 여학생과 만나 대화하는 것을 본 것만으로도 크게 당황해하다가 넘어지는 미우라 유미코의 유달리 강한 독점욕이 지명을 봐도 설명이 되고 있어요. 게다가 미우라군은 곧 미우라시에 통합된다고 하는데...

유루캠프
  • 시마 린 - 미에현 시마시
  • 카가미하라 나데시코 - 기후현 카카미가하라시
  • 오오가키 치아키 - 기후현 오오가키시
  • 이누야마 아오이 - 아이치현 이누야마시
  • 토바 미나미 - 미에현 토바시
  • 타하라 - 아이치현 타하라시
이것도, 위의 작품처럼 작중 배경과 캐릭터의 이름 유래가 다른 지역에서 유래하는 특징이 있어요. 배경은 야마나시현 및 인접지역인데 캐릭터가 사용하는 성씨는 대체로 아이치, 기후, 미에현의 각 지명에서 왔으니까요.

메다카 박스

큐슈의 지명은 꽤 읽기 어려워서, 일본인이라도 큐슈광역권의 현지인이거나 사전에 읽는 방법을 익혀두지 않으면 잘 틀리기 쉬워요. 国東을 쿠니사키로 읽는다든지, 대체로 오구라로 읽는 小倉이 큐슈의 지명인 경우 코쿠라로 된다든지, 일본의 옛 수도 교토(京都)와 한자가 똑같은 후쿠오카현의 지명은 미야코로 발음된다든지, 新田原라는 한자표기의 지명이 큐슈 내에서도 셋으로 갈려서 미야자키현 코유군의 것은 뉴타바루, 후쿠오카현 유쿠하시시의 것은 신덴바루,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의 것은 신타바루...

약간 난외의 사항이겠지만, 메다카 박스를 보면서 카라쿠니라는 성씨의 캐릭터가 등장할까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어요. 역시 원작이 완결될 때까지 일절 등장하지 않았어요. 큐슈의 명산 중 카라쿠니다케는 카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의 경계에 있는 키리시마연봉의 최고봉으로, 한자가 韓国岳.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의심되는 사례도 존재해요.

후쿠오카현 각지의 지명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첫 갸루. 이건 어디까지나 제 추측이지만요.

도우미 여우 센코씨의 경우도 그렇게 보이네요.


기업의 이미지가 캐릭터명에 대거 반영된 작품도 있어요.

대표적인 것은 바쿠온으로, 일본의 이륜차 4대 메이커인 혼다, 야마하, 스즈키, 카와사키의 기업명 자체 또는 브랜드의 특징이 주요 캐릭터의 이름에 반영되어 있어요.


조금 특수한 예로서, 특정지역 출신을 나타내기 위해 특정지역에 많이 분포하는 성씨를 가진 캐릭터도 있어요.
특히 오키나와 출신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오키나와에 많은 성씨로 지어지거나, 피부색이 짙게 묘사되기도 하죠.
대표적인 사례는 이렇게 있어요.

특히, 구시켄 슈프의 경우는 성우 또한 오키나와 출신의 시마부쿠로 미유리가 기용되어 있어요.

오키나와의 성씨도 좀 거명해 볼께요.

바로 생각나는 것으로는 히가(比嘉), 타마시로(玉城), 우에하라(上原), 카네시로/킨죠(金城), 시마부쿠로(島袋), 아라가키(新垣), 구시켄(具志堅), 캰(喜屋武), 치넨(知念), 시모지(下地), 나카마(仲間), 치바나(知花), 가나하(我那覇), 하나시로(花城), 미야자토(宮里) 등이 있어요.

게다가 오키나와 출신 실존인물의 예도 꽤 있어요.


다음 회차에는 한 작품의 캐릭터명에 일정한 규칙으로 수가 반영되거나 한 등의 여러가지 경우를 알아볼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