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11/14/0200000000AKR20131114195100030.HTML?from=search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311/h2013111721444421540.htm
이것에 관한 뉴스가 여럿 떴었습니다만 일단 연합뉴스와 한국일보의 기사 두 개를 가져와 보았습니다.(일단 첫 기고는 서울신문이라더군요.)
두 기사의 공통 내용을 요약하자면 한국에서 수입 맥주를 선호하게 된 현상에 관한 실험을 했는데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에서의 선호도는 국산맥주가 수입맥주에 비해 높았는데 상표를 실제 내용물과 다르게 붙인 페이크 브랜드 테스트 결과 내용물과 상관없이 수입맥주의 선호도가 국산맥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두 기사를 종합하여 요약 정리하면 "소비자의 맥주 선호도가 일관적이지 않다는 것은 맛과 별개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 국산 맥주가 소수 기업의 독과점 체제여서 다양성이 떨어지는 건 사실이지만 국산 맥주 맛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겠군요.
그런데 이 테스트의 후문에 따르면 기사에 나오지 않은 맥주 브랜드는 국산이 각각 하이트와 OB 골든라거였으며 아사히 슈퍼드라이, 하이네켄, 밀러로 거의 비슷한 수준끼리의 맥주라서 서로 구별하기 쉽지 않고 필스너 우르켈이나 사뮤엘 아담스 같은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오리지널 라거의 맛과 향을 보일 수 있는 맥주를 놔두고 맥주는 청량감이라는 편견에 사로잡혀 이러저러한 조건을 따지지 않고 드라이 맥주 같은 걸 수입 라거의 대표로 놓아 의도가 엿보이는 실험이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물론 판단은 여러분의 몫이겠습니다만……개인적으로 MT에서 씁쓸하게 하이트 드라이피니시 d를 분위기 따라 마시다 방금 전까지 편의점에서 산 벡스비어를 맛있게 마신 입장으로선 상당히 미묘한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