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비정상회담에 새터민이 나왔군요

Lester 2016.01.05 00:51:58

새해 첫 방송이라서 그런가 일일 외국인으로 새터민을 초대하여 방송했습니다. 역시 새터민답게 북한의 실상에 대해 자세히 얘기했고, 실제로도 미술가로서 북한의 참상을 그려서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름은 강춘혁으로, 미술가 겸 랩퍼입니다. 예를 들자면 이것이것, 이것 같은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런데 얘기한 것들 중에 "이제 북한은 일을 해도 임금을 주지 못하니까 자체적으로 시장을 열엇 필요한 것을 구한다"라고 하는데, 그런 걸 보면 결국 자본주의 급은 아니더라도 물물교환과 시장은 인류가 기본적으로 탑재(?)해야 하는 기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비록 아직은 부유한 집 위주라지만) 아이폰도 밀수되어 북한에 들어갔다고 하더군요. 그러다 북한에 대해 예전에 들었던 것들이 합쳐지면서 이런 망상이 펼쳐지더군요.


"밖에서는 이것저것 밀수되어 다 들어가고, 안에서는 돈이 없으니 물물교환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북한 지폐를 대량으로 위조하거나, 저가형 필수품을 대량생산해서 북한에 들여보내면 어떻게 될까?"


일단 전자는 2차대전 당시 '베른하르트 작전' 같은 선례가 있겠네요. 비록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북한에서 실제로 쓰이는 돈보다는 쿠폰 개념처럼 밀수꾼↔북한사람 사이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더 적합할지도 모릅니다. 자세한 부분까지는 상상이 안 되네요. 그리고 막상 상상은 했지만 오히려 북한의 화폐 유통을 촉진시켜서 체제를 고착화시키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후자에 대해선, 집에 있는 만화 위인전 중 '마쓰시타 고노스케' 편이 기억났습니다. 마쓰시타의 경영 철학은 "기업은 물자를 수돗물처럼 대량 생산하여 국민들을 풍요롭게 해야 한다. 수돗물은 거지가 마시더라도 누가 뭐라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인도네시아에 보급형 라디오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유통한 적도 있고요. 비슷한 논리를 적용한다면 북한에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디까지나 상상이니 현실성은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가망이 있는 망상일까요?

그리고 이런 류의 주제도 게시판에서 금지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