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일본인 49% "혐한 출판물이 한일관계 악화"

B777-300ER 2014.10.26 19:47:02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7209420&date=20141026&type=0&rankingSeq=7&rankingSectionId=104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인의 절반가량은 한국이나 중국을 헐뜯는 내용을 담은 이른바 '혐한(嫌韓)·혐중(嫌中) 출판물'이 한일·중일 관계를 악화시킨다고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이 7월 30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우편으로 벌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혐한·혐중 콘텐츠를 담은 서적이나 잡지 등을 읽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13%였다.
마이니치신문은 일본의 인구를 토대로 환산하면 혐한·혐중 서적을 읽은 사람들이 1천43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응답자의 86%는 혐한·혐중 출판물을 읽은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혐한·혐중 출판물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복수 응답 가능) 49%가 한일·중일 관계를 악화시킨다고 답했다.
이들 출판물이 한국이나 중국에 대한 불만·불안을 대변하고 있다는 답변은 30%였고 이런 서적이 팔리는 것이 한심하다는 반응이 18%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일본에 대한 불만·불안의 배출구 역할을 한다(17%), 출판업계에 돈벌이 만능주의가 판을 치고 있다(14%), 한국이나 중국보다 일본이 좋은 국가라고 알리고 있다(12%)는 등의 의견이 있었다.

혐한·혐중 서적을 읽고 나서 한국이나 중국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은 48%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일본 내 16세 이상 남녀 3천600명을 상대로 시행됐으며 회수율은 67%였다.




비뚤어진 민족주의와 인종차별주의를 팔아서 엉터리 사상을 선전하는 일본 언론 및 출판업 행태를 한심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적지 않지만 이러한 사태가 지속될 경우 무력충돌이나 제노사이드 등 더 큰 인종 혐오적 자세로 변질될 수 있는 사안이 염려됩니다.


현재까지는 속칭 혐한들의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공격을 당한 적이 없지만 만에 하나 제게 혐한들의 공격이 다가온다면 어떠한 금전적,시간적,정신적 대가를 치러도 좋으니 대한민국 및 일본의 법률이 허용하는 한도선 내에서 법적 대응으로 반드시 그 자들의 손목에 수갑 또는 무거운 벌금 등으로 응수하여 인종차별주의를 실행한 대가가 어떤 것인지 똑똑히 보여 줄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