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영화광고에 등장하는 "제작비 수십, 수백억"

SiteOwner 2019.01.09 18:55:25

구체적인 제품이나 솔루션의 광고에서부터 기업광고까지 다양한 광고를 만들 때 여러 방식이 있습니다.

그런데 방식이 여러가지라도 표현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좋은 제품, 좋은 솔루션, 좋은 기업임을 어필해서 소비자들에 우호적으로 다가가고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어 소비자들이 선택하도록 이끄는 것.

그런데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영화광고를 보면 일반적인 광고와는 노선이 꽤 다르다는 것이 보입니다. 소비자들에 우호적으로 다가가기보다는, 뭔가 소비자들을 압도하는 게 목적인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잘 등장하는 수식어가 "거대한 모험", "장대한 서사시", "최강의 액션", "스타 캐스팅", "영화상 수개부문 노미네이트", "역사에 남을 대작", "최단시간 관객동원기록 갱신", "영화계의 대세", "블록버스터" 등의 압도적인 것들. 게다가 여기에 더해 제작비 수십억원, 수백억원 등의 것도 언급됩니다. 사실 엔터테인먼트의 특성상 많이 알리고 화려한 수식어로 강조하는 것이야말로 유리하니까 이건 총론적으로는 이해를 하겠는데, 각론적으로는 뭔가 묘한 감을 떨칠 수가 없습니다.


수십, 수백억원, 아니, 그 이상으로 돈을 들였으니까 관람료가 비싸더라도 이해를 해야 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관람료 이상의 돈을 바침으로서 보답이라도 해야 한다는 것인지, 비용이 얼마 들었으니까 비판은 일절 해서는 안되겠다는 것인지, 만감이 교차하지 않을 수가 없군요. 그렇다 보니 이렇게까지 생각합니다.

"내가 관람료를 보탠다 한들 이게 저 영화의 수익창출에 얼마나 기여할까? 아마 못하겠지."


그리고는 영화 관람자 대열에서 이탈할 근거까지 만들어버립니다. 거액의 제작비라는 세일즈 포인트가, 저에게는 오히려 구매욕구를 좌절시켜버리는 디마케팅(Demarketing) 수단이 되어 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