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시광선 : 빨주노초파남보, 우리가 볼 수 있는 색깔입니다. 우리의 눈이, 가시광선을 색깔이라고 생각하고서는 우리한테 그렇게 보여주는 겁니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번주 수요일이 데이터통신이라는 과목의 보강이었습니다.
그날 배운 것은, 유선통신과 그것에 어떤 걸 사용하는지, 각각 어디에 사용하고, 그 중 광섬유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였고, 그리고, 무선통신과 그 대역(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그것들이 어떻게 전파되는지 등등이었습니다.
맨 처음에, 교수님께서 전자파의 대역폭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 간단히 말해 빛에서 가시광선이 어디까지인지, 적외선은 어디까지인지 등등을 살짝 언급하셨는데, 전 그때 생각했었습니다.
'마이크로파도 적외선도 알고 보면 저런 전자파인데, 그리고 와이파이에도 그런 전자파를 쓰는 것일텐데, 그럼 가시광선으로도 통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 그러니까, 제가 생각한 건, 무슨 장치를 아래처럼 달면
저기서 소리가 색깔로 나오면서, 수신장치로 들어가 스피커에서 소리로 나오는거죠.
참고로 주파수 크기로 늘어놓으면, 마이크로파보다 적외선의 주파수가 더 크고, 가시광선이 적외선보다 주파수가 더 큽니다. 그러니까, 마이크로파로도 통신이 가능하니까, 기술만 좀 더 있다면 아마 가시광선으로도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었는데...
수업 마지막 부분에서 이런 걸 들었었죠.
적외선 통신은 야외 통신으로 쓰기에는 여러가지로 무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그러니까, 실내에서의 LAN이나, 리모컨을 이용한 TV 컨트롤에는 적외선을 쓸 수 있습니다만, 장애물을 뚫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태양빛에 교란되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태양빛에 적외선도 많으니까 당연하겠죠...적외선보다 주파수가 높은 가시광선은, 확실히 야외 통신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높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좀 정리하자면, 이 정도입니다.
주파수 | 1~수백 메가헤르츠 | 1~수백 테라헤르츠 | 페타헤르츠 정도 |
해당 전파 | 마이크로파 | 적외선 | 가시광선 |
야외통신가능여부 | 방송용으로 적합 | 야외통신 불가 | 적외선보다 주파수 높은 녀석들은 당연히 쭈욱 안 된다 |
(페타라는 단위가 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검색하니 나오네요...)
결론은... 지금으로는 기술로는 제가 생각한 것대로는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적어도 적외선을 통한 야외 통신 기술이... 아니, 통신 기술 자체가 엄청나게 발전하지 않는 한은, 아무래도 제가 생각한 걸 보는 건 힘들지도 모르겠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나저나 어디에 쓸까요, 가시광선 통신 ㅇㅅㅇ;;;;
PS 이 글은 원래, 보강 듣고 오자마자 쓰기로 결정되어있었습니다만...
제가 까먹고서는 오늘에서야 기억해내서, 결과보고서 잠시 제끼고 이렇게 쓰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긴 글 쓰기도 오랜만인 느낌이 드네요...;;; 글 길이 늘여보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