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Tofu는 일본어니까 틀렸다? 주장에의 회상

SiteOwner 2017.07.25 23:48:17

문화의 용광로로도, 샐러드로도 불리는 미국에서는 동북아시아의 문물도 당연히 유입되어 있고 많이 정착해 있습니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지요. 군부대 내의 식당은 정식 용어가 Dining Facility, 약칭 DFAC인데, Chow Hall로도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국어에서 온 표현입니다. 미국 미디어를 보면 잘 나오는, 종이컵 포장용기로 대표되는 중국요리 배달 같은 것이라든지, 일식당에서 아주 자연스럽게 젓가락으로 초밥을 먹는 비즈니스맨들의 모습 같은 것도 동북아시아 문물이 반영된 대표적인 사례겠지요.


그런데, 한때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의 일인데, 미국의 한인사회 일각에서도, 그리고 국내 일각에서도 제기된 것인데, 어떤 문물이 일본어 표현으로 불리는 것은 틀렸다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두부의 영어표현이 Tofu인데 이런 것은 일본어니까 틀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서 한국어 표현을 로마자화한 Dubu가 올바른 표현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또한, 보자기에 대응되는 일본어인 후로시키(風呂敷き)라는 용어도 틀렸으니 쓰면 안되고 보자기의 로마자 표현인 Bojagi가 옳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유인즉 일본은 한국의 문물을 일본의 것으로 조작하여 역사왜곡을 하는 나쁜 나라이고, 미국에 대적한 적도 있는 전범국가이니까 일본어 표현은 틀렸다는 것인데...


이런 주장은 전혀 먹혀들지 못했습니다.

어차피 언어관습의 형성에 정치를 들먹인다고 해서 그것을 순순히 수용해 줄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도 의문이고, 일본어니까 틀렸다는 주장의 정당성도, 한국어니까 옳다는 주장의 정당성도 전혀 찾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것은 그냥 한때의 해프닝으로 흘러가고 말았습니다.


20년도 더 전의,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이 이야기가 지금의 우리에게 주는 함의는 무엇일까요.

그 주제로 어느 정도 풀어가보고 싶어서 이렇게 화두를 꺼내고 싶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