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즐거운 하비 라이프 -2-

파스큘라 2016.02.22 04:08:40

그동안 간간히 이야기만 풀어냈던 소장품 소개 코너, 즐거운 하비 라이프의 둘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최근에 수집한 이런저런 레고나 피규어, 또 다른 취미인 지그소 퍼즐이나 가볍게 소개해봅니다.

 

20160212_223818.jpg


먼저 2014년 개봉했던 레고를 소재로한 극장용 애니메이션 '레고 무비Lego Movie' 카테고리로 출시된 모델넘버 70818 'Double Decker Couch / 더블 데커 소파' 입니다. 레고 무비는 해당 카테고리로 출시된 모든 제품들이 카테고리와 동명의 영화를 테마로 한 제품군이며 이것도 그 중 하나입니다.

 

작품 중반에서 주인공 에밋(공사인부 피겨)의 창작품으로 등장한 2층 소파를 필수 요소로 오프닝에 잠깐 등장한 에밋의 자가용이 소품으로 부속되고 피겨도 주인공 에밋, 악역 캐릭터로 등장한 프레지던트 비즈니스(에밋의 오른쪽에 있는 양복 차임의 사장 스타일 피겨), 동료인 유니키티(위층의 분홍색 유니콘 고양이)와 구형 우주인 베니(유니키티 오른쪽의 파란색 우주인 피겨), 그리고 극중의 핵심적인 대사를 담당한 비트루비우스의 유령 모습(에밋의 좌측)이 동봉되어 있고 이 구성에 가격이 15달러라는 레고 치고는 상당히 파격적인 가격에 발매되었습니다.

 

보기엔 상당히 우스꽝스러운 모양이긴 해도, 영화 레고 무비가 전달하는 메시지, 그리고 주인공 에밋이 어떤 캐릭터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소품이 이 2층 소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화의 핵심적인 부분이니 각설하도록 하고, 국내 정발가는 약 3만원인데 시즌이 지났기도 해서 해외구매로 5만원 정도에 입수했습니다.


20160216_191126.jpg


넘어와서 다음은 BBC 제작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유명한 영국 드라마, 닥터 후를 테마로 하여 ideas 카테고리로 출시된 모델넘버 21304 'Doctor Who / 닥터후'입니다. 아이디어즈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창작품을 투고하고 그것이 일정 투표 이상을 얻으면 레고 사에서 검토하고 적당히 각색하여 실제 제품으로 출시한다는 컨셉의 카테고리인데 이 제품도 그 중 하나입니다.

 

제품은 기본적으로 닥터 후의 마스코트이자 악역 외계인인 달렉x2, 시리즈 최고의 외계인으로 꼽히기도 했던 우는 천사,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11대 닥터와 12대 닥터, 그리고 히로인(본작에서는 컴패니언 이라고도 칭합니다) 클라라 오스왈드(왼쪽부터 순서대로)가 동봉되어 있고 본 작의 핵심 요소인 타디스The TARDIS의 내부와 대외적인 위장 모습인 영국의 푸른색 경찰 전화 박스를 구성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의 핵심인 타디스는 각종 데코레이션 타일과, 닥터 후 전용의 데코레이션 타일로 디테일을 살리고 있고, 스티커의 사용이 유독 많은 이런 류의 제품으로서는 드물게 제공되는 모든 데코레이션 타일 및 디테일 요소는 전부 프린팅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늘색, 적색, 청색, 보라색, 오렌지색 투명 부품들을 적재적소에 사용하여 상당히 근사한 멋을 내고 있습니다.


20160216_191207.jpg


이 제품 최고의 매력포인트인 타디스의 외부 모습.

영국의 경찰 전화박스로 위장하고 있는 모습이고 본래는 카멜레온 서킷이라는 기능을 통해 이동한 장소에 가장 적합한 물체로 자동적으로 외부를 위장하는 기능을 갖고있지만 닥터가 가진 타디스는 그 기능이 고장나서 이 전화박스 모습이 디폴트 세팅으로 고정되어버렸고, 그것이 또 타디스의 매력요소로 작용합니다. 어차피 인식 저하 기능이 있기 때문에 상관은 없지만...

 

레고로 나온 제품은 평면 타일과 데코레이션 타일을 적절히 혼용하여 꽤나 세련된 느낌. 특히 어스 블루 컬러의 중후한 군청색이 무척이나 예쁩니다. 사실 전 닥터 후를 본적이 없지만 오로지 이것 하나에 반해서 이 제품을 구매하게 됐네요.

 

20160219_014946.jpg


반다이의 SHFiguart(약칭 SHF) 브랜드로 출시된 니시키노 마키(그것은 우리들의 기적 ver)입니다. 앞에 있는건 소품으로 놔둔 같은 반다이의 혼이펙트 버닝 플레임 (블루 ver).

 

러브라이브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이고, 또 가장 좋아하는 복장이다보니 앞뒤 안가리고 구매했습니다. 재현도는 제 기준에서는 괜찮은 편이고, 또 자유롭게 갖고놀수 있는 마키 피규어다보니 좋아는 하지만 이런쪽의 노하우는 아무래도 전문가인 굿스마일(일전에 소개하거나 언급한 피그마의 제조사)보다는 낮다보니 가동폭이 좀 답답하다는게 불만입니다.

 

뭐 세세한 단점은 접어두고 제품 자체는 그냥 적당히 튼튼하고 적당히 잘 움직이고 적당히 예쁘게 생겨서 그냥저냥 적당히 갖고놀기 괜찮습니다.

 

003.jpg


저희집의 13번째 넨도로이드, 532번 세가 새턴입니다.

초차원게임 넵튠 시리즈의 전신인 세가 계열 하드웨어 의인화 프로젝트 '세가 하드 걸즈' 출신의 캐릭터이며 제품은 다시 그것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Hi☆sCoool! 세하걸'를 기반으로 나왔습니다.

 

캐릭터의 모티브는 이름과 여러 디자인 요소를 따온 세가의 1994년 발매 5세대 게임기 세가 새턴. 목에 건 고리모양 장신구(?), 지팡이, 스커트나 오른쪽 가슴의 무늬 등등의 여러 요소를 실물 하드웨어에서 따왔고 들고있는 지팡이도 실물의 북미판 콘솔 오프닝 화면에 나오는 세가 새턴 엠블렘을 형상화한 모습. 아울러 일러스트 담당이 하츠네 미쿠의 일러스트를 담당하기도 했던 KEI 이다보니 눈매나 복장의 스타일과 팔 토시 등에서 배다른 자매(?) 하츠네 미쿠의 이미지도 엿보입니다.

 

제품 자체는 넨도로이드 답게 무난하게 잘 나왔습니다. 조형의 세심함이나 꼼꼼한 도색마감도 그렇고. 악세사리로는 사진의 지팡이 2개와 세가 새턴의 실물 콘솔과 패드 미니어처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20160216_131255.jpg


피그마 한정판 중 하나인 EX-19번 유키미쿠.

일반판 200번 하츠네 미쿠 2.0을 기반으로 유키미쿠의 디폴트 컬러인 은색, 백색, 청색, 하늘색으로 리페인트한 한정판입니다. 

저번주에 마침 눈이 내리길래 컨셉도 딱 맞고 해서 대리고 나가 집 앞 공원에서 사진이나 찍어볼까 했더니 시야 확보가 불가능할 정도의 눈보라가 몰아치고 있길래 이 사진 하나만 찍고 퇴각(...).

 

2. 그리 많이 하지는 않지만 제 취미 중 하나가 또 지그소 퍼즐입니다. 이하는 현재 걸려있거나 맞춰둔 500피스 이상의 퍼즐들.

150피스 짜리 뉴욕 택시와 고흐의 해바라기도 있는데 어딨는지를 모르겠고 108피스 미니 퍼즐로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 와 뉴타입 부록인 빙과와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도 있지만 그쪽은 생략.

 

20160220_041545.jpg


제 방 벽에 걸린 1000 피스 고지도 퍼즐.

옛날옛적 어릴때 동네 문방구에서 샀는데 그때 당시엔 맞출 엄두도 안나서 그냥 두고두고 몇년간 보관만 하다가 지금 사는 새 집으로 이사오고 나서 뚝딱뚝딱 이틀만에 맞췄습니다. 테두리의 각종 그림과 12성좌 관련 그림을 맞추는게 가장 재밌었고, 가장 까다로웠던건 지도의 둥근 테두리와 바다의 위도/경도 선.

 

20160220_041612.jpg


현관에 걸린 2000 피스 탱화 극락세계장엄도.

보통 퍼즐은 그림이 단순하지 않을 수록 맞추기가 편한데, 이정도로 복잡하면 또 도리어 헷갈리기 일쑤죠. 상하단의 특징적인 건물이 가장 쉬웠고, 그 다음이 중간의 부처님들이 계시는 단상? 비슷한 부분. 가장 어려웠던건 중하단의 보살님들이 계시는 부분이었네요. 이걸 맞추고 나서 분기탱천해선 멋모르고 9000 피스 짜리 12성좌 퍼즐을 살까말까 고민도 했었죠.

 

20160220_041630.jpg


방 스위치 아래쪽에 달린 이것은 좀비입니까? 150 피스. 라이트노벨 이것은 좀비입니까? 10권 박스 한정판에 동봉된 부록입니다. 

뭐 보시다시피 이쪽은 피스 수도 적고 그림도 간단하니 앞의 것들에 비하면 정말 쉬웠죠.

 

20160220_042010.jpg


500 피스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화가이고, 또 그런 화가의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다보니 심심풀이로 사다가 부담없이 맞춰봤습니다.  

보시기만 하셔도 짐작하시겠지만 소용돌이치는 듯한 특유의 별하늘이 가장 어려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