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만 그렇게 느끼는 걸까요.
사회의 온갖 단면 속에 무례가 일상화되고 있다는 생각이 잔뜩 들고 있어요.
별별 더러운 말을 써가면서 상대를 욕하고 깎아내리는 것들을 보고 있으니, 이런 생각도 들어요. 대체 그렇게 싫다면서 같은 하늘을 이고 어떻게 살아 있을 수 있는지가 의심될만큼.
특히, 특정 컨텐츠의 악질 팬덤과 정치인들의 무례를 보니 놀라울만큼 닮아 있는 것이 많이 보여요.
러브라이브의 악질 팬덤의 무례한 행태는 결국 극장에서의 소란까지 일으켜서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부상했는데, 이 사건은 일간지 기사로도 보도되어 있어요.
특정 문화컨텐츠를 선호하고 그에 대해서 자부심을 가지는 것 자체를 나쁘다고 할 수는 없어요. 저도 러브라이브를 좋아하고 애니 1, 2기를 모두 시청했으니까 러브라이브 팬덤에 속하겠지만, 저 악질 팬덤과 엮이고 싶지는 않아요. 그들의 행태로 인해 러브라이브라는 컨텐츠 자체가 비난의 대상이 되기까지 하니까요. 사실 러브라이브 애니의 어디를 봐도, 프로젝트를 통해 발표된 어떤 노래를 들어도 폭력을 행사하라는 말은 전혀 없는데 그 악질 팬덤 탓에 컨텐츠 자체에 편견이 더해지고 있으니 러브라이브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상당히 불쾌해요.
그 악질 팬덤은 이런 문제점을 안고 있어요.
러브라이브가 급부상하였으니 다른 컨텐츠를 무시해도 된다거나, 다른 컨텐츠의 팬덤을 공격할 권리가 있다는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 문제이고, 그래서 아이돌마스터를 비하하는 무식한 짓도 서슴지 않아요. 러브라이브의 제작사인 선라이즈가 반다이남코 계열사의 자회사이니까 그래봤자 제 얼굴에 침뱉기에 불과하고, 설령 러브라이브와 아이돌마스터가 완전 별개의 기업에서 만든다고 하더라도 그 사실이 비방의 정당성을 갖춰 주지는 못하니까요.
그리고 이러한 사고방식에 대해서는 이렇게 반문하고 싶어져요.
"메이저한 컨텐츠로 부상했으니 팬덤이 폭력을 행사해도 된다면, 마이너한 컨텐츠로 남아 있다면 다른 메이저 컨텐츠의 팬덤에 짓밟혀도 감수하겠는가?"
이 질문에 어떻게 대답할지가 궁금해지네요.
이런 악질 팬덤의 무례는 정치인들도 잘 구사하고 있어요.
시의원이라고, 국회의원이라고 법 위에 서려고 하는 행태는 계속 있어요. 그래서 현행범으로 잡혔을 때 하는 말이 "내가 누군지 알아?" 라는 일갈. 저는 그런 자들에 대해서 이렇게 말해주고 싶어요. "네, 잘 알아요. 현행범."
권력을 잡았으니 법 위에 서도 된다고 생각한다면, 권력을 잡지 못한 재야상태에서는 얼마든지 법으로 찍어눌러도 된다는 의미로도 통할 것이고, 그렇다면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대에 그렇게 단속당한 것은 정당했다는 결론이 나게 되어요. 이게 대체 무슨 자가당착일까요. 이래서 극과 극은 통한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그리고 다른 컨텐츠에 대한 비하를 일삼는 무례한 악질 팬덤처럼 정치인들도 그렇게 행동하고 있는 게 보여요.
우리나라의 정당은 이합집산을 거듭해 왔고, 비록 정치성향은 다르더라도 결혼 등의 인적교류를 통해 정치인들 사이가 이어져 있는 경우도 꽤 있어서 상대를 더러운 언어로 비방하는 것은 자신의 가족을 비난하는 것과 다를 바가 전혀 없어요. 물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자신과 남의 다른 점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민주시민으로서의 자격이 없다는 것이나 다름없어요.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요?
정말 중요한 국정현안에는 관심도 없고 상대 정치인들의 출신을 갖고 욕하기에 바쁘고, 정파가 다르면 아예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예의를 내버려도 된다고 생각해서 심지어는 대통령의 국회 입장 및 연설에 예를 표한 야당 의원이 주목받을 정도가 되었어요. 이렇게 무례가 일상화되어 있으니 상식이 비범한 것으로 보일 지경이 되었어요.
무례의 일상화는 어디까지 진행될까요.
그리고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요. 언젠가는 다른 상대에 대해서는 혐오나 폭력을 행사하지 않으면 배신행위로 간주하여 내부의 적으로 규정하여 박멸하려 드는 풍조도 일상화될 듯 해요. 그리고 그 끝이 해피엔딩이 아닐 것도 분명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