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고금의 각종 사안 중 지명이나 인명이 붙은 것이 꽤 많죠.
특히 국제관계에서 벌어지는 행위인 각종 선언, 조약의 체결, 전쟁 등에 발생지역의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전간기 세계열강의 주력함 보유 규제를 위한 군축회담은 1920년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서 열려서 워싱턴 해군회의로, 유럽연합의 기초가 된 조약은 1992년 네덜란드의 도시 마스트리히트(Maastricht)에서 열려서 마스트리히트 조약이라고 불리고 있어요.
또한, 이러한 명명방식은 자연물을 지칭할 때도 널리 쓰이고 있어요. 이를테면 고생대의 페름기는 러시아의 지역 페름(Пермь)에서, 중생대의 쥬라기는 독일, 프랑스 및 스위스의 국경인 쥐라(Jura) 산맥에서 유래했어요.
그런데, 간혹 해당 지명의 어감이 묘하게 느껴질 수가 있어요.
오늘 본 뉴스가 바로 이 사례 중의 하나.
미국의 하와이주 킬라웨어 섬 소재의 화산 푸우오오(Puu Oo)는 1983년 1월 3일부터 분화를 시작하여 36년간을 연일 쉬지 않고 분화했는데 2018년 4월 30일에 분화구 부분이 붕괴된 이래 더 이상 활동이 없어요. 그리고 어제부터 사화산으로 지정되었어요.
자세한 뉴스는 아래의 기사를 참조하시기를 부탁드려요.
사망 선고 받은 하와이 화산 ‘푸우오오’ (2019년 2월 11일 서울신문 기사)
푸우오오라는 이름을 보니 화산이 분화하고 화산 토출물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묘사한 것같이 보여요.
용암을 푸우우우!! 화산재를 오오오오!! 이렇게.
다른 언어권에서는 저 화산의 이름을 어떻게 생각할까가 궁금해지네요.
비슷한 감각이 느껴지는 경우도 좀 있어요. 대표적으로 2가지. 둘 다 포럼에서 언급된 적이 있어요.
하나는 뮌헨 맥주홀 폭동.
1923년 11월 8일에 시작하여 다음날인 9일에 끝난, 독일의 뮌헨에서 일어났던 나치당 주도의
폭동을 말해요. 영어로는 Beer Hall Putsch, 독일어로는 Hitlerputsch라고 쓰는데 맥락을 모르고 보면
맥주홀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난 싸움같이 느껴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것의 실상은, 1885년에 뮌헨에서 개업하여 뮌헨 시민들의 사교장으로 애용되던 대형 맥주홀
뷔르거브로이켈러(Bürgerbräukeller)에서 일어난 사전에 계획된 도시장악계획의 첫 단계인 폭동이었어요.
다른 하나는 왈왈사태.
1935년 에티오피아의 왈왈 마을에서 있었던 이탈리아군과 에티오피아군의 무장충돌인데 장소의 이름을 보면 개들이 왈왈 짖어대는 대사건이 난 것같은 착각도 일어나죠.
같이 읽기 - 이름은 신경써서 지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Duealeast님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