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짬짬이 구상중인 도시물에 관해서

Lester 2016.05.13 14:33:16

고등학교 때부터 막연하게나마 구상을 시작했지만, 거의 8년이 되어감에도 발전이 없는 걸 보면 정말 창작도 능력이 되어야 가능하다는 게 실감이 될 정도입니다(…). 뭐 제가 쓸데없는 부분에 연연해서 정작 스토리는 진행을 안 하는 것일수도 있지만, 그래도 두고두고 우려먹을 세계관이다 보니 가급적이면 기본부터 끝내놔야 나중에 창작할 때 우려먹기 쉽지 않을까 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제 지식 선에서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일단은' 현재 구상중인 도시 프라임 시티의 모델은 뉴올리언스인데, 이게 일반적인 도시와 달리 거대한 호수와 강을 끼고 있다 보니까 매우... 얕다고 해야 하나요? 수면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자세한 건 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설정해 둔 가상도시는 섬이지만, 어짜피 실존하지 않으므로 위치는 어디든 상관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수면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호수나 바닷물이 자주 넘치고, 그것 때문에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피해를 엄청 크게 입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건설업체가 불법으로 몇몇 건물들의 지하를 증축해 나가면서 지하세계를 만들었다고 하면 무리수가 될까요? 쉽게 말해 급증한 불법이민자들이 살 곳을 마련하지 못하자 브로커들은 여기에 '거주지 마련 비용'까지 뜯어내기 위해 건설회사와 짜고 지하세계의 건립을 권유했고, 건설회사는 그 돈을 나눠 가지기 위해 몇몇 건물들을 최대 지하 5층까지 공사하여 거주지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브로커들은 불법이민자들을 여기서 살게 했습니다. 그런데 여러 회사가 이런 짓을 자행하다 보니 지하건물끼리 맞닿기도 했고, 이 과정에서 몇몇 이민자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길을 내서 지하건물들을 연결하여 '지하세계'가 만들어집니다. 저번에 말했듯이 구룡성채가 지하로 내려간 격이죠.


하지만 허리케인 카트리나(2005년)를 겪으면서 이 곳들의 대부분이 모두 침수되는 비극이 발생했지만, 애초에 기록조차 없는 사람들이었기에 현재 시점(대강 2012년 정도)에서는 유야무야되었다는 비극적인 설정입니다. 그럼에도 돈맛을 본 브로커와 건설회사들은 똑같은 짓을 계속하여 다시금 불법이민자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으려 합니다. 이후 도시 탐험가(Urban Explorer, 도시의 지하를 탐사하는 사람들. 일종의 폐허덕후라고 보시면 됩니다)들이 과거의 참상을 우연히 발견했지만, 매수된 언론에 의해 오히려 자작극으로 몰리게 되면서 음모가 커지는 선까지 내다보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지하세계를 다른 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자들도 늘어나며, 한편으로는 오히려 '안전성만 완벽하다면 좋지 않겠는가'라는 기묘한 합리주의자들도 등장합니다.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대부분이 불법적인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당국과는 무관하다고 설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니, 알았다고 하더라도 사과, 아니 오렌지 박스(?!)를 받고 입을 씻었다고 보는 편이 옳겠죠. 다만 가장 큰 문제는 역시 '현실성과 당위성'입니다. 뉴올리언스나 그 근방에 좀 살아본 사람이면 저게 얼마나 위험한 짓인가는 뻔히 알 테니까요. 하지만 뉴올리언스가 근래 들어 막장이 되어가는 점, 또한 불법이민자 문제가 뿌리가 깊다는 점, 그리고 SiteOwner님이 과거에 말씀하신 KKK를 비롯한 남부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보면 전혀 불가능할 것 같진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콘피난사 금융센터나 폰테 타워처럼 계획 건축물 혹은 재활용된 옛날 건물 등으로 대체해 볼 생각도 있습니다(이 쪽도 불법적으로, 혹은 당국의 지시하에 건설되겠지만요).


여기에 대해 포럼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