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악독함과 불공정의 안쪽

마드리갈 2014.12.18 23:08:48

각종 언론보도를 보면, 사회전반에 악독함과 불공정의 사례가 나날이 늘고 있어요.

이것이 1990년대말부터 2000년대초에 유행했던 "사회가 투명해져서 이전의 폐해가 더욱 잘 보인 것일 따름" 이라는 논리로 설명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만일 이게 사실이라면 이 사회는 그냥 투명한 게 아니라 광섬유만큼의 투명도가 확보되어 있는 것일까요. 그런데 그런 것 치고는 왜 세상이 혼탁한 것인지를 이해하기 힘들지만 말이죠.


흔히 이런 악독함과 불공정이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곳이 바로 고용시장.

특히, "젊을 때의 고생은 사서도 한다" 라는 말로 이러한 상황이 많이 미화되기도 하는데, 글쎄요? 물론 어느 정도의 외부자극은 도전으로 작용하여, 그것에 직면한 사람이 강해지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그것도 정도가 있어요. 현재의 상황은 그런 수준이 아니라, 처음부터 결과를 정해놓고 패자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랄까요.


이미 2013년에도 사회문제의 하나로서 시사 키워드가 된 "갑의 횡포" 중에 올해에는 이런 것이 적발되기도 했어요.

하나는 제품을 영업사원에게 억지로 떠넘겨 놓는 이른바 가상판매를 해 놓고 물품대금 및 그에 대한 이자를 내라고 기업이 소송한 사례. 이것은 법원이 철퇴를 내렸어요.

또 다른 하나는 84일간 매일 근로계약서를 쓰게 하도록 하고 이후에 재계약을 하지 않는 형식으로 파견일용직 직원을 내친 호텔의 사례. 처음에는 지방노동위원회가 호텔의 손을 들어줬지만 중앙노동위원회가 이 사안을 부당해고로 판단하여 해당 직원의 복직 및 미지급임금의 지급을 명령했어요. 하지만 호텔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아요.


이 두 사례를 보니 악독함과 불공정의 끝이 대체 어딘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씁쓸하기 그지없어요. 게다가 이제는 부끄러움도 없는지 대놓고 저런 행위를 강요하고 있으니 이게 기업인지 조직폭력배인지도 모르겠고 게다가 앞으로는 또 어떤 창의력을 발휘하여 더욱 지독하게 진화할지 겁이 난다는 생각까지 들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한편으로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해요. 한번 발상을 바꾸어 볼까요?

이러한 수단을 쓰지 않으면 수익을 창출할 수 없을 정도로 기업의 역량이 이미 한계에 다다랐고 그래서 기업가정신에 기반한 혁신보다는 보다 손쉽고 가시적인 수단인 쥐어짜기나 배신 등의 각종 술수로 연명하기로 작정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기업의 황혼이라고 해야 할까요. 이렇게 본다면 지금 이러한 행위로 이득을 보겠다는 기업들은 정말 바로 앞이 어두운 게 아닌가 싶어요.


사람은 주어진 게임의 법칙에 따르기만 하는 존재가 아니예요.

즉, 결과가 명백히 예견되고 있고 그 결과가 자신에 불리할 것이 보인다면 선택은 이 둘 중의 하나가 되어요. 참여하지 않거나, 룰을 바꾸거나. 보통 이렇게 되면 주최측은 "너 아니라도 올 사람은 많다" 라고 자신만만히 받아치겠지만 언제까지 이럴 수 있을까요? 질소과자 논란으로 압축되는 과대포장으로 점철된 부정불량식품으로 인해 수입과자 시장이 급속히 발전한다든지 그리고 이전부터 국내 유통업체들의 폭리 문제에의 반작용으로 해외의 통판에서 직접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는데.


언제 그 일이 일어날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악독함과 불공정을 내세운 기업들이 무너지게 된다면 여론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기도 해요. 기업들이 소비자들이 애국심도 정도 없는 악독하고 불공정한 자들이라고 욕하게 될지, 아니, 그러기 전에 그렇게 말할 기회나 얻을 수 있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