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큰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김정은의 고모부로 사실상 북한의 2인자였던 장성택이 사형을 당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뉴스를 보면서 특이한 표현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왼새끼를 꼰다는, 접하기 힘든 표현이 있어서입니다.
북한의 어문정책의 특징 중의 하나로서 거론되는 것이, 김일성 일가에 대한 민망할 정도의 극존칭과 적대세력에 대한 험구로 대표되는 극단적인 수식어입니다. 그래서 교과서에서조차 시정잡배들이나 입에 담을만한 야비한 욕설이 빈번이 등장하며, 동시에 빈곤한 어휘를 그대로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렇다 보니, 역적패당, 반동분자 등의 단골 어휘들만 늘어놓는 이전의 보도를 접하다가, 예의 왼새끼를 꼰다는 표현을 접하니 어떤 의미로는 상당히 참신하기까지 합니다.
그렇다면 왼새끼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동물의 새끼가 아니라, 왼쪽으로 꼬는 새끼줄이라는 뜻입니다. 이것은 포장, 결속 등의 실용적인 목적에 쓰는 것이 아니라, 주술적인 목적에 쓰입니다. 대표적인 용법으로는 출산한 집 대문 앞에 치는 금줄 같은 게 있겠습니다. 요즘은 농촌에서도 보기 힘들어져서 조선의 귀신 같은 학술서나 각종 민속학 자료에서나 접할 수 있지만요. 그래서 왼새끼를 꼰다는 말은 이 왼새끼의 용도로 미루어 볼때 모종의 주술적인 일을 꾸민다는 의미가 있다고 추정가능하며, 실제로도 용법 자체는 흔하지는 않지만 비아냥거림, 방해 등의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이 용어는 위에서 보다시피 과거의 주술적인 사고방식을 담고 있다 보니 미신, 주술 등의 영향력이 미미해질 정도로 약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생명력을 지니기가 쉽지 않습니다. 당장에 새끼줄을 꼬아서 쓰는 경우도 잘 없을 뿐더러, 왼쪽을 부정하게 보는 사고방식도 이미 구시대의 것이 되어가는 요즘에 이런 용어가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게 아무래도 신기하게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저런 표현이 여전히 쓰이는 북한사회가 오랜 기간동안의 폐쇄성으로 인해 어문환경 자체가 크게 달라져 있는 사회라고 추정할 만한 유력한 근거가 될 듯 싶습니다.
오늘 접한 이 어휘는, 탈북자가 벤또라는 용어를 썼던 것만큼의 충격이기도 합니다. 이전까지는 북한에서는 도시락을 가리키는 용어로 곽밥이라는 말을 썼고 북한이 어문정책이 주체적이라는 것에 의심도 없었는데, 실제로는 곽밥과 벤또의 두 어휘가 각각 다른 용법으로 쓰인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북한의 어문정책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게 되었습니다. 이 왼새끼라는 용어를 보면서, 전근대적인 주술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는 용어를 적대세력에 대한 험구에 동원하는 이러한 언어사용이 북한의 어문정책을 이해하는 데에 어떻게 작용할지를 생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